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1.
        202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신흥시장에서 활동하는 자회사 CEO의 기업가정신 지향성이 자회사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개방형 혁신과 자회사 자율성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자회사 성과에 CEO의 특성뿐만 아니라 조직의 특성이 자회사 성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중동과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 자회사를 상대로 설문 조사를 진행한 후, 305개의 유효표본을 PLS-SEM을 통해 검증을 진행하였다. 첫째, 자회사 CEO 기업가정신 지향성은 자회사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회사 자율성은 자회사 CEO 기업가정신 지향성과 자회 사 성과의 관계에 매개효과를 주지 못했다. 셋째, 개방형 혁신은 자회사 CEO 기업가정신 지향성과 자회사 성과의 관계에 매개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CEO의 기업가정신 지향성이라는 특성이 자회사의 조직적 상황 요인에 의한 매개효과를 입증하여 기존 연구를 확장하였다. 추가로, 본 연구는 자회사 CEO의 기업가정신 지향성의 중요성을 밝힘으로써 본사에서 자회사의 CEO를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주안점을 제시하였고, 신흥시 장에 진출한 자회사의 성과를 증진할 수 있는 방안으로 개방형 혁신을 제안하였다.
        7,700원
        2.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보험설계사의 코칭역량과 일터환경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을 규명하고,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보험설계사를 대상으로 총 521부의 구글 설문을 수집하였고, SPSS와 AMOS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험설계사의 코칭역량과 조직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는 보험설계사의 코칭역량이 높으면 조직성과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둘째, 보험설계사의 대인관계와 조직성과, 코칭 역량과 대인관계, 일터환경특성과 대인관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대부분 의 측정 변인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험설계사의 코칭역량과 일터환경특성은 조직성과에 직접적으로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고, 대인관계의 매개를 통해서도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예측되어, 대인관계는 코칭역량과 조직성과, 일터환경특성과 조직성과의 관 계를 부분 매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서 보험설계사가 상담 시 사용하는 상담스킬이 코칭에서 사용 되는 코칭역량과 대단히 유사함을 규명하는 연구들이 더 진행되기를 제안한다.
        5,200원
        3.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trust, accep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convenient sample of 241 employees a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Ulsan city and Gyeongju city. All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with SPSS 18.0 and AMOS 18.0. This study reports findings as followed: 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characteristics and the organizational trust is positively related. 2.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job characteristics and the accep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3.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job characteristics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trust and the accep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is positively related. 5.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al trust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6.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ccep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the organizational trust and accep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play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4,000원
        4.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미용실 직원의 개인적 특성과 관련하여 조직 성과로서 직무 만족에 대한 조직 의사 소통의 효과를 결정하려고 연구했다. 실증 분석을 위해 경남의 뷰티 살롱 종사자들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직의 의사 소통은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다른 요인에 비해 의사 소통 능력이 직업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40 세 이상과 고졸 이하와 결혼 한 그룹에서 조직 간 의사 전달이 직업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높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용 산업에서 직원의 직업 만족도를 높이는 등 비즈니스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는 개인의 특성과 조직 의사 소통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인적 자원 관리가 필수적이다.
        4,500원
        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Quality management system is a systematic quality improvement approach for firm-wide managemen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performance in terms of quality, productivity,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customer satisfaction, and firm’s profitability. Recently, many researcher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firm’s performance. The conclusion from these studies is that effective implementation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improves firm’s performance. This paper extends the existing research on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firm’s performance by examining how the impact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on firm’s performance is moderated by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Section 1 introduce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research. Section 2 reviews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summarizes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Section 3 present the proposed research model, the hypotheses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firm’s performance. Section 4 provides results from the data analysis. Section 5 presents discussions, results, further implications, and research limitations. An extensive literature research was designed to identify and retrieve empirical studies relevent to develop the hypothes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dentify the factors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on business perform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nagement responsibility, resource management and product realization influenced significantly on financial performance. The management responsibility and product realization influenced significantly on non-financial performance. Second, the research showed a fact that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customer satisfaction effect as a moderated between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business performance. The implications of our results are that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customer satisfaction moderate the firm’s performance.
        4,000원
        6.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규모가 작고 역동적인 벤처기업의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 중에서 기업의 전략적 행동이나 경영자의 경영 역량과 관련된 제품 전략과 CEO(최고경영자) 특성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벤처기업의 표본을 이용하여 FGLS 추정법에 기반한 회귀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제품 전략과 CEO 특성은 기업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추가적인 설명력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다양화와 마케팅을 강조할수록, 변화혁신을 완화할수록 성장률이 높았다. 그리고 CEO가 경영지배력을 가진 창업자가 아니거나, 현재 사업관련 분야에서 실무경험이 많을수록 성장률이 높았다. 또한, 연구개발 위주 업무경력보다 일반경영 중심의 업무경력을 가진 CEO가 관리하는 기업이 성장률이 더 높았다. 제품 전략과 CEO 특성이 벤처기업의 성장에 미치는 이런 효과들은 조직수명주기 단계에 따라서 달라졌다. 창업기 및 초기 성장기에 있는 기업에서 제품의 마케팅 강조 전략과 CEO의 일반경영 중심 업무경력이 기업 성장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상대적으로 강화된 반면, 성숙기 및 정체기에 있는 기업에서 이런 제품 전략과 CEO 특성이 기업 성장에 미치는 효과가 부정적이거나 유의하지 않았다.
