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순례명상자의 참여 특성에 따른 영성적 웰빙, 삶의질, 회복 경험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각 참여 특성에 따라 순례명상자들의 경험을 세 분화하고 향후 순례명상 프로그램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한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인도 순례명상에 참여한 순례명상자 85명으로 영성 적 웰빙, 삶의질, 회복경험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서면조사를 실 시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SPSS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 본 t-검정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순례명상자의 영성적웰빙, 삶의질, 회 복경험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성적웰빙의 하위요인인 종교적웰빙, 영성적웰빙의 척도 전체, 실존적웰빙과 회복경험, 삶의질 순으로 평 균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순례명상자의 연령에 따른 영성적 웰빙, 삶의질, 회복경험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순례명상자의 참여계기에 따른 영성적 웰빙, 삶의질, 회복경험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순례명상 자의 참여목적에 따른 영성적 웰빙, 삶의질, 회복경험의 차이에서는 영성적웰 빙의 하위요인인 실존적웰빙, 회복경험, 삶의질의 평균이 참여목적에 따라 차 이가 없었으며, 불교신행이 참여목적인 경우가 심리적인 도움이 참여목적인 경우에 비해 영성적웰빙의 하위요인인 종교적웰빙과 척도 전체의 평균이 유 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순례명상을 경험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심리적 변인에 대 해 경험적으로 확인이고 순례명상의 의미에 대해서 고찰하였다는데 그 의의 가 있다. 주제어: 순례명상자, 참여 특성, 영성적 웨빙, 삶의질, 회복경험.
        6,300원
        2.
        2022.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진학 사교육 참여배경, 서비스품질, 만족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러한 요 인들이 사교육비용 및 지속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진로·진학 사교육의 전망을 탐색하고, 진로·진학 사교육이 불가피하다면, 비용을 절감하면서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 색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5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AS 9.4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진로·진학 사교육은 사교육업체가 경영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마케팅을 하는 시 장적 논리, 입시정책의 변화에 발맞추어 진학을 준비하고 미래의 이익을 추구하는 학생들의 대응, 공교육에서 진로·진학 지도의 미흡함이 연계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즉, 진로·진학 사교육은 기업(기업의 이익추구 마케팅), 가계(학생/학부모 의 자구책 마련), 정부(공교육의 공공재로써 평등성 가치추구)가 각 주체의 이익을 추구하는 가운데 발생되고, 이와 관련 된 여건이 단기간에 개선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진로·진학 사교육은 서비스품질 및 만족도가 보통 이상이고, 서비스품질에 대한 확신성이 낮고, 진로선택 만족도가 낮은 경우에 비용이 높아진다. 이는 진로·진학 사 교육이 품질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리고 진로·진학 사교육의 지속성은 여학생, 대 부분의 고등학교 학생, 소득이 높은 가정의 학생, 참여배경(공교육 미흡, 입시정책 대응, 사교육마케팅)이 그 수준을 높이 고 있다. 결론적으로 진로·진학 사교육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그 비용을 절감하고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교 육업체, 정부, 학부모의 노력이 요구된다.
        6,000원
        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목적은 성인 지적장애인들의 수영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자아효능감과 운동 몰입,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에서 거주하고 있는 성인 지적장애인 12명이며, 수영 프로그램에 12주간 참여하였다. 이에 따라 대상자들의 자아효능감과 운동 몰입, 건강 관련 삶의 질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자아효능감 평가는 전반적 자아효능감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일반적, 사회적 신체적 자아효능감을 평가하였다. 운동 몰입 평가는 스포츠 몰입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의 수준을 평가하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는 건강관련 삶의 질 척도를 활용하여 전반적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수준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들은 수영 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자아효능감과 운동 몰입,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수영 프로그램의 참여는 성인 지적장 애인들의 자아효능감과 운동 몰입,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서, 성인 지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수영 프로그램의 적용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4,200원
        4.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여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참여정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상관성 및 인과관계에 따른 설명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뇌졸중 환자 1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역사회 참여지표를 통하여 지역사회 참여도를 조사 하였고,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측정을 사용하여 삶의 질을 평가하였다. 삶의 질과 사회참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지역사회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질병의 정도가 심할수록 참여정도가 낮았으며, 선거에 참여할수록 참여정도가 높았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참여 주도권, 사회적 유대 및 관계, 참여의 의의가 높을수록 사회적 위축이 낮을수록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지역사회 참여 요인 중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는 질병의 정도와 참여주도권이 나타났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질병의 정도와 선거참여 정도, 지역사회 참여 4가지 요인(참여 주도권, 사회적 유대 및 관계, 참여의 의의, 사회적 위축)이 중요한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사회 참여요인을 적용하여 의미 있는 작업치료 기초자료로 사용되길 기대한다.
