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숲은 농촌마을의 대표적 경관이자 녹지 환경으로서의 생태적 기능을 비롯하여 마을의 다양한 문화가 이루어지는 공간 제공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서비스의 개념적 틀을 응용하여 마을숲의 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 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생태계서비스 평가와 관련한 국제 기준의 검토를 통하여 평가지표로 공급, 조절, 지지, 문화의 4개 대분류를 설정하고 28개의 세부항목을 설정하였다. 마을숲과 관련된 21개의 문헌에서 나타난 마을숲의 기능, 역할, 효과 등을 평가 항목에 맞추어 분류하고 각 유형별 세부 내용을 고찰하였다. 과거와 현재의 마을숲 기능을 고려하여 전문가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4개 유형 24개의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다. 도출된 평가 항목으로 4개 마을숲의 주민을 대상으로 중요도를 평가하여 신뢰성을 분석한 결과 24개 문항의 크론바흐 알파 계수가 0.857로, 신뢰성이 높은 수준이나, 공급의 3개 항목, 지지의 1개 항목을 제외하면 신뢰성이 더 높아진다. 또한 각 항목별로 중요도를 분석하면 공급기능은 중요도가 보통보다 낮은 수준이었으며 이는 현재 마을숲에서의 공급기능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신뢰도와 중요도의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마을숲에서 중요도가 낮은 공급 기능 3개 항목과 신뢰성이 낮았던 지지 기능 1개 항목 등 4개 항목을 제외한 20개 항목을 마을숲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지표로 도출하였다.
중국 공산당 제18차 국회 보고서는 ‘중국의 아름다운 농촌 계획’을 발표했으며, 새로운 사회주의 농촌 건설의 배경하에서 농촌 계획과 건설의 열풍을 열었다. 사람들은 농촌 경관의 가치에 대한 이해가 많이 바뀌었고 농촌 색채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촌의 색채 풍경의 관점에서 중국 농촌 지역의 실제 상황에 따라 농촌의 색채를 추출하고 정량화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 경험적 조사, 그래픽 연구 및 통계분석법을 병행하였다. 산동성에 있는 선곽장의 색상 현황 특징을 심도 있게 분 석하고 자연 및 문화적 특성 및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색상 계 획을 포함하여 색채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NCS 색채 시스템을 기반하여 보급화 된 중국 농촌 색 채 모델을 제공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중국 운남성 라평현 명가촌(中國雲南羅平縣明格村)대상지로 명가촌의 생태보전 및 지역발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운남성 라평현의 독특한 계단식 밭 경관(梯田景觀)은 중국의 중요한 농업문화유산이고 매우 높은 보존 가치를 가지고 있다. 운남성 라평현 면가촌에서 살고 있는 포의족(布依族)은 중국의 소수 민족에 속하며, 그 민족의 전통문화와 풍습은 중국의 중요한 무형문화유산으로 보전가치 크다.
중국은 고대부터 다민족 국가였다. 수천 년 간 다른 민족문화와 지역문화가 서로 융합되어 상호 영향력이 중국의 전통문화를 형성했다. 소수 민족의 전통문화는 중국 민족의 전통 문화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운남성 포의족(布依族)은 독특한 의상, 음식, 건축, 무용, 공예 문화를 가지고 있지만 현대문명의 통일화에 따라서 운남 포의족 전통문화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 중국 독특한 소수 민족 문화가 시간에 흐르면서 잊혀지고 없어지는 것은 세계 문화사에 커다란 동정이다. 그래서 포의족 문화의 전승과 보전에 대한 내용도 핵심 내용이다.
현재 명가촌의 농촌마을계획은 장기간 단일화 발전 모델로 이 지역의 보전가치가 큰 계단식 밭경관과 포의족(布依族)의 문화에 대한 고려가 미비하여 점차 사라지고 있다. 본 연구는 명가촌의 경관보전 및 지역발전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내용은 명가촌의 생태마을설계와 무형문화유산의 보전을 기반으로 지역 발전의 활성화 계획을 다루고자 한다.
첫째, 명가촌 생태마을설계에 대한 내용이다. 우선 기존의 농촌마을계획을 진단하였다. 생태마을설계 방향은 자연생태환경과 포의족 전통건축 복원 및 계단식 밭의 보전이다.
