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

        22.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easonal changes of leaf growth and related characteristics in three cultivars of orchardgrass; Potomac, Kay and Suma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Leaf elongation was increased i
        4,000원
        23.
        198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cutting times at 0, 10 and 20 days after lodging on the percentage of dead plants and bare ground, live and dead matter build-up, and botanical composition of orchardgrass dominated pastur
        4,000원
        24.
        198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final cutting time and cutting height on the winter survival, regrowth, and carbohydrate reserves in stubble, and early spring yield of orchardgrass-dominated pasture before and after the w
        4,000원
        25.
        198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고랭지(高冷地) Timothy 우점초지에서 목초(牧草)의 적정(適正) 예취회수(刈取回數)와 최종(最終) 예취시기(刈取時期)를 구명(究明)하고자 DM 생산량(生産量), 월동후(越冬後) 초기생육특성(初期生育特性), 다음해 1차수량(次收量) 조단백질(粗蛋白質) 및 조섬유(粗纖維) 생산량(生産量)을 조사(調査)하고 그들간(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초기생육(初期生育)이 개
        4,000원
        26.
        198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고랭지(高冷地) Timothy 우점초지에서 목초(牧草)의 적정(適正) 예취회수(刈取回數)와 최종(最終) 예취시기(刈取時期)를 구명(究明)하고자 DM 생산량(生産量), 월동후(越冬後) 초기생육특성(初期生育特性), 다음해 1차수량(次收量) 조단백질(粗蛋白質) 및 조섬유(粗纖維) 생산량(生産量)을 조사(調査)하고 그들간(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초기생육(初期生育)이 개
        4,000원
        27.
        198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추파(秋播)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추계예취시취(秋季刈取時取)가 목초(牧草)의 재생(再生), 탄수화물축적(炭水化物蓄積) 및 건물수량(乾物收量)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수행(遂行)하였으며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예취시기(刈取時期)가 빠른 구(區)일수록 높았고(P<0.05), 예취시기(刈取時期)가 제일 늦은 구(區)는 무예취구(無刈取區) 보다도 수
        4,000원
        28.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dangrass와 Sudangrass×Sorghun의 交雜種인 Pioneer 931과 Pioneer 988의 乾物生産量, 一般組成分 生産量, hemicellulose와 世胞內容物 生産量 그리고 乾物, 纖維素의 消化率 및 可消化에너지와 可消化蛋白質을 調査하였다. 1. 10a當 乾物生産量은 Sudangrass가 1,638kg으로 가장 많았고, Pioneer 988은 1,404kg, Pioneer 931은 1,282kg으로 적었다. Sud
        4,000원
        29.
        198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여름철 청예사초(靑刈飼草)로서 이용(利用)이 급증하고 있는;수단그라스계(系) 잡종(雜種) (수수-수단그라스잡종(雜種);Sorg hum bicolor (L.) Moench)중 우리나라에서 생산성(生産性)과 적응성(適應性)이 가장 우수(優秀)하다고 인정된 Pioneer988을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여 질소시비수준(窒素施肥水準)과 예취(刈取)높이가 예취후(刈取后) 그루터기의 고사(枯死)와 저장탄수화물함량(貯藏炭水化物含量)에 미치는
        4,000원
        30.
        198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여름철 청예사초(靑刈飼草)로서 이용(利用)이 급증하고 있는 수단그라스계(系) 잡종(雜種) [수수-수단그라스잡종(雜種); Sorghum bicolor (L.) Moench] 중 우리나라에서 생산성(生産性)과 적응성(適應性)이 가장 우수(優秀)하다고 인정된 Pioneer 988을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여 질소시비수준(窒素施肥水準)과 예취(刈取)높이가 신지(新枝)(측지(側枝) 및 분얼경(分蘖莖))의 발생(發生), 건물중(乾物重) 및
        4,000원
        31.
