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3.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PDMS on the oxygen permeability of contact lenses. Methods: The functional silicone monomers MPDMS [poly (dimethylsiloxane) methacrylate modified] were used and the hydrophilic monomers amino substituted methacrylate and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were polymerized in proportions. Results: Oxgen transmissibility was measured in the range of 8.158 to 20.389 x 10-9 (cm/sec)( mlO2/ml x mmHg), and the oxygen permeability was measured in the range of 37.511 to 75.691 x 10-11(cm2/sec)(mlO2/ml x mmHg). As the addition ratio of MPDMS increased, the oxygen permeability increased. Conclusions: MPDMS is considered to be useful as a highly oxygen permeable contact lens material.
        4.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olydimethylsiloxane (PDMS) membranes were fabricated using a new class of UV-curable PDMS (UV-PDMS) and conventional heat-curable PDMS (Heat-PDMS) materials for n-butanol recovery. In addition, mixed matrix membranes (MMMs) were prepared using silicalite-1 particles as a additive to improve the recovery efficiency of n-butanol. To understand the structure-performance relationship, the surface/cross-sectional morphology and roughness of the PDMS membranes and MMMs were characterized using SEM and AFM, respectively. Consequently, when 20 % of silicalite-1 particles was loaded, the UV-curable MMM exhibited 58 % increased flux with similar separation factor compared to the heat-curable MMM, which is attributed to enlarged the effective membrane surface area resulting from its unique morphology.
        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toxicological study review to evaluate the safety of PDMS on the 69th JECFA meeting. Polydimethylsiloxane is a polymer and its ADI was established at 23rd JECFA meeting in 1979. The ADI was maintained although the specification was expanded at its 26th, 29 th, 37 th meetings.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PDMS with low molecular weight and viscosity has high absorption rate and different toxicity, so it was submitted at 69th meeting. Toxicological studies of PDMS were submitted from the sponsor and additional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a document searching. The toxicological studies were reviewed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for the preparation of toxicological working papers for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In the available acute, sub-chronic and chronic toxicity studies on PDMS, dose-related increases in incidence and severity of ocular lesions(corneal crystal, inflammation of the corneal epithelium etc.) were consistently observed after oral dosing. It seems to be a local irritant effect, but the mechanism by which the ocular lesions arose is unclear, although the lack of absorption of PDMS indicates that it is unlikely to be a direct systemic effect. Consequently, the relevance of the ocular lesions for food use of PDMS could not be determined. The ADI of PDMS was re-established from 0-1.5 mg/kg bw/day to 0-0.8 mg/kg bw/day by applying additional safety factor 2 based on its ocular toxicity. The result of 0-0.8 mg/kg bw/day is a temporary ADI until further data are provided to 2010.
        4,000원
        6.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실리콘은 생체적합성과 기체투과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의료용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에 적용 가능한 실리콘의 합성과 그 응용에 있다. 방법: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를 사용하여 Acrylate-PDMS(Polydime-thylsiloxane) prepolymer를 합성하였다. 여기에 Phenyltrimethoxysilane을 비율별로 사용하였다. 촉매제로는 HCl를 사용하였으며, Na2CO3 수용액으로 촉매를 중화시켰다. 또한 DIW 제거를 위해 MgSO4를 사용하였다. 결과: FT-IR을 통하여 Poly Dimethylsiloxane에 Acrylate와 Phenyl이 Modification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합성된 Polydimethylsiloxane을 이용하여 기존의 친수성을 갖는 콘택트렌즈 재료와의 공중합을 통해 기능성 콘택트렌즈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7.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폴리올레핀산업에서 배출되는 배가스 내에 존재하는 미반응 올레핀 단량체를 분리·회수를 위한 막분리 공정 개발에 관한 연구로 중공사형 복합막의 개발에 관한 연구 결과이다. 중공사형 복합막의 제조를 위해 먼저 고분자 용액의 조성과 내부응고제의 조성을 변화시켜 다양한 구조와 투과도를 갖는 중공사 지지체를 제조하였으며, 그 위에 올레핀 단량체를 선택적으로 투과·분리시킬 수 있는 고무상 고분자(폴리디메틸실록산) 선택층을 코팅 용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두께를 조절해 가며 중공사형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되어진 중공사 지지체와 복합막의 구조 및 코팅 두께는 전자주사현미경(SEM)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올레핀(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및 질소 등의 기체에 대한 단일가스 투과도를 측정하여 그 분리성능을 평가하였다. 최적화된 중공사 복합막의 코팅 두께는 약 10;μm이였으며, 올레핀의 투과도는 에틸렌의 경우 75 GPU, 프로필렌과 부텐의 경우 각각 200과 1,120 GPU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질소대비 올레핀의 이상 선택도는 에틸렌/질소가 6.4, 프로필렌/질소, 부텐/질소가 각각 17과 97로 선택층으로 사용한 폴리디메틸실록산의 고유한 선택도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올레핀 배가스의 분리회수를 위한 새로운 중공사형 복합막이 성공적으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8.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DMS (polydimethylsiloxane) 복합막을 통한 기체분리 공정에서 다공성 지지체의 투과저항과 PDMS 코팅두께가 에틸렌/질소의 분리성능(투과도, 선택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Pinnau 등이 제시한 복합막 투과저항 모델이론식〔1〕이 사용되었다. 지지체의 투과도 또는 투과저항은 PES (polyethersulfone)/NMP(N-methyl-2-pyrrolidone) 고분자 용액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조절하였다. 복합막은 PES 지지체 위에 n-hexane에 녹인 2액형 PDMS 용액을 spin coater를 사용해 코팅하여 제조하였다. 선택층의 코팅 두께는 spin coater의 회전속도를 통해 조절하였다. 투과기체 분리특성은 단일기체 투과도 측정 장치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지지체 및 복합막의 단면구조 및 코팅두께는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얻어진 실험결과는 복합막의 투과저항모델의 이론식과 매우 잘 일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에틸렌/질소의 분리에 있어 PDMS 막 고유의 선택도를 얻기 위해서는 지지체의 투과저항과 코팅층의 최적화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