둘째, 마을의 무형문화유산 보전방안이다. 농업문화유산은 현대 농업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과학 기술이 꾸준히 발전함에 따라 수천 년 동안 지속되어 온 전통적인 농업은 사라질 위기에 있다. 명가촌 계단식 경작지의 경제적 가치, 생태적 가치, 미학적 가치, 문화적 가치, 과학적 연구 가치 및 사회적 가치와 같은 여러 가치를 가지고 있다. 반면, 면가촌 전통적인 농법은 단지 1차 산업에 국한되어 있고, 계단식 경작지는 경사가 급하고 협소한 폭으로 기계경작이 어려워 농민의 소득과 생활수준을 제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제한요소는 오히려 녹색농업, 유기농업 및 생태농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기회요소가 되고 있다. 계단식 경작지와 연계한 생태관광의 개발을 장려하고, 다자간 경제 보상을 통한 유기농업과 특색 있는 농업을 촉진한다면 지속가능한 발전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명가촌 Permaculture 및 생태관광 모행 도입이다.
1). 전통적 단일농업 → 다양한 산업구조 퍼머컬쳐로 전환(유채 재배업, 유채씨 기름 가공업, 양봉업, 유기농산물 판매 산업)
2). 생태관광 개발 (포의족 전통문화 홍보, 지역수익증가, 생태경관보전)
The present study analyzes a case of a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rural landscape pla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 the initial stage, rural landscape plans focused on renovating the livingscape, which included walls, vacant houses, and roofs. Beginning in 2010,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s were divided into areas such as the livingscape, and the village landscape, which included the natural landscape, ecological environment, and urban landscape, and planned to preserve the agricultural landscape and enhance under-developed landscape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Sunchang-gun (a county in Jeollabuk-do, South Korea) area development project, the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 was planned as a way of formation a new landscape. This indicates that the project was more focused on creating a new specialized landscape consisting of different areas, than it was on improving and maintaining the existing landscape. The livingscape, among all other components of the rural landscape, was addressed the most frequently by landscape projects, which placed emphasis on improving the landscape of the living environment, not the overall landscape of rural villages.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s implemented tasks to highlight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area. For instance, the creation of a themed rest area or characteristic streetscape were treated with importance in all areas. However, landscape projects do not significantly contribute to shaping the overall rural landscape, as they focus on separate facilities instead of considering the overall rural landscape. Given that landscape projects constitute the only landscape-related effort in an area or village, they should be more heavily emphasized in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This plan attempts to rigorously analyze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surroundings of the Ungpo village from the perspective of rural landscape planning.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a strategy for developing the village as a rural tourist hub is established by determining characteristic attractions. The ultimate objectives of this plan are to create a good living environment for the local people and provide memorable attractions to visitors, which are expected to increase the incomes and revive local community. In other words, this plan conceives a village that is an attractive place to visit and also a good place to live. The planning procedure included an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basic concept, basic plan, and landscape plan.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lan are as follows. First, the natural features and surroundings of the Ungpo village were reflected in designing a rural tourist hub. Second, the current infrastructure was considered in the basic plan to create a sustainable rural tourism environment. Third, a water experience space is included in order to create an amusing and exciting tour. Fourth, the existing facilities will be remodeled to create amenities for visitors. Fifth, the main focus of the plan includes the landscape plan, increasing the visibility of streets, and connecting nearby tourist attractions and the landmark plan around the rural tourism center.
This study establishes a landscape plan and landscape-related income generation project plan based on the Weonsaekjang village in Jeonju-si by applying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tangible and intangible village assets to enhance the quality of living environment of local residents as well as the competitiveness of this village as a focal village for rural tourism. Planning wa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theoretical consideration, village resource investigation and analysis, basic design, and detailed project plann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t has formed an appealing image of this village as a place for rural tourism by applying differentiated village assets as the theme of landscape plan. Secondly, a village for rural tourism in which residents can constantly live has been developed as infrastructure for tourism and is based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Moreover, a landscape plan that enables visitors to experience activities that stimulate their senses has been established to promote tourism that boosts consumption. Further, landscape elements that used to hamper the village landscape were enhanced as landmarks to create unique tourism resources. In addition, the effects of landscape plan were maximized through a flexible approach that encourages the linkage between this village and adjacent tourist attractions. Finally,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 project was promoted from the stage of planning to ensure driving force for the project implementation and maintenance.
