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PLC)를 이용하여 진해만의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및 군집구조의 시공간적 분포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4월에서 12월까지 총 5회에 걸쳐 7개 정점에 대한 식물플랑크톤 색소분석과 수온, 염분, 용존산소(DO), 영양염(DIN, DIP, Si(OH)4) 등의 환경요인 분석을 행하였다. 조사기간 중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Chl-a)은 7월 (평균 15.4±4.3 μg/L)에 가장 높았고, 12월(평균 3.5±0.6 μg/L)에 가장 낮았다. 보조색소의 경우 fucoxanthin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그 다음으 로 peridinin, Chl-b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월 변동은 Chl-a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결과, 규조류가 평균 70 %로 가장 우점하였으나, 일부 녹조류, 은편모조류, 와편모조류가 출현하기도 하였다. 우점종인 규조류는 특히 수온 및 N:P ratio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서 여름철 고온환경 및 육상으로부터의 영양염 유입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추론되었다. 또한 식물플랑크톤 색소 및 종조성은 전반적으로 계절에 따른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의 변화 및 지형적 특성과 연관되어 있으며 강우로 인한 담수 및 영양염 공급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4,800원
        2.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utritional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changes in mustard leaf kimchi were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of up to 3 months. The pH decreased, and the titratable acidity gradually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e of fermentation periods. Fructose and glucose were the major free sugars in mustard leaf kimchi, and their amoun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fermentation periods (p<0.05). Lactic acid conten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with maximum increase at 3 months. All types of kimchi contained 20 amino acids, but the content of most amino acid fluctuated during fermentation. Except for K and Zn, the content of other ingredients including Ca, Fe, Mg, Na, Se were the highest in kimchi fermented for 2 months. The unsaturated fatty acid of mustard leaf kimchi was higher than that of saturated fatty acid, and total fatty acid of kimchi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2 months (p<0.05). Most vitamin content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with fermentation, in particular, vitamin B complex except for B2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3 months (p<0.05). The results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determining the appropriate fermentation period to improve the quality of kimchi.
        4,000원
        4.
        199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옥수수기름의 탈취온도가 탈취유의 이화학적 항수, 지방산 조성 및 triglyceride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적정 탈취온도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40~270℃의 탈취온도에서 산값은 240℃ 처리군에서 0,07로 가장 낮았고, 250~270℃에서는 0.08~0.09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Lovibond total color는 255℃에서 가장 낮은 24였으며, 과산화물값은 240~270℃ 전구간에서 0을 나타내었으나 235℃에서는 0.42로 과산화물이 완전 제거되지 않아 240℃이상의 탈취온도가 요망되었다. 한편, 탈취온도가 증가할수록 myristic, palmitic, stearic acid 등의 포화지방산 함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탈납유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arachidic acid함량이 급속한 증가 경향을 보였다. 탈취온도에 따라 TG조성도 변화를 보여 250℃ 이상 처리군에서는 S3형 TG가 발견되는등 고온탈취는 탈취유의 이화학적 특성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4,000원
        5.
        2017.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노니의 주요 산지인 사모아, 인도네시아, 중국(하이난), 하와이, 태국, 타히티에서 생산된 노니 열매를 착즙하여 산지별 노니열매 착즙액의 이화학적 특성,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산지별 노니열매 착즙액의 pH는 3.63-3.83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색도는 태국산이 다른 산지 노니열매 착즙액보다 L, a, b 값 모두 유의적으로 낮은 값으로 나타났다. 고형분 함량은 5.97-6.97 °Brix 범위로 하와이산이 6.97 °Brix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인도네시 아산이 5.97 °Brix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태국산이 가장 많은 스코폴레틴과 루틴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인도네시아산이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노니열매 착즙액보다 폴리페놀 함량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항산화 활성 중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인도네시아 > 하와이 > 타히티 > 태국 > 사모아 > 중국 순으로 나타났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인도네시아 > 하와이 > 타히티 > 사모아 > 중국 > 태국 순으로 나타나 인도네시아산이 가장 높은 항산화능 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태국산이 스코폴레틴과 루틴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반면 인도네시아산이 가장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6.
        2017.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장 건강에 유익한 프리바이오틱스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배변을 촉진하는 효능을 지닌 붉은팥을 식품 발효에 이용되는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로 발효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붉은팥의 일반성분은 회분 3.35±0.04%, 조단백질 21.1±0.19%, 조지방 0.35±0.02% 함 유되었다. 붉은팥 원물 1%, 3%, 5%와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 3% (v/v)를 접종하여 0, 24, 48, 72시간 배양 하였다. 배양액의 총균수를 측정한 결과 붉은팥 원물을 3% 첨가한 후 72시간 배양군에서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 발효가 가장 적합하였다. 발효 시간에 증가함에 따라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증가하였다. Protease 활성은 붉은팥 원물 5% 첨가한 후 72시간 배양한 군(2.69±0.003 unit/mL)에서 활성이 가장 높았다. 발효시간과 붉은팥 원물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α -amylase 활성도 증가하였으며, 붉은팥 원물 5% 첨가한 후 72시간 배양한 군에서 0시간 배양군(1.0±0.1 unit/mL) 보다 26.0±0.2 unit/mL로 증가하였다.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로 72시간 배양한 후 유리아미노산을 측정한 결과 leucine은 붉은팥 원물 5% 첨가한 0시간 배양군 5.22 mg/L 에서 67.59 mg/L로 증가하였으며, 비필수아미노산인 tyrosine은 5% 첨가 0시간 배양군 10.08 mg/L에서 259.35 mg/L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로 붉은팥을 발효하면 항산화 활성, protease 효소활성, 및 α-amylase 효소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유리아미노 산과 유기산이 증가하였다. 붉은팥을 발효하는데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며, 붉은팥은 프로바이오틱스를 활성화시켜 장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리바이오틱스 소재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 하였다.
