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eoul forest of urban forest park is provide places for relaxation and feeling naturally use inside the city.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investigating diversity of soil microarthropods for Bioblitz. Samples were collected from rose of Sharon in soil. This species was identified as N. harrowi (Collyer), described originally from New Zealand and Austrilia. This is the new record of N. harrowi in Korea.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se two specie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N. makuwa (Ehara) and N. harrowi (Collyer)). So, we compared features of this species. Dorsal setae of N. harrowi are generally longer than in N. makuwa. Two posterior seta (Z4, Z5) of N. harrowi are much shorter than in the N. makuwa. In addition,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shape of the spermatheca, the forked atrium is larger in N. makuwa than in the N. harrowi.
        2.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자생종인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 Schica)와 도입종인 Amblyseius fallacis Garman, Typhlodromus occidentalis Nesbit 등 3종 이리응애의 감귤원 귤응애에 대한 포식능력과 피식자에 대한 밀도억제효과를 사육실(, RH 65%, 16L : 8D)에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귤응애 알에 대한 포식량은 A. fallacis 20: 1개, 긴털이리응애와 T. occidentalis는 각각 1.1개와 9.1개였다. 귤응애 유충과 제1약충 그리고 제2약충에 대해 긴털이리응애는 각 23.8, 16.5, 9.0마리, A. fallacis는 각 26.1, 18.2, 7.4마리 그리고 T. occidentalis는 각 7.8, 4.2, 4.2마리를 포식하였다. 20:1의 비율에서 귤응애 밀도억제효과는 긴털이리응애와 A. fallacis는 효과가 좋았으나 T. occidentalis는 효과가 매우 낮았다. 에서 알에서 우화까지의 발육기간은 긴털이리응애는 6.1일, A. fallacis는 5.9일로 두 종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