This research seeks ways to convert the landscape resources of rural village forest into a tourist resource. The study area was restricted to rural village forests in the city of Namwon; we selected 10 village forests using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size, landscape, accessibility, connectivity, historicity, and enhancement possibility. We selected five historic/cultural type groves among the preselected village groves as final target areas for planning and then carried out an analysis of their current status and conditions, which has been included in this research. For Naein village forests, themes concerning the winds of Inpoong-ri and the poongchinadae form of feng shui were used. For Haengjeong village forest, preferentially considered ecological of carpinus laxiflora but that introduced the Dokkaebi, which concerns village forest legends. In the Sagok village forest, the beauty of old pine trees and the champan (vice minister) forest were symbolized; in the Jeonchon village forest, the Battle of Hwangsan was symbolized by connecting it to a location in the neighboring village, the Hwangsan Battle Monument site. The themes of Walgil village forest included the historical culture of the village forest, such as Cheonikseong (a person’s name), a famed doctor who practiced good deeds, stonepiles (stacking of stones), and the pine resin delivery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Japanese collected resin from the pines). The tourism resources of village forests is expected to provide residents with a amenity space for relaxation and leisure activities and visitors with a space to experience history and culture.
이 연구에서는 2013년 경남 농촌현장포럼 마을들을 대상으로 색깔마을 유형과 농촌어메니티자원에 따 라 마을유형을 분류하고 농촌현장포럼 효과를 분석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을유형별 현장포 럼 효과 분석 결과를 토대로 색깔마을 1유형과 하위 30% 마을은 기초인프라와 주민역량강화형, 색깔마 을 2유형과 중위 40% 마을은 체험관광과 2차 산업화형, 색깔마을 3유형과 상위 30% 마을은 체험관광 과 6차 산업화형으로 재유형화 하였다. 또한, 설정된 유형에 따라 앞으로 농촌현장포럼과 마을발전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농촌관광마을의 브랜드 자산이 장소애착 및 친환경 행동의도와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농촌관광마을의 브랜드자산은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 지각된 품질, 지각된 가치로 분류되었으며, 장소애착은 장소의존성, 장소정체성, 사회적 유대감으로 구분되었다. 친환경 행동의도는 단일차원으로 도출되었다. 가설검증 결과, 첫째, 농촌관광마을의 브랜드자산인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 지각된 품질, 지각된 가치가 장소의존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장소정체성은 친환경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장소의존성 또한 친환경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촌관광마을의 브랜드자산 중 브랜드이미지와 지각된 가치가 친환경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N 비가 낮은 농촌마을 하수의 고도처리를 위하여 0.4 µm의 세공크기를 갖고 있는 평막이 침지된 연속회분식 반응기를 사용하였다. 분말활성탄의 투입, 폭기량 및 유입 유기물 농도가 처리효율과 여과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54일 이내의 조업 초기에서는 C/N 비가 증가할수록 COD, T-N 및 T-P의 제거율과 MLSS 농도는 증가하였다. 조업 89일 후의 COD, T-N 및 T-P의 제거율은 각각 97.1%, 75.0% 및 48.3%이었다. 막여과에 의해 처리수에서 SS는 검출되지 않았으며,T-P의 제거율이 낮게 나온 이유는 과잉의 슬러지를 배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분말활성탄을 투여한 경우 조업이 진행됨에따라 분말활성탄의 혼합강도와 충돌빈도가 증가하여 슬러지의 입자크기가 감소하였으며, 이로 인해 분말활성탄을 투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TMP 상승이 크게 나타났다.
대리만족권역은 2012년 농림축산식품부의 권역단위 종합정비사업계획 수립의 시범지역이며 즐거운 교육을 품은 건강한 마을 만들기의 목표를 가지고 기능별 공간구상을 중심으로 계획되었다. 권역은 대리와 호암리이며 쌀, 고구마, 고추, 율무 등이 산업의 중심을 형성하고 있다. 기본적인 공간개발의 방향은 도농교류, 교육과 문화체험을 위한 시설을 배치하여 교육을 품은 건강한 마을만들기를 주축으로 하고 있다. 주요 내용으로 기초생활기반은 도농교류센터와 독거노인 공동홈조성, 지역소득증대는 농산물 저장고와 농촌유학센터, 지역경관개선은 진입로 개선, 안내판 설치, 쉼터조성, 둘레길 조성 등이 계획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별 공간구상은 지역주민들에게 삶의 질을 높여줌과 동시에 지역자원을 활용할 경우 지역경제가 활성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is a research on the Korean immigrant village and house in Y eonbyeon Long-Shan village in China. The house (so called Minga in Korean), which was studied in this paper, is the vernacular architecture of dwelling for the rural people in this area. It is the most common dwelling type.