        4,000원
        5.
        2018.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roduction This paper’s goal is to assess the effects of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on perceived e-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in Greek e-shops. The author builds on and expands previous efforts by investigating customer participation using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developed by Yi and Gong (2013) with the goal of dwelling deeper in the effects of individual dimensions of customer participation (i.e. information seeking, information sharing and responsible behavior) on consumers’ perceptions. The findings show that one of the three dimensions of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namely responsible behavior, positively affects both perceived service quality as well as customer satisfaction, while information seeking affects only e-service quality and information sharing does not affect any of the two dependent variables. Theoretical development The author, in agreement with the service-dominant view proposed by Vargo and Lusch (2004; 2008), emphasizes the notion that the customers of a provided service are not just simple recipients of a final product, but also co-creators in its production process. Research on customer participation, has revealed its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quality (Cermak et al., 1994) and satisfaction (Yang et al., 2017), while in some cases studies pointed out when this relationship does not hold, as well as investigate moderators affecting it (Yim et at., 2012). There have been studies that support the positive effect that aspects of customer participation have on customer satisfaction (Dong et al., 2015; Yim et al., 2012; Chan et al., 2010; Kellogg et al., 1997)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Dong et al., 2015). At the same tim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prob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in the context of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services from self-service technologies, where a high level of customer/user activity and low provider activity is required (Wünderlich et al., 2013), which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 customers’ role in attaining value co-creation. According to Yi and Gong (2013) customer value co-creation behavior comprises two dimensions;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and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This study focuses on customer behavior that is necessary for value co-creation, namely on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since it is this that is usually manifest in the context of the interaction of customers with an e-shop. In accordance with the terminology utilized by Kelley et al. (1990), this study focuses on customer technical quality- as expressed by information seeking, information sharing and responsible behavior, according to Yi and Gong (2013)- since interaction with an e-shop is usually standardised and does not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customers and employees. Research design To check the hypotheses formulated in this study, the services offered by e-shops in Greece were examined and assessed. What drew attention on the e-commerce and e-shopping sector, was the fact that through the long lasting economic crisis in Greece, it was one of the few that managed to flourish. A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a sample of 335 adults, customers of 125 Greek e-shops.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composed of three dimensions, namely information seeking, information sharing and responsible behavior) was measured using Yi and Gong’s (2013) multidimensional and hierarchical scale that consists of 11 items, rated on a seven-point Likert format. E-service quality was measured through the use of a one-item scale developed expressly for this purpose by Lee and Lin (2005), who also used a one-item scale to measure customer satisfaction. Result and conclus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is, supported the propositions that customer information seeking and customer responsible behavior enhance perceived service quality, while at the same time customer responsible behavior increases customer satisfaction. Claims that customer information seeking, or customer information sharing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could not find any support, as did the proposition that customer information sharing enhances perceived service quality.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insight when it comes to designing an on-line store in a way that it would enhance the customers’ perceptions on the attained service quality, as well as their perceptions on their satisfaction. In order to succeed, enterprises should develop organisational socialisation (Kelley et al., 1990; Kelley et al., 1992) in such an extent, that it would establish a climate of trust that will lead customers to assume a responsible behavior towards the e-shop.