        197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xperiment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rate of regrowth, the changes of carbohydrates contained in the samples right after cutting, plant part for storage of carbohydtates and top-dressing time of ladino clover and orchardgrass. Plants were grow
        4,000원
        32.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effects of time of defoliation on fruit quality of pear (Pyrus pyrifolia Nakai) trees, managing with low-pesticides, and regrowth of stem cuttings in vitro. Treatments included for 40% of uniform defoliation at early-August, end-August, and early-September, as well as control (no defoliation). Defoliation at early-September and control increased growth of water sprouts as well as concentrations of carbohydrates, total nitrogen, and free sugar in one-year old shoots. Defoliation at early-September and control increased fruit yield and mean fruit weight, with high soluble solids content and fruit surface color of a* observed for both defoliation at end-August and early-September. Defoliation at early-August increased rates of electrolyte leakage in stem cuttings at -18℃ in vitro.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for germination rates of the cuttings between the treatments at -18 and -21℃ in vitro, with the highest germination of the cuttings observed for defoliation at early-September and control at -27℃. Therefore, orchard management should be performed to be minimized for defolia-tion of the spur leaves until end-August, causing from precipitation and pests.
        33.
        200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pipe materials on corrosion and bacteria regrowth using a laboratory scale batch test. Two varieties of feed water with different microbial conditions were selected: tap water, surface river water (Han River water), and five pipe materials; carbon steel, copper, galvanized iron, stainless steel, and PVC. Carbon steel and galvanized iron pipes showed higher corrosion rates than other materials. In terms of attached bacterial growth, pipes with PVC and stainless steel showed higher bacteria concentration compared to other materials. Pseudomonas vesicularis was the predominant bacteria found on biofilm. The behavior of bacterial growth in the pipes was observ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34.
        200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of C and N metabolisms in response to phosphorus-deficient stress during regrowth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 C and N metabolites were analyzed at 0, 6, 12 and 24 days after defoliation. P-sufficient (control, +P) and P-absent (-P) nutrient solutions were applied from 7 days before defoliation, and continued for one cycle of 24 day-regrowth period. During 24 days of regrowth, dry matter of regrowing shoots and remaining tiss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 and -P treatment. In remaining stubble, 70% to 91 % decline of the initial level (at day 0) in all C compounds occurred during the first 6 days of regrowth. Initial amounts of nitrate and amino acids in roo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 medium. Nitrate contents in stubble in the +P medium significantly decreased for the first 12 days and then rapidly recovered, while that of the -P medium continuously decreased until day 24. Amino acids in stubble in the P medium were continuously increased during the whole regrowth period. Soluble proteins in stubble in the +P medium also largely fell down (46.0% of the initial) for only the first 6 days, however the decline in the -P medium continued until day 12. In regrowing shoots, the accumulation of C compounds was significantly higher, while that of N compounds except amino acids was largely lower in the -P medium. These results showed a stimulation of carbohydrate synthesis and a compensatory utilization of organic reserves occurred to support regrowth under P-deficient condition.
        35.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evaluates wintering ability to maintain green color of lawn grasses during winter and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op dressing of fertilizer on improving green color during regrowth. Kentucky blue-grass could maintain green color and leaf chlorophyll content better than tall fescue and creeping bentgrass in winter. All three grasses in this experiment have shown the excellent wintering ability. In enhancing the recovery of green color at the early stage of regrowth, the mulching effect with rice straw was highly significant for creeping bentgrass. Green color recovery in grasses during its regrowth was better at the top dressing plots than at the plots without top dressing, but when fertilizer application levels were increased, green color in lawn gras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Although green color in tall fescue, Kentucky bluegrass, and Korean lawngrass could be maintained during summer, the green color of creeping bentgrass is reduced significantly with high temperature. Top dressing after winter and mowing improved leaf chlorophyll content and green color in tail fescue and Kentucky bluegrass significantly. However, Korean lawngrass did not respond significantly with increased levels of fertilizer.
        36.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inactivation and microbial regrowth of heterotrophic and nitrifying bacteria using chloramine as a secondary disinfectant for drinking water distribution system. Three sets of the three reactors filled with the Cl2/NH3-N ratio of 3:1, 4:1 and 5:1 were used in these experiments. Chloramine concentration were applied to each set of the reactors with 1㎎/ℓ, 2㎎/ℓ and 3㎎/ℓ, respectively. For the set with 1㎎/ℓ was applied, all the reactors showed that the residual chloramine concentration gradually decreased with elapsed time and reached to zero level after 7 days. Heterotrophic bacteria remarkably increased and nitrification occurred after 11 days. For the sets with 2㎎/ℓ and 3㎎/ℓ, however, the residual chloramine was maintained through the experimenatal period (21 day). Furthermore the regrowth of heterotrophic bacteria and nitrification were not found. More than 2㎎/ℓ of chloramine with Cl2/NH3-N ratio of 3:1, the nitrification could be inhibited by 2 days of contact time.
