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산회토양 감자 연작지 토양 pH 수준별로 고토석회, 유황, 황산칼륨, 패화석, 규산질비료, 석회질소, 유안비료를 이용하여 감자 더뎅이병 발생을 경감시키고 토양건전성을 유지하는데 적절한 대체농자재를 선발하고자 수행하였다. 토양 pH가 낮은 황산칼륨 처리구(24 kg/10a)에서는 더뎅이병 발병률이 84.4%, 발병도가 28.4%로 가장 낮았다. 방제효과는 12.3%, 상품율은 93.2%로 다른 처리구와 비교할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석회질소 처리구(60 kg/10a)가 발병도 38.3%로 낮았고 방제효과 23.8%, 상품율 66.3%로 높았다. 토양 pH가 높은 시험구 중 더뎅이병 발병률은 석회질소 처리구(60 kg/10a)가 38.3%로 가장 낮았고 유안 처리구(48 kg/10a)는 62.6%로 높았다. 더뎅이병 방제효과는 석회질소 처리구(60 kg/10a)에서 23.8%로 유황 처리구의 6.1% 보다 4배 이상, 상품률은 66.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감자 더뎅이병 병원균 Streptomyces acidiscabies과 Streptomyces scabiei를 석회질소 2.5, 5 g/L, 10 g/L에 접종시 생장량은 다른 토양개량제 보다 상대적으로 억제되었다. 결론적으로 감자 파종 전에 토양 pH가 5 이하이면 황산칼륨을, 6 이상이면 석회질소를 시비하면 더뎅이병 발생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시판되고 있는 10종의 녹비작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감자 더뎅이병균(Streptomyces scabiei)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정함으로서 감자 더뎅이병 경감을 위한 녹비작물 선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10종의 녹비작물에 대하여 hexane, ether, ethylacetate, methanol 및 water로 순차적으로 용매분획을 하였다. 그 결과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ether, methanol 및 water 추출물에서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다. 감자 더뎅이병균(Streptomyces scabiei)에 대한 항균활성은 methanol, ethylacetate, ether 및 water 용매를 이용한 모든 녹비작물 추출물의 0.25 mg/mL 농도에서부터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methanol 용매를 이용한 하우스솔고 추출물은 감자 더뎅이병균에 대하여 다른 녹비작물 보다 더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하우스솔고의 이용은 감자 더뎅이병 경감을 위한 최적의 녹비작물로 생각되었다.
        3.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ately, the autumn cropping areas of potato have been steadily increased to supply fresh potatoes all year round in Korea. Although "Dejima" is a main cultivar for autumn cropping, it is very susceptible to common scab (Streptomyces scabies) and show high frequency of physiological disorders such as knobs and cracking on tubers. "Chudong" was bred in 2002 for fresh table use from a cross between H83520-3 with short tuber dormancy and "Superior" with common scab resistance. It has attractive, round tuber shape with white skin and flesh colors. Its tuber dormant periods is 5 days longer than 65 days of "Dejima". Its average yields were 32.4 and 21.8 ton/ha at 90 days after planting in spring and autumn cropping of regional yield trials, respectively. It is more resistant to common scab and potato leaf roll virus and less susceptible to late blight (Phythophthora infestans) compared to "Dejima". However, it is susceptible to potato virus Y.
        4.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ohong’ was bred within the potato breeding program of National Institute of Highland Agriculture (NIHA). It was originated from a cross made in 1997 between ‘Jashim’ as a female and 93K65-1 as a male parent. Seohong was evaluated as a seedling number 97S05-1 for tuber characteristics, growth and yielding ability from 2001 to 2002, and than this clone was renamed as Daegwan 1-82. This clone was evaluated in the regional yield trial and the disease resistance in the five locations for three years. Finally, this clone was named as ‘Seohong’ and registered a new recommended potato cultivar in 2006. This cultivar has a round, shallow eye depth, light red-skinned tuber characteristics and low to medium dry matter content. It showed high resistance to common scab (Streptomyces scabies) and potato leaf roll virus (PLRV), however it was susceptible to potato virus Y (PVY) and late blight (Phytophthora infestans). Its mean tuber yields from the regional yield trial and winter cropping trial were 12 and 49 percent higher than that of ‘Superior’,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