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3.
        2014.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pply Chain Management(SCM) is getting important, because size of the company is getting bigger and the kinds of product are various.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corporation, for the optimization of SCM, we have to mak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lan by considering the various fluctuation in the aspect of integration. In this paper, first, It proposed the reasonable operational way of the SCM about when the customer’s demanding is various and demanding expectation fluctuates in capacity standardization of producer stage. Second, the paper proposed the management way for demanding by considering confirmed demanding information, related inventory expense and demanding shortage expense when we mak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lan. The paper applied the genetic algorithm proved for current usefulness. it proposed the optimal operational way for SCM by dividing into 2 ways for dealing with the duration of confirmed demanding information and various fluctuation.
        4,000원
        4.
        2004.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feasibility and advantages of establishing a more efficient distribution system utilizing new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troducing and promoting the diffusion of commodity traceability (the ability to trace the distribution route of products and materials) is necessary in order to make distribution and logistics more efficient, to clarify the safety of foods and daily necessities, to prevent theft and to monitor the dealing of stolen or imitation goods. This thesis focuses especially on a commodity (products) traceability system to enhance transparency for consumers. The expected effects of RFI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Substantial improvement in logistics efficiency. - Higher consumer safety, quality management, and security for foods, drugs, and goods (clothes, books, electric appliances, automobiles, etc.) through improved traceability.
        4,000원
        5.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인 가구 및 핵가족의 증가 등의 소비구조의 변화와 농식품 유통의 다각화로 유통채널별로 적합한 농식품의 포장재가 중요 한 요인이 되고 있다. 물류형태에 따른 포장재 재질과 포장 디자인의 이용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직접유통 농가와 간접유 통 농가 112호를 중심으로 2015년 3월 27일부터 5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 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카이제곱(χ2)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H1. 유통 채널별로 포장박스를 구별하여 제작하는 것에 대하여 집단 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가설이 채택되어서 간접유통 농가집단 보다 직접유통 농가집단이 포장박스 제작을 유통채널별로 보다 더 구별하여 제작하고 있었다. H2. 포 장박스 제작 시 중요 결정요인에 대하여 집단 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가정이 채택되어 간접유통 농가집단과 직접유통 농가집단은 제작 시 중요결정 요인은 유통채널별로 구별하여 제작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 통채널의 다각화에 따른 포장재 활용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택배 물류의 농식품은 소비자가 직접유통 중에서 물류시스템이 더 복잡한 전자상거래로 구입이 많기 때문에 좀 더 견고하게 제작되어야 하고, 비택배 물류의 농식품은 마트 나 상점에서 구입하기 때문에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규정을 준수하여 제작되어져야 한다. 둘째, 직접유통의 경우에는 소비 자와 생산자의 상호 신뢰와 면대면을 통해서 거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포장 디자인을 크게 부각해야 할 필요는 없지만 간 접유통의 경우에는 소비자와 생산자의 상호신뢰가 형성되지 않았거나 미흡하기 때문에 포장 디자인을 통한 상품의 우수성 을 강조하여 포장 디자인을 차별화해야 한다. 셋째, 유통채널에 따른 포장재 표기방식에서 부각해야 할 부분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농식품의 유통채널에 따른 포장재 재질과 포장 디자인의 다양화가 필요하다는 근거를 제시하여 향후 농식 품 포장의 선진화에 바탕이 될 것을 기대한다.
        6.
        2014.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aper deals with the impact of the product distribu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sectors on energy resource use, carbon emissions and economic growth by examining the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s and Granger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in South Korea. The quarterly time series data from the first quarter of 1970 to the third quarter of 2010 (163 observations) are collected and retrieved from the Bank of Korea database. The paper examines the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s using cointegration techniques and Granger causality using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s. Test results indicate a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exists among these variables. In testing directional causality, both the product distribution and the information technology sectors show direct effects on economic growth but only marginal effects on carbon emis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