        37.
        199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알팔파 (Medicago sativa L.)의 예취후 재생 기간중 저장탄수화물의 이용성을 규명하기 위해 수경재배하여 개화초기에 예취한 후 재생 24일간의 뿌리내 비구조탄수화물의 함량 및 전분 분해효소의 활력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재생초기 10일간의 잎과 줄기의 재생은 매우 느리게 진행되었으며, 예취후 뿌리의 성장이 억제되었다. 2. 예취후 초기재생 10∼14일간 뿌리내 가용성 당 및 전분의 함량은 다같이 감소하였다가 이후 빠르게 회복하는 경향이었다. 3. 재생기간중 exo-amylase의 평균 활력은endo-amylase에 비해 약 400배 이상 높았다. Exo-amylase의 활력은 재생 6일차(최고수준) 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하였다. Endo-amylase의 활력은 재생초기 4일 동안 급격히 증가하다가 이후 재생 24일차(최고수준) 까지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알팔파의 재생초기 동안 전분 분해효소의 활력의 증가와 아울러 뿌리내 저장탄수화물은 활발히 분해되어 새로운 조직의 재생에 이 용됨을 간접적으로 제시한다.
        38.
        199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ite clover는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계속방목에 대한 적응력이 낮아 존속연한이 짧은 것이 결점이다. 따라서 본 시험은 white clover 혼파초지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예취주기의 장단(7일, 14일, 28일)이 28일의 재생기간동안 잎의 크기가 다른 white clover 품종들(Osceola, Huia, S184)의 수량과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온실에서 pot 시험으로 실시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8일의 처리기간중 수확 건물중은 대엽종 Osceola가 타품종에 비하여 많았고, 예취주기를 28일에서 7일로 줄임으로써 현저히 감소하였다. 2. 재생기간중 개체당 건물중은 주로 잎과 엽병의 증가에 기인하였고 예취 후 14일부터 대엽종 Osceola가 타품종에 비하여 많았다. 3. 개체당 엽면적과 복엽당 엽면적은 28일의 재생 기간동안 꾸준히 증가하였으나 예취를 28일에서 7일로 줄임으로써 현저히 감소하였다. 대엽종 Osceola의 개체당 엽면적과 복엽당 엽면적은 타품종에 비하여 많았다고 하나, 예취 후 28일의 개체당 엽면적에는 품종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4. 예취주기를 짧게 할수록 엽수와 엽병장이 감소하였으며 예취 후 14일부터 타품종에 비하여 소엽종 S184가 많은 엽수를, 대엽종 Osceola가 긴 엽병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 개체당 포복경장과 분지경수는 재생기간동안 급격히 증가한 반면 소엽형 S184에서 가장 길고 많았으며 예취주기를 28일에서 7일로 줄임으로써 현저히 감소하였다.
        39.
