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artan, the woven, checked, and wool textile considered by many to be originally from Scotland, has in fact been in use in a range of forms across numerous cultures and during various historical periods. The characteristic checked feature is due to the assembly of different coloured threads in both warp and weft directions which intersect at 90 degrees in a combination known as a sett. For well over one hundred years, different setts and thus different colour combinations have been associated closely with different geographical regions within Scotland, as well as different clans or families. Tartan-type textiles have reached popularity at various times and those have often been a predicted fashion trend suggested, for example, by contributors to fashion gatherings such as Premier Vision in Paris. Often proposed designs are best considered based on tartan combinations rather than simple reproductions. Promotional terms such as “patched checks” or “textured checks” have been common, and often these have been derived from tartan-type constructions. This paper explores novel pattern design methods by identifying the underlying grid structures and proportions exhibited by various well-known tartan setts. The possibility of pattern development from tartan grids and their manipulations is thus the focus of attention. An insight into the methodology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of original pattern designs is thus provided.
        5,100원
        2.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atio which we usually use in producing products is nonconforming proportion or percent defective. As our modern society develops, we cannot but meet another proportion in legal, managerial, and medical areas where our human beings might commit various kinds of errors though they do not want them. In this paper we will generally call the ratio‘proportion.’ When the size of such proportion as percent defective is observed by persons, it is not true proportion but apparent proportion because it has been observed with human or situational errors. Past studies have not systematically covered the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such proportions and type 1 and 2 error, but this paper analyses and derives such various relations, and it suggests the guideline as sixteen properties for utilization and sensitive analysis of the relations. Current paper’s consideration of apparent proportion in addition to true proportion as our familiar concept will open and widen existing academic and application areas where people have mainly built societal, scientific and engineering rules and methods based only on true proportion.
        4,000원
        3.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As a part of our research into repair techniques for roads that have collapsed as a result of a natural disaster, this study set out to find the optimum mix proportion for gravels to be used to restore a damaged area. METHODS: This study considered flow and strength-development characteristics. The experimental variables were the W/C ratio, the usage of the admixture, the types of cement, and the quantity of fine aggregate over three different experimental stages.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measured at 12 hours, one day, three days, and seven days. RESULTS : The flow varied with the amount of fine aggregate and the use of a high-range water-reducing (HRWR) admixture. The compressive strength also varied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ement and the W/C ratios. The strength satisfied the expected requirement of 21 MPa after one day, provided the mix proportion was appropriate. CONCLUSIONS: A gravel-filling high-flow cement-based mortar exhibited strength and consistency with a W/C ratio in the range of 0.40 to 0.45, assuming the use of HRWR at 0.5 to 0.7% and a fine aggregate/cement ratio of 1.0 to 1.5.
        4,000원
        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루돌프 비트코워의 저서 『인본주의 시대의 건축원리』의 성공을 새롭게 보려는 시도이며, 이 저서가 미국 건축구조의 역사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비트코워가 추구한 기하학적 혹은 수학적 원리와 그 적용의 연결고리를 제시하기 위하여, 리차드 벅민스터 풀러, 콘래드 왁스만, 로베르 르 리콜레, 펠릭스 사무엘리, 앤 팅의 작업을 분석한다. 논문의 1장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인본주의 시대의 건축원리』의 성과를 분석하며, 2장은 기하학, 형태, 성장 간의 관계를 3장에서 논의되는 기하학이 구조와 사전제작과 연결되는 점과 비교하여 고찰한다. 그리고 논문을 결론지으며 “비율의 가변적 개념”이 건축의 전망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5,700원
        5.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시멘트콘크리트 포장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는 수준에 비하여 이의 기술적인 발전은 상대적으로 뒤쳐져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용기간의 증가와 함께 여러 가지 기술적인 문제점도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콘크리트포장 배합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한국의 실정에 부합하는 장수명의 고강고 고내구성의 콘크리트 포장의 최적배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단위시멘트량, 잔골재율(S/a), 그리고 물-시멘트(W/C)비 등을 변수로 하여 배합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장기적인 공용수명을 확보하고 고강도 고내구성의 포장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단위시멘트량을 375kg/m3, 400kg/m3, 425kg/m3 수준으로 증가시킬 것을 권장한다. 또한, 최적배합표는 포장타설 장비를 활용하여 포설하므로 슬럼프 40mm로 결정하였고, 동결융해 방지를 위하여 공기량을 5%로 결정하였다. 또한 시공 시 재료 수급의 원활함을 위하여 굵은골재 최대 치수를 25mm로 결정하였다. 도로의 장수명을 위한 고강도 배합을 위해 낮은 W/C비와 단위시멘트량의 증가가 요구되는데, 예비실험 결과 공기연행제와 폴리카본산고성능 AE감수제를 사용하여 W/C비를 0.4까지 낮추어도 증가된 단위시멘트량에 대하여 충분히 목표 슬럼프를 가지는 배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실험 결과 S/a를 0.34까지 낮추어도 골재의 분리 등 문제를 보이지 않고 충분히 배합이 가능하였으며, 이는 단위 시멘트페이스트 양의 증가로 인한 점착력 증가와 워커빌리티의 향상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esents various interval estimation methods of binomial proportion for small n in multi-product small volume production and extremely small ^P like PPM or PPB fraction of defectives. This study classifies interval estimation of binomial proportion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exact, approximate, Bayesian methods. These confidence intervals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applied to attribute process capability and attribute acceptance sampling plan for PPM or PPB.