We can find Korean vernacular influences on the architecture in this area by the Korean-Chinese people. Long-Shan village is laid out with the so called Bae-san-im-su way which means that to the north of the village are mountains, Moa mountain a branch of Baekdu Mountain ( R *I I 1), water, Haeran river (/Bi.~}[) to the south. The main axis of village layout is made of two roads. The village is mainly developed along the east-west main road follows the southern creek. The other axis is north-south main road and other sub roads branch out from it. The sub roads serve as the transition between main road and the allies, which are the access to individual houses. The main building is usually laid on the northern side of the individual site with garden attached in south. The main entry is usually on eastern side of the main building and the separate service buildings are between the main building and the entry. This also relates to the kitchen location in the main building. Usually the kitchen is on eastern side of the main building and most frequently related with separate service building in function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rural economy and vigorous promotion of energy-saving technologies, it is found through a field investigation that the new rural housing in the northeast of China shows new changes on green, energy-efficiency, health, comfort and beauty. The new rural housing mainly applied the technologies of composite energy-saving wall, double or three layers of glass energy saving windows and the roof benzene board insulation, heated in winter by Kang with the fuel of straw, corn stalks and other bio energy, which brings prominent energy-saving effect and the improved indoor environment significantly. The only or main function of the Kang is no longer the heating facilities in winter, but to play its unique benefits of comfort and health for sleep as a bed. the highlights of cultural traditions and customs in Cold rural area, the changes of the Kang are smaller and more exquisite. In the future, northeast rural housing should integrate the technolgies of residential structures, materials and kang further to promote rural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ciety, economy.
한국의 종합적인 농촌개발모델로 알려진 새마을운동은 한국의 국가경제 및 농촌지역사회 발전의 토대가 되었고 최근 들어 많은 개도국으로부터 성공모델로써 인정받고 있다. 최근 에디오피아도 한국의 발전경험과 유사한 변혁을 이루고자 노력하고 있다. 1990년대 초반 이후 에디오피아 정부는다양한 전략적인 개발정책을 통해 농업 및 농촌개발을 최우선순위로 실행하여왔다. 지난 10여년간 에디오피아의 농촌개발은 많은 진전이 있었지만, 초기 목표로 하였던 수준은 달성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에디오피아에서는 새마을운동과 같은성공적인 농촌개발모형으로부터 교훈을 얻고자 하는 노력이커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농촌개발 접근방식으로서 새마을운동의 성공요인들을 에디오피아의 현재의 농촌개발과 비교하여 검증하고자한다. 1970년대 한국의 새마을운동의 경험과 현재의 에디오피아 농촌개발정책을 비교시 농업·농촌개발정책의 틀은 매우유사한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농촌개발현장에서의 실패사례는새마을운동의 정신을 에디오피아 농촌개발시책으로 적용시 좀더 다각적이고 세심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특히 본고에서는 새마을운동의 주요 성공요인으로써 농지개혁과 농촌주민의 사회적연대, 강력한 제도개선과 정부의 리더쉽, 그리고 전방위적인 정책지원, 대상마을에 대한 인센티브시책 및 마을간 경쟁유도 등을 들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이에디오피아에 농촌개발전략으로써 종합적이고 유기적으로 실행된다면 한국의 새마을운동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rural economy and vigorous promotion of energy-saving technologies, it is found through a field investigation that the new rural housing in the northeast of China shows new changes on green, energy-efficiency, health, comfort and beauty. The new rural housing mainly applied the technologies of composite energy-saving wall, double or three layers of glass energy saving windows and the roof benzene board insulation,heated in winter by Kang with the fuel of straw, corn stalks and other bio energy, which brings prominent energy-saving effect and the improved indoor environment significantly. The only or main function of the Kang is no longer the heating facilities in winter, but to play its unique benefits of comfort and health for sleep as a bed. the highlights of cultural traditions and customs in Cold rural area, the changes of the Kang are smaller and more exquisite. In the future, northeast rural housing should integrate the technolgies of residential structures, materials and kang further to promote rural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ciety, economy.
This is a research on the Korean immigrant village and house in Yeonbyeon Long-Shan village in China. The house (so called Minga in Korean), which was studied in this paper, is the vernacular architecture of dwelling for the rural people in this area. It is the most common dwelling type.
We can find Korean vernacular influences on the architecture in this area by the Korean-Chinese people. Long- Shan village is laid out with the so called Bae-san-im-su way which means that to the north of the village are mountains, Moa mountain a branch of Baekdu Mountain (白头山), water, Haeran river (海兰江) to the south. The main axis of village layout is made of two roads. The village is mainly developed along the east-west main road follows the southern creek. The other axis is north-south main road and other sub roads branch out from it. The sub roads serve as the transition between main road and the allies, which are the access to individual houses. The main building is usually laid on the northern side of the individual site with garden attached in south. The main entry is usually on eastern side of the main building and the separate service buildings are between the main building and the entry. This also relates to the kitchen location in the main building. Usually the kitchen is on eastern side of the main building and most frequently related with separate service building in function.