        8,400원
        7.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개인-조직간 가치부합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두 변인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인들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개인-조직간 가치부합과 직무만족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인들은, 다양한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에서 조직의 가치와 다른 가치를 지닌 구성원을 유지하면서 낮은 수준의 가치부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충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증적인 연구와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관성, 주도
        6,400원
        9.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업의 소유와 경영에 관한 논의는 기업의 사회적 역할과 윤리의식이 결부되면서, 기업과 사회 환경이 소유와 경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관계를 모색하고자 하는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가 진행되는 이유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면서 기업의 경영체제가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경영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이슈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경영에는 여러 가지의 유형이 있지만, 그 중 하나가 가족경영(family busine
        4,600원
        10.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직문화가 점진적혁신에 미치는 효과와 두 변수간의 관계에서 창의성과 A형성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접점종업원 306명으로부터 받은 설문을 바탕으로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문화의 구성요소 중 친화적문화와 진취적문환는 프로세스혁신, 운영혁신, 서비스혁신 모두에 대하여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존적문화와 합리적문화는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매우 미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에
        4,800원
        11.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12.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Job characteristics have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job characteristics are the core job dimens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ptitude and personality also act on job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chinese characters by province and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odel for chinese by province and city. Consequently, we suggest to be applied the model to korean finns strategically, which push into China, by view of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adaptation in China.
        4,300원
        13.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sonal and job characteristic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dietitians employed in different foodservice settings. The subjects were dietitians(n=830) employed by schools, hospitals, and industries in Daegu Gyeongbuk area. A questionnaire was used to determine personal and job characteristics, commitment and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cores were the highest for hospital dietitians, and the lowest for industry dietitians (p<0.05). Industry dietitians felt significantly less loyal to their organizations than did the other dietitians(p<0.05). School and hospital dietitian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say they cared about the fate of their organizations and thought their organizations were the best to work for. Age, education, length of employment, and wag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hospital dietitians' commitment(p<0.05). For all dietitians, the fewer the work hours, the higher the commitment(p<0.05). When asked to rate their satisfaction with various aspects of their jobs, dietitians expressed the most satisfaction with co-workers, and the least satisfaction with promotion opportunities. School dietitians were significantly less satisfied with pay and promotion than were the other dietitian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ssociated with wages(0.05), autonomy(0.08), feedback(0.16), dealings with others(0.07), and task identity(0.09). Job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educational level(-0.13), wages(0.10), autonomy(0.18), friendship opportunities(0.14), feedback(0.16), task identity(-0.11)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0.40) (Lisrel program).
        4,600원
        14.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000원
        16.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정기선 해운기업의 고객관계관리의 실제적인 내용을 살펴보고, 이러한 고객관계관리를 촉진시키는 조직의 전반적인 특성들을 고찰하여 조직특성과 고객관계관리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고객관계관리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정기선 해운기업의 고객관계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특성은 시장지향성과 최고경영자의 지원으로 확인되었으며, 고객관계관리는 종업원만족도, 서비스경쟁력 향상, 재무적 성과, 그리고 고객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정기선 해운기업의 고객관계관리를 전사적 차원에서 조직문화와 관리체계 등의 조직특성들과 연계되어 시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조직특성들을 바탕으로 한 고객관계관리 전략이 정기선 해운기업의 조직성과와 고객차원의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의 전반적인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을 실증함으로써, 정기선 해운기업의 고객관계관리를 해운기업 및 고객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17.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증적 연구의 목적은 MMORPG 게이머의 개인적, 사회적 특성이 게임에서의 창발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게이머들의 이타적 행동과 조직 순응적 행동 유도에 대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직시민행동 이론을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여, 리니지2 플레이어 231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게임에서 형성된 ‘개인 요인’인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그리고 ‘사회관계 요인’인 과업상호의존성, 신뢰는 게이머의 창발적 파티 플레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mpirically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vessel with foreign crews on their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 commitment. Currently, the restrictions on the employment of the foreign crews are being eased in the Korean shipping industry and many problems are occurring consequently. However, specific and empirical studies on the relevancy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o the crew's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board the vessels with combined crews have not yet been carried out. To solve these problems, we examined how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communication and leadership trust of different language and culture related to vessels with combined crews influence on the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foreign crews through SEM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hypothesis 1, 2 and 3 were all support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at means that communication and leadership trust of the vessel with foreign crew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self-efficacy and that such self-efficacy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o conclude, this study suggests that foreign crew's self-efficacy should be firstly enhanced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vessel with combined crews. Furthermore, studies on self-efficacy of foreign crew's organization are urgently need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an organization in a vessel with combined crews that has special environment - working environment with depression and uneasiness due to the exposure to the different language and culture, and excessive stress from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Therefore, an attempt of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timely since there has not been a study on this subject so far and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a lot to the organization management of a vessel with combined cr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