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환경과 교통이슈로 자전거가 대안적 교통수단으로 주목받는 가운데, 많은 나라에서 자전거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 공유경제 플랫폼인 공공자전거 사업을 운영 중이다. 서울시 역시 공공자전거인 “따릉이”를 5년째 운영 중이며, 이제 따릉이는 서울의 단거리 교통수단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이 연구는 따릉이가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 연구는 자전거 흐름의 시공간적 패턴을 파악하고 그 원인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따릉이의 요일, 시간대별 이용 패턴을 분석하고, 서울시의 주요 자전거 네트워크 클러스터를 찾는다. 네트워크 클러스터를 찾기 위해서 Getis와 Ord의 Gi통계를 공간 네트워크로 확장 적용하였다. 이후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 치환법(Bootstrap permutat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서울시 에서 시계열에 영향받지 않는 명확한 자전거 네트워크 클러스터를 확인하였다. 하지만 국지적 분석 결과는 시간대별 통행 방향에 명백한 차이를 보여준다. 이 연구는 따릉이의 효과적,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 따릉이 이용 패턴의 시간, 공간적 차이를 측정하고 반영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4,600원
        2.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Seoul introduced public bicycles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reate a healthy society. Because the use of bicycles is highly weather dependent, and bicycles are rented by the people, member characteristics and seasonal influences should be considered. This study analyzed bicycle traffic characteristics considering seasonal and member characteristics and highlighted some implications. METHODS: The Yeouido and Sangam districts, which have multiple business districts, were taken as the areas of interest. In order to reflect seasonal and membership characteristics, the traffic volume, time of us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zone were categorized by season (spring, summer, autumn, winter) and membership type (season, daily, group). In addition, we analyzed the pattern of traffic volume and usage time according to the traffic purpose after separating rental locations into residential, business, subway, and park, reflecting the land characteristic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seasonal characteristics were high for bicycle traffic, time of use, and occupancy rate for park locations in spring and autumn. In terms of membership characteristics, group and daily users appeared as major visitors for park locations, and the trends of commuter pass users showed that bicycle use meets the purpose of introducing public bicycles. CONCLUSIONS: Traffic characteristics differed according to seasonal and membership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involve and extend the users of the commuter pass. Situations in which commuter pass users cannot function as a group or in which daily users monopolize bicycles (especially near parks, near subway stations, etc.) must be avoided.
        4,300원
        3.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purpose of study is to come up with ideas to improve both the use of the public bicycle and the practicality of the public bicycle system as well. METHODS: The study carried out an analysis on factors which would influence user's satisfaction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and then, discussed what the current public bicycle system should do to make improvements of its own. In order to Satisfaction of the public bicycle system( “Tashu”) in Daejeon city survey was conducted users and was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SPSS 20 progra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rogram AMOS 20 was used for analysis. In addi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ach question was conducted verification, to verify the hypothe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used, the connectivity, the convenience, the economic efficiency and the reliability in order were observed to have an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 CONCLUSIONS : The connectivity turned out to be a factor that would have the greatest concern with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 This finding was, therefore, interpreted that people who would ride the public bicycles understand them as more of a transit system that would take them, the people themselves, to another transfer rather than as some immediate transit system.
        4,300원
        4.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도시가 발전하고 변화하면서 역기능적 요인을 개선하고, 순기능을 부여하는 노력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는 도시의 기능을 회복하고자 하는 서비스디자인의 중요성이 새롭게 주목받는데 있다. 서비스디자인은 공공재로서의 공공디자인, 시설물디자인 등이 있는데, 이러한 디자인들은 시스템과 결합된 설계 및 서비스의 개선 방법들이 새롭게 적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서비스디자인은 점차 제품의 서비스화 뿐만 아니라 서비스의 제품화가 강조되면서, 소비자 중심의 요구를 반영한 결합형 디자인을 필요로 한다. 다만, 급속도로 빠르게 변화하는 서비스경제 속도가 소비자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 활성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서비스디자인에 관심을 갖고 연구함으로써 서비스디자인 순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는데 그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공공서비스디자인 적용사례 중에서 자전거를 중심으로 사례연구 및 이론고찰 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자전거 공공서비스는 자동차가 중심인 도시공간에서 제한적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거점지역과 인접지역을 중심으로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공공자전거의 도입부터 운영까지 공공기관에서 지원하다는 점에서 정책의지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결국, 공공서비스디자인이 적용되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책적 지원과 지속적 예산지원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주차정책, 자전거서비스디자인의 이용환경 연계 등을 통한 사회 전반에 적용가능한 다양한 서비스디자인 가이드라인 제공되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향후 본 공공서비스디자인 연구는 공공서비스디자인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제반된 제도 및 서비스디자인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