Ever since China declared its economic reform and opening up policies in the late 1970s, it has been under rapid change.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China's history and society was in progress at a pace far too fast i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and housing sector was no excep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houses showing enough changes of modernization process in the rural area, and with a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field survey data conducted respectively in the present decade, considered the architectural elements and changing aspects of housing lifestyle. This paper will explore ① The changes and the status of the members of the village, ② The changes and the status of the structures, ③ The changes and the status of the main areas of housing, ④ The changes and the status of the heating system and the kitchen that crucially affects the space size among the housing facilities, and ⑤ The changes and the status of the bathroom.
Through this analysis, this paper will firstly look at how traditional rural houses has been changed under the modernization process, and will objectively evaluate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the traditional rural houses so that it will help find a way of improving China's rural houses in the future.
최근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강변에 인접한 농촌마을의 관광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농촌마을 계획에 있어서 자연 ․ 생태 및 역사 ․ 문화에 대한 전문적인 고려 없이 현대적인 정비가 성행하고 있어 우수한 농촌 어메니티자원의 질을 저해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농촌 어메니티 자원의 발굴 및 개발은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농촌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농촌관광 활성화 방안 마련의 기본단계로 수변 농촌마을 공간계획에서도 수변 마을의 환경적요인을 고려한 농촌 어메니티 자원의 활용방안에 대한 전략적인 접근방법이 필요하다.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수변에 인접한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농촌 어메니티 자원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공간계획대상지 선택 전략을 수립하였으며 선정된 대상지의 공간계획은 Porter의 지역클러스터 경쟁력 모형 전략을 바탕으로 수행되었다.공간계획 대상지는 영산강에 인접한 나주시 다시면 회진리로 선정되었으며 Poter의 지역클러스터 경쟁력 모형 분석결과 도출된 공간계획 방향인 ‘자연 및 역사 문화 감상을 위한 농촌관광 마을’을 바탕으로 수변공간, 자연 ․ 생태공간,역사 ․ 문화공간으로 구분하여 계획하였다. 각 공간은 농촌 어메니티 자원과 관련하여 나루터, 습지식물원, 천연문화염색관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이와 같은 농촌 수변 마을 공간계획을 위한 일련의 과정들을 통해 농촌 지역 개발을 활성화 시킬 뿐만 아니라,공간계획 시 농촌마을이 보유하고 있는 어메니티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는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농촌마을의 입구에 있는 연꽃방죽은 친수환경적인 경관창출과 레저․휴식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요소이다. 또한 농촌어메니티 활성화를 위한 매우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하고 전남 강진군내 3개소의 연꽃방죽의 특성과 기능 및 의미를 문헌조사와주민 인터뷰 그리고 현장조사를 통하여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연구대상지 세곳의 연꽃방죽은 모두 마을 초입에 조성되어 비보 ․ 풍수적 기능을 하며 형국이나 전설과 관련하여 白蓮地, 鼈蓮池, 杏蓮池의 명칭이 부여되었다.방죽의 수체계는 뒤산의 개울 또는 공동 샘물과 우수를 수원으로 하여 지하수로를 통해 연꽃방죽에 집수되어 여과,침전, 미소동물 및 수생식물에 의한 생물학적 정화과정을 거친 다음 농수로를 통해 최종적으로 농경지 및 하천으로유출되는 구조를 가졌다.마을 식수원인 공동샘과 약 100m 떨어진 곳에 조성되었고 수심 1.2~1.5m인 소택지로서 샘과 관련한 상징적 ․ 생태적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세 곳의 연꽃 방죽은 모두 배롱나무, 소나무, 동백나무, 오죽 등이 식재된 중도가 조성되었다. 하지만 현재 원형을유지하고 있는 곳은 백련지 뿐이고 별연지나 행연지는 치수 및 물량위주의 농어촌지원사업의 여파로 형태의 변형 및크기가 축소되었다.농촌의 연꽃방죽은 경관창출 및 레저휴양 기능 공간이자 어메니티(amenity) 자원으로서 매우 소중한 자원이며 보전복원대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연꽃방죽은 과거 우리 조상으로부터 대대로 이어져온 우리의 농촌문화경관요소이며 공동체적 산물로 재조명되어야 함이 마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