        3,000원
        6.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ustomer participation (CP) refers to customers’ contribution of effort, knowledge, information or other resources to service production and delivery (Dong & Sivakumar, 2017). A key management challenge is to ensure that after customers’ initial acceptance these service formats, customers continue to use them, by the provision and management of CP quality as perceived by the customer. In a CP context, shaping customers’ quality perceptions is complex. First, these perceptions are the result of multiple parties (i.e., customer, employee, and firm). Secondly, customer performance is difficult to control and forms a preeminent source of variability and operational inefficiency (Groth, 2005). Against this backdrop, two research objectives guide this study. First, to propose and test a quality typology that takes a comprehensive view on the CP quality dimensions. Second, to assess whether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consisting of role clarity, self-efficacy, and motivation- is able to influence the customer in service formats that rely on CP. To address these issue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138 customers. PLS-SEM results indicate that stimulating continued usage of CP formats involves managing an intricate mix of customer quality perceptions (i.e., employee functional and technical quality; firm functional and technical; customer technical quality.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socialization techniques can be useful to influence customer quality contributions in CP service formats.
        7.
        2016.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활동 참여와 자율성 및 삶의 질을 알아보고 성별, 연령, 학년, 거주 형태, 본인의 종교, 한 달 용돈 등 다양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4년 11월부터 12월까지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Y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 대학생 1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데이터가 빠진 항목을 제외한 118부를 분석하였으며,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일원배치 분산분석 및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대학생들은 ‘전화 혹은 컴퓨터로 다른 사람과 연락하기’(한 달에 19회 이상)를 가장 많이 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활동에 있어 제한으로 인한 어려움을 느끼고, 만족도는 보통이었다. 집안/주변에서의 활동에서 가장 낮은 자율성을 느끼 고 있었으며, 신체적 기능은 좋지만 활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한 달 용돈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건강한 대학생들의 참여와 자율성 및 삶의 질의 현황을 파악 할 수 있었으며, 향후 대학생들에게 다양한 작업의 참여를 권장하고 자율성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
        8.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esearch on new product development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customers, employees, and suppliers in an organization’s innovation processes. While several studies evaluate respective participatory processes, there is, surprisingly, no consensus on which dimension participation quality consists of, and how to measure them consistently. The present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identifying the dimensions of participation quality and by constructing a participation quality scale that includes six dimensions, namely (1) project-related resources, (2) early involvement, (3) degree of influence, (4) transparency of processes, (5) incentive mechanisms, and (6) voluntariness of participation. Furthermore, a 24-item measure of participation quality is developed using a mixed-method design. Results of our study show that the developed measure impacts important innovation-related outcomes such as innovation performance, acceptance of the innovation,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future innovation projects. Given that the six identified dimensions of participation quality differentially affect these outcomes, the scale provides the opportunity to better design participatory innovation projects, and thus helps managers to integrate stakeholders more successfully in these projects.
        9.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inseparability, one of service specific characteristics, often makes it necessary and possible for customers to participate in service production and delivery process as partial employees or contributors. As customer participation may enhance or degrade the quality of services and customers’ satisfaction, many researchers have paid much attention to the concept of customer participation. Analogous to the typical classification of service employee behaviors, previous research typically categorized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s into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s and citizenship behaviors. Furthermore, past research showed that both types of customer behaviors significantly affect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However, the many criteria past research has used to classify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s lack conceptual rigor and generalizability beyond the specific types of services for which the criteria have been developed. The lack of conceptual rigor and consistency in classification criteria caused much confusion and incongruencies in empirical findings reported in the current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literature, depending on which specific criteria the researcher choose and on the specific type of service studied. Thus,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classification system of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s which is solid and generalizable to many types of services. This study proposes a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classification system which categorizes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s depending on 1) whether a customer behavior is essential and indispensable in the service production process and/or not and 2) whether a customer behavior is conducted voluntarily or upon requests by service employees. Based on the two criteria, the proposed system identifies five types of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s.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five types of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s affect the two dimensions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 outcome quality and process quality (Grönroos1984) and customers’ satisfaction with service experiences. Data for this study a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adult Korean consumer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creasing the level of each of the five types of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s affects perceived service outcome quality, perceived service process quality, and satisfaction. Second, the relative impact of each type of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varies by the types of participating customer’s personality and depending on whether a service is outcome-oriented or process-oriented type. Finally, the actual impact of each type of participation behaviors on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varies according to what customers expect when they perform the behaviors.
