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멸종위기식물인 섬시호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의 원인인 CO2+온도상승과 식물의 생육 및 분포에 중요한 광, 수분, 영양소를 조합 처리하여 지구온난화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보고, 기후변화환경 하에서의 보전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야외의 CO2 농도와 온도를 반영한 대조구와 유리온실에서 대조구보다 CO2 농도가 약 2배, 온도가 약 2°C 높게 유지한 CO2+온도상승구로 구분하여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생육시켜 관찰하고 비교하였다. 섬시호의 생육반응은 광, 수분, 영양소보다 CO2+온도상승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고, CO2+온도상승구에서 영양소가 많은 조건일 때 잘 자랐다. 잎 수는 대조구에 비해 CO2+온도상승구에서 광이 낮은 구배와 영양소가 높은 구배에서 많았고, 잎 폭은 대조구에 비해 CO2+온도상승구에서 광과 영양소가 중간 구배에서 좁았다. 그러나 지상부 길이, 잎몸 길이 그리고 잎자루 길이는 대조구와 CO2+온도상승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래기후환경 하에서 섬시호의 보전을 위해서는 섬시호 자생지에 NH4 +, NO3, P2O5, K2O 등이 포함된 영양소를 공급하고, 섬시호 자생지가 파괴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섬시호의 자생지와 유사한 환경조건을 가진 곳을 발굴하여 복원함으로써 서식지를 확대하여야 한다.
        4,000원
        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참나무류는 한반도 산림식생의 우점종으로 그 열매인 도토리는 야생동물의 중요한 먹이원이다. 본 연구는 계절에 따라 도토리의 영양염류 함량을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계절별로 채집해 그 함량을 분석했다. 질소 함량은 갈참나무에서 계절에 관계없이 일정했고, 떡갈나무는 계절의 변화에 따라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상수리나무는 계절의 변화에 따라 여름과 가을에 높았으나, 신갈나무는 봄과 여름에 높았고, 가을에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졸참나무는 가을에 가장 높았고, 굴참나무는 가을에 가장 낮았다. 인 함량은 6종 모두에서 여름에 가장 낮고, 봄과 여름에는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칼슘과 마그네슘 함량은 계절에 따라 신갈나무에서는 증가하였으나, 나머지 5종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나트륨 함량은 갈참나무, 떡갈나무 그리고 졸참나무에서 계절에 관계없이 일정했고, 신갈나무는 계절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굴참나무에서는 가을에 가장 높았으며, 상수리나무는 가을에 가장 낮았다. 이상으로 볼 때, 도토리의 영양염류 함량은 계절과 종에 따라 매우 다양했다.
        4,000원
        4.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0년 3월부터 2000년 11월까지 공주시 근교의 리기다소나무림에서 계절별 버섯의 출현종과 종별 개체수, 생산량 및 영양염류 함량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영구방형구 내에 출현한 종은 총 32종류이었다. 버섯은 6월부터 출현하기 시작하여 9월에 종다양성과 생산량이 가장 높았다. 월별 우점종은 6월과 7월에는 밀버섯, 8월과 9월은 갈색털꾀꼬리버섯 이었으며, 10월에 젖버섯아재비버섯을 끝으로 더 이상 출현하지 않았다. 연중 가장 많은 개체수를 보인
        4,000원
        5.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아해의 수질환경과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계절변동 특성 및 식물플랑크톤 생물량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1995년 2월,4월,7월과 10월 4회에 걸쳐 계절별로 23개 관측점의 표층과 저층 해수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시아해는 2월에 최저수온, 8월에 최고 수온을 나타내나, 염분은 6, 7월에 높고 겨울에 낮은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연중 빠른 유속과 조석혼합 등으로 수층 간 혼합된 양상과 매우 낮은 투명도를 나타내고
        5,100원
        9.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nagement and control of mineral nutrients is one of most important techniques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and the quality of Korean ginseng. The mineral nutrients are measured with different plant tissues and different growth stages of 2-year-old ginseng grown under hydroponic culture with two different temperatures. The content of N, P, Ca, and Mg were higher at low temperature in both leaves and roots than those at high temperature. However, the content of K was high in leaves at low temperature compared to that of high temperature, while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roots. The uptake amounts of N and K was higher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at low temperature in both leaves and roots than those at high temperature. However, the uptake amount of P was not clearly different between two different temperatures and among six different growth stages. The uptake amount of N, P, K was generally decreased in leaves from June to August, while it was increased in roots. The relationship between dry weight and mineral nutrients in leaves was appeared positive with N, K, Ca, and Mg, but negative P. In roots, N, K, Ca, and Mg were negative, showing that was positive with only P. Compar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mineral nutrients in leaves, N and K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each other. P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Na and Zn. In case of roots, N was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K, Mg, and Mn, but P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a, Cu, Na, Fe, and Zn.
        10.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nagement and the use of major mineral nutriments such as nitrogen, phosphorous, and potassium, etc have been practiced and improved in various cultivating methods of Panax ginseng C. A. Mey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ontent of major mineral nutrients on different ginseng aging from 1 to 6 years old, to analyze their uptake and utilization in tissues of ginseng, and to find out their proper managing techniques throughout the cultivation of ginseng. In case of the leaves, the N content was not clearly different from 1 to 6 years old, while the content of P and K was generally decreased throughout the cultivating years. In case of the roots, the content of N and K was gradually decreased from 1 to 6 years old, while the P content was increased until 3 years old, decreased at 4 years old, increased again at 5 years old, and decreased again at 6 years old. The uptake amount of N was increased in root of ginseng from 1 to 6 years old, 0.02 to 2.79kg/10a based on dry weight, respectively. Other minerals of P, K, Ca, and Mg were increased for the cultivating year. Comparing the uptake amounts of N, P, K with different cultivating year, they were the highest uptake amount at 4 years old and then were decreased. The management techniques of major mineral in cultivation of ginseng would be studied and evaluated more in order to have better ginseng 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