        4,000원
        7.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 is analysis device development for design of experiment with calcium chloride relation used a hardener to search cause of product crack, product reliability improvement building data-base program for computer system of mixture rate, product improvement, and new product development.
        4,000원
        9.
        199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을 함유하지 않은 소시지와 각각 5%, 15%, 30%, 45%의 간을 함유한 세절형(sliceable)과 퍼짐형(spreadable) 그리고 훈연 퍼짐형(smoked spreadable) 소시지를 제조하여 간소시지의 산패도를 측정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시지의 조지방 함량은 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조지방 함량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공정별로 살펴보면 간 45% 함유 소시지의 경우에는 제조공정에 상관 없이 15%이하의 낮은 지방 함량을 나타내어 간의 함량에 따라 소시지의 지방 함량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제조일에는 세절형 소시지가 퍼짐형 소시지보다 산가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훈연한 퍼짐형 소시지도 훈연하지 않은 퍼짐형 소시지의 산가 1.74~1.80보다 더 높은 산가를 나타내었다. 산가는 종류별로 산발적인 차이를 보이나 간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산가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3. 간 소시지의 저장시 과산화물가는 간의 함량과 제조공정에 상관없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여 제조일에는 27.19~29.43이었으나 저장 14일에는 85.35~88.56으로 저장 28일에는 117.86~145.14로 증가하였다. 4. Malonaldehyde 함량은 간의 함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제조일에는 세절성 소시지가 2.72~2.73μg/g으로 가장 높은 malonaldehyde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훈연하지 않은 퍼짐형 소시지군이 1.32~1.33μg/g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에 따라 malonaldehyde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4,200원
        10.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근 친환경 대체 시멘트로 주목받고 있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alcium sulfoaluminate, CSA) 시멘트의 수화 반응을 탐구한다. 배합수 및 석고의 첨가량에 따른 페이스트 배합실험을 하였으며,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실험을 통해 각 변수 및 재령 일에 따른 광물 상(mineralogical phase)을 정량분석하였다. 클링커 광물의 정량분석 결과를 입력 값으로 깁스 에너지(Gibbs energy) 최소화 계산을 통한 CSA 시멘트의 수화반응 모형을 도출하였다. 배합수의 증가는 CSA 시멘트의 수화반응을 촉진 및 향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석고 첨가량 증가에 따라 CSA 시멘트의 완전 수화를 위한 최소 요구 배합 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1.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re accurately predic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according to mixing proportion using UPV(Ultrasonic Pulse Velocity) method. The equation to predic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is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 of UPV method.
        12.
        200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식초를 이용하여 분말식초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고자 부형제의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분말식초의 품질특성을 평가하여 분말식초의 제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혼합 피복 물질로 제조된 분말식초의 품질특성을 비교한 결과 -cyclodextrin과 gum arabic이 2.5:7.5의 비율로 제조한 분말식초가 비교적 낮은 수분함량을 나타내었고 산도는 높은 수치를 나타내 식초를 포집하는 능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비율로 제조한 분말식초의 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