        7.
        2013.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compare the major chemical components of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flesh and kohlrabi peel. Among the proximate compositions, the crude fat of kohlrabi peel contained lower than that of kohlrabi flesh, while the contents of carbohydrate and the crude protein were higher in the kohlrabi peel. Total free sugar content of the flesh kohlrabi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eeled kohlrabi, and the major free sugars of the flesh kohlrabi and peeled kohlrabi were identified as fructose and glucose. The value of glutamic acid was greater in amino acids of kohlrabi flesh and kohlrabi peel, and the contents of total amino acids and essential amino acids were higher in kohlrabi peel compared with kohlrabi flesh. Kohlrabi flesh also contained a higher level of unsaturated fatty acids than kohlrabi peel. The contents of organic acid were higher in kohlrabi peel, and the level of oxalic acid was the highest in both kohlrabi. The vitamin C contents of flesh kohlrabi and peeled kohlrabi were 231.36 mg/100 g and 402.75 mg/100 g, respectively. The mineral content of the peeled kohlrabi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lesh kohlrabi, and the mineral contents of the flesh and peeled kohlrabi were greater in the order of K>Ca>Mg>Na. As a result, the contents of total amino acid, essential amino acid, organic acid, vitamin C and mineral were higher in the peeled kohlrabi, and the free sugar and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of the flesh kohlrabiwere higher.
        8.
        2012.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major chemical components of Korea Crataegi fructrus (KCF) and Chinese Crataegi fructrus (CCF). Among the proximate compositions, the curde fat content of KCF was lower than that of CCF, whereas their crude protein, crude ash and carbohydrate contents were similar. CCF had a higher total free sugar content than KCF. The major free sugars of KCF and CCF were identified as fructose and glucose. The value of glutamic acid was greater in the amino acids of KCF and CCF, and KCF had higher total amino acids and essential amino acids contents than CCF. KCF also had a higher level unsaturated fatty acids than CCF. CCF had a higher organic acid content, but both KCF and CCF had high citric acid levels. and Chinese The vitamin C contents of KCF and CCF were 272.69 mg per 100 g and 262.38 mg per100 g, respectively. The mineral content of KCF was higher than that of CCF, in the following order : K > Ca > Mg > Fe. The results showed that KCF had higher total amino acid, essential amino acid, unsaturated fatty acid and mineral contents and CCF had higher free sugar and organic acid contents.
        9.
        2011.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운 마늘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구운 마늘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건물량 기준으로 수분 5.30%, 조단백질 36.89%, 조지방 12.60%, 조회분 4.36%, 식이섬유소 2.88% 및 탄수화물 37.97%였다. 구성당은 총 6종의 유리당 중 galactose 61.59 mg/100 g만이 검출되었으며, 구성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함량이 5,275.0
        10.
        201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모시잎 분말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모시잎 분말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수분 함량 5.42%, 조단백질 28.15%, 조지방 6.95%, 조회분 15.27% 및 탄수화물 54.79%를 함유하였다. 총식이섬유소 함량은 39.66 g/100 g이며, 그 중 불용성 식이섬유소와 수용성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20.32 g/100 g와 19.34 g/100 g로 나타났다. 구성당은 g
        11.
        2009.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용식물자원의 하나인 당귀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세 종류의 당귀 즉 한국당귀, 일당귀 및 중국당귀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비교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건물을 기준으로 조지방 함량은 한국당귀가 가장 높았고, 수분 함량은 일당귀가 가장 높았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중국당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회분과 탄수화물의 함량은 세 시료간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유리당은 세 종류 모두 fructose 함량이 가장
        12.
        200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숙성액 조성을 달리하여 양파장아찌를 제조하고 이화학적 품질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숙성액과 양파장아찌육의 당도(가용성 고형분), 염도, pH는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간장배합비율이 높을수록 당도도 높게 나타났다. 양파장아찌육의 표면색도는 백색도의 경우 숙성기간 최종일까지 완만히 증가하였다. 적색도 및 황색도의 경우 모든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양파장아찌의 견고성은 숙성기간 16일째에는 모든 실험군에서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
        13.
        200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머위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머위의 잎과 줄기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건물(dry basis)을 기준으로 머위 줄기는 잎보다 수분, 조지방, 조회분 및 탄수화물 함량은 높았으나, 조단백질 함량은 낮았다. 머위 잎은 D-fructose와 D-glucose의 2종의 유리당과 maltose와 lactose의 2종의 이당류가 검출되었고,줄기에서는 D-fructose와 D-glucose의 2종의 유리
        14.
        200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늘타리는 한약재로 많이 사용되지만 이들의 일반성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한약재로 사용되는 각 부위 중의 일반성분을 조사한 결과 괄루실의 경우 탄수화물 70%, 조단백질이 13%, 조지방 5%, 조섬유소 6%, 조회분 6%의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괄루인은 탄수화물 62.59%, 조단백질이 12.75%, 조지방 14.80%, 조섬유소 6.5%, 조회분 3.36%의 함량을 나타냈고 괄루근은 탄수화물 89.40%, 조단백질이 4.10%, 조지방 0.50%, 조섬유소 3.5%, 조회분 2.50%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괄루실과 괄루인은 15종류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중 괄루실에는 폐닐알라닌과 글리신이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괄루인에는 루신이 없는 대신 라이신이 검출되었으며, 괄루근에서는 14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