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2.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최근 30년 동안 21개 지상관측소 일강수량 자료를 사용하여 한반도의 강수일수 및 강수강도의 지역성 및 계절성을 조사하였다. 일강수량 80 mm를 기준으로 다우와 소우로 나누어 그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강수일수 및 강도의 일차 선형경향도 함께 연구하였다. 호남 지방에서 소우에 의한 강수일수는 모든 계절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많으며, 특히 가을과 겨울철의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컸다. 그러나 다우에 의한 강수일수는 대구를 중심으로 한 영남 지역에서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해안 지방에서 강수량은 많고 강수일수가 적어 강수강도가 모든 계절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연강수량에 대한 기여도는 다우와 소우 모두 다른 지역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최근 30년간 대부분 지역에서 연강수량은 증가하는 선형경향을 보였는데, 대부분 다우에 의한 영향으로 나타났다. 한반도의 연 강수일수는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선형경향을 보이지만, 다우에 의한 연 강수일수는 증가하는 선형경향을 보였다. 특히 충청과 경기지방에서 강수강도의 선형경향이 유의한 지역이 다수 발견되었는데, 이는 이 지역이 집중호우에 대한 위험도가 적지 않은 지역임을 말해주는 것이다.
        4,500원
        3.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made use of the data about days and amount of precipitation from 1906 to 1985 measured by the 34 local weather stations under the Korea Meteorological Service. Based on these data for eighty years, the probaility as well as intensity of precipitation of the probability of probability and intensity of precipitation was studi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nnual average probability of precipitation is 30.5%. 45.0% probability in July was the highest and 22.0% probability in October the lowest. The annual average intensity of precipitation was 10.5㎜/day. 18.0 ㎜/day in August was most intense and 4.4 ㎜/day in January and December least intense. Finally, the precipitation intensity from January to August increased gradually and decreased from August to December.
        4,000원
        4.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비동질성 Markov 모형을 이용한 시간강수량의 모의발생을 수행하였다. 즉, 대상유역을 선정하고 시간강수량을 모의하여, 모의된 시간강수량을 이용한 확률강수량 및 확률홍수량을 산정하여 관측자료와 비교함으로써 비동질성 Markov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모의발생된 강수자료와 관측강수자료의 통계적 특성은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모의년수가 증가할수록 극치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모의자료를 이용해 산정한 확률홍수량
        5.
        199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nalyzed results of observed precipitation and its pH in Kwangju for 262 days from Jan. 1, 1991 to Dec. 31, 1995 are as follows. The annual mean pH was 5.7, and the monthly mean pH values of January-May and November were less than 5.6 in Kwangju. The ratio of acid rain for these periods was about 48.1 %, almost half that of the total observed days. In March, the pH was 5.4 and the ratio of acid precipitation was 69%, an especially serious situation. In the spring, the pH value was 5.5 thus weak acidic. The pH of precipitation tended to decrease with greater precipitation. The relation between persistent time and pH of precipitation is variable, but if the persistent time is long, the pH is constant and low. It is fortunate that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of pH in interannual variation, but it is thought important that the amplitude of variation of pH in 1995 was high and the pH value was 4.1 in October and November. Because heavy and persistent precipitation effects the accumulation of acidity, more concern about acid rain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