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7.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verseas R&D subsidiaries contribute to the cross -border knowledge sourcing of MNC headquarter by providing tacit and context specific knowledge and reducing the searching cost of the headquarter
        2.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설립 직후부터 해외시장 진출을 모색하는 국제신생벤처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진출과 관련된 많은 연구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자원기반관점(resource-based view, RBV)을 바탕으로 한 국제기업가정신에서 그 원인을 찾고 있다. 그러나 국제기업가정신의 구성요인들은 개인의 역량관점과 조직역량관점에서 연구자마다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제기업가정신의 구 성요인을 개인의 역량이 아닌 조직문화적 차원에서의 조직역량으로써 국제기업가정신 개념의 차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국제신생벤처기업의 Zhang, Tansuhaj와 McCullough(2009)와 Dimitratos, Voudouris, Plakoyiannaki와 Nakos(2012)의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한 속성들을 바탕으로 국제기업가정 신을 기업의 조직문화적인 측면에서 2차요인으로 정의하여 국제위험감수성/혁신지향성, 국제시장지향성, 국제학 습지향성, 국제동기, 그리고 국제경험 등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국제기업가정신이 기술지식 향상과 해외시 장 지식습득 및 해외진출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립 후 5년 이 내에 해외시장에 진출한 147개의 국내 국제신생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SPSS(18.0 version)과 AMOS(18.0 version)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제기업가정신은 다섯 개의 1차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제기업가정신은 기 술지식 향상과 해외시장 지식습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기술지식 향상과 해외시장 지식습득은 해외진출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국제기업가정신이 해외진출 성과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자원이 부족한 국내의 국제신생벤처기업의 국제화와 경영성 과에 있어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6,700원
        3.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일본 다국적 기업의 해외 연구소에 관한 실증 연구를 통하여 다국적 기업 해외 R&D 자회사의 조합 역량, 습득 역량, 자율성이 자회사의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검증하는 논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혁신 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다양한 지식의 원천에서 어떻게 지식을 골고루 습득하고 조합하여 활용 하는지가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자회사의 혁신 역량의 원천을 습득 역량(sourcing capability)과 조합 역량(combinative capability)으로 구분한 후 이 역량들이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심 층 분석하였다. 특히 조합 역량을 본국과 현지, 그 외의 국가의 지식들을 조합하는 역량과 다국적 기업 내부의 지식과 외부의 지식을 조합하는 역량으로 세분하고 각각의 조합 역량이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을 수립하였다. 또한 조합 역량이 습득 역량과 혁신 성과 간의 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지와 자율성이 조합 역량과 혁 신 성과 간의 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지를 검증해 보았다. 일본 다국적 기업의 해외 연구소에 관한 설문 자료와 특허 자료를 결합하여 실행한 음이항 회귀 분석 결과 해외 자회사의 본국-현지-그 외의 국가의 지식을 조합하는 역량과 습득 역량, 자율성이 해외 자회사의 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국- 현지-그 외 국가의 지식을 조합하는 역량이 해외 자회사의 습득 역량이 혁신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강화 하는 것으로 나타나 습득 역량과 조합 역량은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300원
        4.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해외직접투자이론에서는 전략변수가 해외자회사의 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를 은행산업에 적용한 연구는 아직까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략변수가 국내은행 해외점포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인 성과변수로는 해외점포의 총자산성장률, 총자산수익률 및 해외점포장의 주관적 평가치를 이용하였으며, 이들 성과변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독립변수로는 점포장의 국제업무경험, 현지에서의 한국계 은행간의 경쟁정도, 현지정부의 규제정도, 해외점포의 경영자율성, 본사자원의 활용정도, 인사정책의 현지화정도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전략변수중 본사자원의 활용정도와 인사정책의 현지화정도는 경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나 해외점포의 경영자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업특성변수 또는 환경변수와 같은 비전략변수들, 즉 점포장의 국제업무경험, 현지에서의 한국계 은행간의 경쟁정도, 현지정부의 규제정도 등은 경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해외점포의 주요 의사결정에 대해서 본사가 적극 관여하여 본사와 해외점포간의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하고, 해외점포에 대해서 본사자원을 적극 지원하는 동시에 현지채용인에 대한 인사정책을 대폭 현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6,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