        10.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무용을 통한 기업의 문화마케팅 활동이 해당기업의 이미지 및 지각된 품질, 충성도 에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200개의 자료가 활용되었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사용하였 다. 또한 가설검증은 AMOS를 이용한 확인적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과 구조방 정식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 화마케팅 활동 참여 기업의 기업이미지는 지각된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문화마 케팅 활동 참여 기업의 기업이미지는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문화마케팅 활동 참여 기업의 지각된 품질은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문화마케팅 활동 참여 기 업의 기업이미지는 지각된 품질을 통해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는 기 업이 문화마케팅 활동에 참여할 경우 대중에게 호의적인 기업이미지를 각인시키고 해당기업에 대한 상표나 제품에 대해 신뢰를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문화마케팅 활동이 해당기업에 대한 충성도를 높이게 됨으로서 기업경영활동에 득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5,200원
        11.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삶의 질과 일상활동참여도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 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학령기(8􀅭15세) 뇌성마비 아동 6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아동들의 일반적인 특성에는 성 별, 나이, 마비유형, 뇌성마비 형태, 지능지수, 대동작기능, 양손소동작기능, 통증상태 등의 변수들이 포함되었다. 아동들의 삶의 질과 일상활동참여도에 대한 평가는 한국어판 KIDSCREEN 52-HRQOL과 참여빈도 설문지를 사 용하여 아동들의 부모에 의해 시행되었다. 결과 : 삶의 질은 통증이 없는 경우, 지능지수가 높은 경우, 대동작기능이 좋게 나타난 경우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p<.05). 일상활동참여도는 대동작기능이 좋게 나타난 경우, 양손소동작기능이 좋은 경우, 통증이 없 는 경우, 지능지수가 높은 경우, 마비유형에서 양하지마비인 경우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 이러한 결과는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들의 삶의 질과 일상활동참여도가 각 개인의 신체적인 특성에 의해 영향 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뇌성마비 아동들의 독립성과 활동성을 증진시키고 보다 현실적인 치료방법 들을 계획하기 위해서, 이러한 측면들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계속적으로 이루 어져야 할 것이다.
        4,300원
        12.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e study focuses on the agriculture education services in the changing rural areas conditions such as population decline, aging society, and returning farmers. The study reviews the effects of agricultural education services on returning farmers and local residents for satisfaction, intention for recommenda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Further,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any difference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two group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return-farmers and local residents.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age and income showed a notable difference. However, sex, level of education and type of household did not suggest noticeable differences. In addition, the study accessed agricultural education from a service perspective and analyzed its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loyalty and relationship using a service profit chain model. Like the result of most other studi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se had positive relationships. While the study focused on the efficiency of agriculture education training program in agriculture technology centers, the study carries a meaningful value in that it discover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level between returning farmers and locals despite the fact that agriculture education was applied as a part of service. In practical terms, the study pointed out the need for consumer-centered educatio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s rather than standardized education.
        13.
        200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스포츠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현재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40세 이상 60세 미만의 여성을 선정하였으며, 측정도구는 노유자(1988)가 성인의 삶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설문지를 중년기 여성에게 유용하도록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총 381명의 자료를 사회인구학적변인과 참여동기, 참여종목, 참여정도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은 Scheffe 방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여가스포츠 참여동기 중 현재동기는 자아존중감과 가족과의 관계, 그리고 이웃과의 관계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을 좋아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난 여성의 경우, 여가스포츠 활동을 통해 자아존중감과 이웃 및 가족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만족을 얻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참여종목에 따라 자아존중감은 비교적 경제적 부담이 따르는 운동종목에 참가하는 여성에게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이웃과의 관계에 대한 만족은 개인종목보다는 대인종목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정서적 안정에 대한 만족에 있어서는 참여종목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정도에서 참여기간은 정서적 안정, 자아존중감, 가족과의 관계, 경제수준 등 비교적 삶의 질의 전반에 대해 영향을 미치며, 참여기간이 길수록 대체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일 운동에 참여하는 여성은 가족과의 관계에 대한 만족이 높은 반면, 이웃과의 관계에 대한 만족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시간에 따라 경제수준에 대한 만족은 운동 1회 평균 1~2시간 미만과 2~3시간 미만 동안 참여하는 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기 여성들에게 건강한 삶을 효과적으로 영위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삶의 태도와 가정 및 이웃 간의 좋은 인간관계를 만들어 나가는데 스포츠활동은 필수적인 여가활동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