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의 많은 음악예술가들은 연습실, 음악 작업실과 같은 창작공간에서 완성된 작품으로 대중과의 소통을 시도하고, 음악을 재해석하며 재발견 해나가는 공간으로서 활용가치가 높다. 본 연구는 뮤지션 또는 예술가의 눈높이에 맞춘 창작공간의 표준화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선호 속성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시작하였다. 마케팅, 경영, 비즈니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용한 분석법인 컨조인트 분석을 위한 프로파일의 기준이 되며, 또한 컨조인트 분석법에 맞춘 설문지 작성에 기준이 되는 연구 자료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내의 많은 창작공간뿐 아니라 예술가 성장을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 교육, 네트워킹과 같은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는 창작소에도 적용한다면 예술가의 눈높이에 맞춘 가치 있는 공간으로 완성될 수 있는 음악 정책 연구에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는 결론을 가지고 있다.
        4,000원
        2.
        2017.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like older generation whose consumption of music was bounded by their local culture, today’s young consumers access music beyond cultural boundaries. Many successful pop music in cyber space attracted billions of listeners from all over the world. The young generation born and raised in the digital age, are often thought to have altered sensory-neural characteristics because of their extensive use of electronic device since early childhood. This study investigates a perceptual saturation hypothesis which posits that in order to capture the young generation’s hard-to-get attention, online music must present a high level of energy and rhythm that is near the point of perceptual saturation. We conducted a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fNIRS) experiment with sixty-four young adults and found that total cerebral blood volume over prefrontal brain area was higher for a song that presents acoustic intensity near the point of perceptual saturation than a counterpart stimulus with lower levels of acoustic intensity. The degrees of prefrontal hemodynamic randomness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the participants listened to YouTube music that provided high levels of acoustic stimulation. Online popularity, recorded as the number of daily hi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otal cerebral blood volum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hemodynamic random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