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at Rice and Winter Cereal Crops Department of NICS during 2007 and 2008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rice leaf emergence and to obtain basic data which can be used for rice growth simulation model by which we can forecast rice growth stage and heading date accurately under different cultivars, transplanting date, and climatic conditions. To confirm leaf emergence rate according to rice maturing ecotype, we surveyed the leaf emergence rate and heading date of Unkwangbyeo, Hwayoungbyeo and Nampyeongbyeo which are early maturing, medium maturing and medium-late maturing cultivars, respectively, according to seedling raising duration and transplanting time. When seedling duration was 15 days, the growth duration between transplanting time and completion of flag leaf emergence on main culm were 51.5~78.3 days in Unkwangbyeo, 55.3~87.9 days in Hwayoungbyeo and 58.4~98.4 days in Nampyeongbyeo, respectively. When seedling duration was 30 days, they were 50.1~75.5 days in Unkwangbyeo, 52.4~84.7 days in Hwayoungbyeo and 56.4~93.8 days in Nampyeongbyeo, respectively. As transplanting time delayed, the emerged leaf number after transplanting decreased in all rice cultivars. The cumulative temperature between transplanting time to completion of flag leaf elongation on main culm were 1,281~circC~1,650~circC in Unkwangbyeo, 1,344~circC~1,891~circC in Hwayoungbyeo and 1,454~circC~2,173~circC in Nampyeongbyeo, respectively. Leaf emergence rate on main culm were precisely represented by equation, y = y0 + a / [1 + exp( - (x - x0 ) / b)]c, when we used daily mean temperature as variable.
        2.
        199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온도가 쌀보리와 맥주보리의 출엽속도와 출엽간격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쌀보리 3품종(능쌀보리, 새쌀보리, 향천과 001)과 맥주보리 3품종(두산 8호, 사천006, 진광보리)을 향온 7수준(4, 8, 12, 16, 20, 24, 28℃ )과 변온 7수준[6/2(명기 / 암기), 10/6, 14/10, 18/14, 22/18, 26/22, 30/25℃ ]으로 유지시킨 생장상에서 4엽기까지 키우면서 매일 주간엽수를 조사하여 출엽속도 및 출엽간격를 산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항온과 변온에 관계없이 공시품종 모두 동일 온도내에 있어서는 출아후 일수가 증가됨에 따라 주간 출엽수도 직선적으로 증가되었다. 평균기온 28℃ 를 제외하고는 출아속도와 출아간격이 항온과 변온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출아속도와 출아간격은 품종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동일 품종내 온도간에도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평균기온이 증가됨에 따라 일당 출아속도는 출아 최적온도까지 곡선적으로 증가된 다음 감소되었는데, 6품종의 출아 최적온도는 20.1~21.5℃ 로 품종간 현저한 차이는 없었으나 출아 최적온도에서의 출엽속도는 쌀보리가 0.202~0.226엽/일, 맥주보리가 0.231~0.241엽/일으로 맥주보리가 큰 경향이었다. 평균이온이 증가됨에 따라 유효적산온도당 출엽속도는 지수함수적으로 감소되었고, 출엽간격(일엽당 적사온도)은 지수함수적인 증가를 보였는데, 6품종의 평균 출엽간격은 4℃ 에서 46.2GDD/엽, 28℃ 에서 129.3GDD/엽이었다.ose와 fructose가 초기에는 많았으나 후에는 상당히 적어졌다. 줄기는 glu-cose가 많고 기타는 흔적 정도 였으며 뿌리는 초기에 sucrose가 종자에서 보다 높았으나 그 후 모든 당이 거의 흔적뿐이었다.과 GA3 반응성을 조사한 결과, 조합내 개체들간에 간장의 분리를 인정할 수 없었고, GA3 처리에 무반응성을 보였다. 따라서 Fukei 71의 단간유전자 d50은 GA3 무반응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에서 G1 기는 길어졌고 G2 기와 M기는 짧아졌다. 그러나 서광벼에서는 각 phase의 상대적 기간이 거의 일정한 비율이었다. 3. DNA, RNA 및 protein 합성은 온도가 하항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에 의해서는 최고분얼기나 유수분화기에 처리하면 수당 영화수가 감소하였으나 감수분열기에 처리하면 수당 영화수가 변하지 않았다.장기였고 건구의 수량감수가 심한 시기는 수잉기였다. 따라 미개약 영화가 많은 품종과 개화 수분이 모두 이루어지지만 불임이 되는 품종도 볼 수 있었다. 5. 냉해의 유묘 검정 결과에서 관찰조사와 처리에 의한 생육 억제 정도와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았으나 종합적으로 볼 때 제 002, 팔금, 수성 등은 냉해에 강하고 수원 213-1, 재건, 팔달, Shirogane, 팔굉, 만경 등은 약하였다. 6. 감수분열기 및 출수기 처리 시의 일심율과 유묘 시의 냉해 정도 및 생육 억제 정도 등의 상호 관계를 살펴본 즉 대체로 유의적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련성을 보였는데, 특히 전체적인 비만도를 평가하는 체중, 체질량지수, 비만지수의 증가는 심혈관계질환의 예측지표로 볼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