        199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계청예작물인 수수-수단그라스 잡종 855F, 진주조 수원 6 호, 사료용 피 King millet 를 대상으로 제 2차 예취시기인 9월 17일부터 4일 간격으로 신생엽과 하부 잔존엽의 생장과 광합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예취일로부터 수수-수단그라스, 진주조 신생엽의 엽장, 엽폭, 엽면적, 경당 엽수, 엽건물중, 비엽중은 계속적으로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여 주었다. 피의 경우 이들과는 달리 하부잔존엽은 예취후 12일 이후로 모두 고사하여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예취후 20일이후 신생엽의 길이는 신장을 중단하였고 엽폭만이 과도하게 신장하는 이상생육 형태를 나타냈다. 2. 예취후 일수 경과에 따른 광합성의 속도 변화는 예취구에서 수수-수단그라스, 진주조, 피의 신생엽이 20일 이후부터는 기존엽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3. 세 작물의 기공 밀도는 수수-수단그라스 ,진주조가 피 보다 높았으며 기공의 크기와 형태 그리고 엽육세포는 예취후 12일 이후에 완전한 형태를 갖추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4. 그루터기 기저부의 저장탄수화물 함량은 수수-수단그라스의 경우 예취후 8일까지는 감소하였고, 20일 이후로는 증가하였으나 진주조 및 피는 예취 당일 그루터기내 저장탄수화물 함량이 10%내외로 극히 낮은 상태였고 예취후 20일까지 저장탄수화물 함량은 계속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예취후 32일 경에는 3.0에서 4.0%수준에 이르렀다. 5. 수수-수단그라스, 진주조의 신생염은 제 2차 예취후 12일 이후에 독립적인 생육이 이루어졌다. 이들이 재생특성은 수수-수단그라스는 에너지원으로서 그루터기의 저장탄수화물을 주로 이용하였으나 진주조는 하부 잔존엽의 동화작용에 주로 의존하였고 피는 저장양분의 축적이 빈약하였고 기온 강하에 민감히 반응하여 재생이 억제되었다.에서는 어린모 : 998℃ , 25일묘 : 984℃ , 손이앙묘 : 949℃ 에서 최대수량을 보였다. 4. 육묘방법에 따른 이앙시기별 쌀의 품위는 금오벼는 어린모에서 조기이앙에 따라 동할미가 많았고 청미가 적었으며 7월 5일 이후의 이앙에서는 청미가 현저하게 많아지면서 동할미도 증가하였다. 팔공벼와 동진벼는 이앙시기간에 차리가 인정되지 않았고 다만 극만식인 7월 5일 이후의 이앙에서만 청미 비율이 높았다.품종보다 높았다. 또한, IR255888에서는 분얼당 엽면적 및 건물중이 천립중과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IR58에서는 관계가 없었다. 7. 수량을 감소시키는 요인 중에 하나인 주내경쟁 정도는 소얼성품종이 다얼품종보다 적었다. 또한, 다비밀도 상태에서는 다수확을 위한 주당 묘수가 적정 재식밀도에서의 주당 묘수보다 적었다.품이 많이 이용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이, 농어촌 가정의 부엌설비와 가족의 식사현황 문제를 조사해 본 결과 과거에 비해서는 좀더 합리적으로 변모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으나 아직도 개선해야 할 점은 많은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앞으로 구체적이고도 현실적인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기대해 본다.7.4% 증수되었음을 보이었다. 7. 식물체중의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구, 5%, 10% 유황첨가구가 3.31~3.50%로서 비슷하였고 15% 유황첨가구는 3.94%, Dolomite첨가구는 5.38%였다. 아미노산도 15%유황첨가구와 Dolomite첨가구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현미중 조단백질은 15%유황첨가구가 10.14%로서 최고이었으며 10%유황첨가구와 Dolomite첨가구는 9.85%로서 다음이었다. 아미노산도 대조구의 현
        40.
        198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 기계이앙 육묘에서 종자내 배유양분의 소모가 묘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코자 초형이 다른 통일형 품종을 공시, 육묘온도를 2수준으로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묘령의 증가추이는 육묘초기는 주간 30℃ /야간 10℃ (고온구)에서 배유양분소모가 빨랐으며 엽수도 증가되었으나 후기에는 반대로 주간 25℃ /야간 10℃ (저온구)에서 배유양분소모가 완만하였고 배유양분이 늦게까지 시속되고 엽수도 증가하였다. 2. 배유양분의 소진기는 엽기로 보면 고온구 2.5영, 저온구 3.0영이며. 육묘일수로는 22일, 27일에 완전히 소진되었다. 3. 대, 소입종간에는 대립종 품종이 육묘초부터 늦게까지 배유양분이 완만히 소모되었으나, 소립종은 배유양분의 소진기가 대입종보다 다소 빨리 왔다. 4. 이앙후 초기활착과 배유양분과의 관계는 배유양분이 9~10% 남아있는 치묘는 활간이 중. 성묘보다 2~3일 촉진되었으나 배유양분이 6% 남아있는 치묘에서는 촉진효과가 없었다. 5. 따라서 배유양분소모와 묘령 진전에 알맞은 경화기 온도는 25℃ /10℃ 이며. 출아장은 5mm, 치묘의 이앙적기는 배유양분이 9~10% 이상 남아있는 2.0~2.1 엽기이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