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품종 육종의 주요 목표중 수량의 증가를 위한 요인들을 선발하는 것이 중요하며, 콩에서 수량을 결정하는 요인들중에서는 협수와 립수가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큰올콩과 익산10호를 교배하여 얻은 F10세대의 RIL 계통을 이용하여 수량에 관여하는 요인중 주당협수와 주당립수 및 협당립수를 조절하는 QTL을 분석하였다. 주당협수는 염색체 5번( LG A1), 6번(LG C2), 8번(LG A2)과 9번(LG K) 및 18번(LG G)에서 5개의 독립된 QTL이 탐지되었으며, 주당립수는 염색체 1번(LGD1a+Q), 6번(LG C2), 9번(LG K), 13번 (LG F)과 17번(LG D2) 및 18번(LG G)에서 6개의 독립된 QTL이 탐지되었다. 협당립수는 2개의 독립된 QTL이 염색체 11번(LG B1)과 19번(LG L)에서 탐지되었는 데 염색체 19번(LG L)에서 탐지된 QTL은 전체 변이의 19.3%를 설명하는 주요 QTL이었다. 한편 주당협수와 주당립수는 염색체 6번(LG C2)과 9번(LG K) 및 18번(LG G)에서 공통된 QTL이 탐지되었다.
        4,000원
        5.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wing density, number of seeds sown per hole, andthinning treatment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disease occurrence in Panax ginseng under direct sowing cultivation in ablue plastic greenhouse. Seedling were grown from 2 or 3 seeds sown, and the healthiest was only retained, while the restwere thinned out at the foliation stage. NO3-N, P2O5, and organic matter content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growthconditions in the plastic greenhouse and in conventional shade in the soil. Disease also tended to be higher in the conven-tional shade than in the plastic greenhouse. Plant height and stem length showed an increasing trend with increasing sowingdensity and number of seeds sown per hole. However, these measures noticeably decreased when thinning treatment wasconducted. Growth of the subterranean part of ginseng was not markedly influenced by sowing density, the number of seedssown per hole, or thinning treatment. Root weight,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yield,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number of seeds sown and thinning treatment. Interestingly, root weight tended to be higher in the thinning treatment plotthan the untreated control plot. Damping-off and root rot increased noticeably as the number of seeds sown increased. Dis-ease also tended to be substantially higher in the thinning treatment plot than the untreated control. However, physiologicaldisorder of the plants did not vary with sowing density, the number of seeds sown, or thinning treatment.
        7.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자 분무경산 소괴경을 심지양액 재배하여 기본식물을 생산할 때, 심지의 배치방법에 따른 씨감자의 생산성 조사하고, 심지를 수평으로 배치할 때 알맞은 심지수를 구명하고자 상자(51×31×20cm , 0.16m2 )당 심지 6개를 수직으로 배치하는 처리와 2~10 개의 심지를 수평으로 배치하는 처리를 두었다. 괴경수는 심지 6개를 수직으로 배치하는 것에 비하여 수평으로 배치함으로 증가하였고 평균괴경중은 감소되어, 괴경수량은 심지 6개의 배치방법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상위급씨감자로 사용될 수 있는 5 g 이상의 괴경수는 심지수가 2개에서 6개로 증가됨에 따라 2.8개/주에서 8.0개/주로 증가되었으나, 심지수 6 이상에서는 더 증가되지 않았다. 평균괴경중은 심지수 8개까지 심지수가 많을수록 무거웠으나 심지수 10개에서는 더 이상 무거워지지 않았다. 5 g 이상의 괴경수량은 심지수가 2개에서 6개로 증가됨에 따라 1.81 kg/m2 에서 9.72 kg/m2 으로 크게 증가되었다가, 8개 이상에서는 심지수 증가에 따라 완만히 증가되어 심지 10개 처리구에서는 12.9 kg/m2 이었다. 씨감자 수량과 심지비용, 배지충진 작업의 편리성을 고려할 때 상자당 심지 8개(50.6개/m2 )를 상자의 밑면에 눕혀 수평으로 배치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8.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st soybean cultivars have ovate leaflets, although a few cultivars have narrow or lanceolate leaflets. Narrow leaflet cultivars tend to have more seeds produced per pod than ovate leaflet cultivars, suggesting that the narrow leaflet trait is tightly linked to or cosegregating with the trait controlling number of seeds produced per pod (nspp).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high resolution map of a chromosomal region controlling narrow leaflet trait and nspp in soybean. A BC3F2 population from a cross between 'Sowonkong' and 'V94-5152' was used. Sowonkong have narrow leaflet and 4-seeded pod and V94-5152 have ovate leaflet and do not have 4-seeded pod. The plants of F2 populations showed a segregation ratio of 3:1 of ovate leaflet to narrow leaflet and then leaflet genotypes were obtained from F2:3 population of each F2 individual. The narrow leaflet-containing plants showed Sowonkong-like pod trait and the ovate leaflet-containing plants V94-5152-like pod trait. The results suggested that, in our mapping population, a single gene controls inheritance of the narrow leaflet character and the narrow leaflet trait is tightly linked to or co-segregating with the trait controlling nspp. Subsequently, we mapped the narrow leaflet locus near Sat_105, Satt270 and SM315 on soybean linkage group I that corresponds with the previously known ln locus. Work is ongoing to construct a fine molecular genetic linkage map on this MLG I region and to find a linkage relationship between ln and nspp. Our results should facilitate further elucida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ln/nspp and yield.
        9.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액재배산 소괴경의 절단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2001년 분무경 양액재배산 괴경을 3, 5, 7, 9, 11, 13g의 절편이 되도록 1(전서), 2, 3, 4개로 절단하여 플러그묘판에서 출아시켜 이식재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 후 35일에 출현율은 절편크기가 7-13g에서 83.0-85.4%, 3, 4절단서 재식구에서 84.0-86.6%로 높았다. 2. 10a당 총서 및 종서규격서 수량은 절편크기가 3g에서 9g으로 증가됨에 따라 10a당 총서수량은 각각 2,052kg과 1,589kg에서 2,924kg과 2,428kg으로 크게 증가되었으나 그 이상 절편의 무게가 증가되었을 때에는 괴경수량의 증가는 크지 않았다. 3. 10a당 총서수량은 전서 재식구에서 1,918kg이었던 것이 3절 절단서 재식구에서 2,982kg로 증가되었고 종서규격서 수량도 전서 재식구에서 1,422kg/10a이었던 것이 3절 절단서 재식구에서 2,579kg으로 증가되었으나 3, 4절 절단서 재식구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평균서중은 절편크기가 3g에서 13g으로 증가함에 따라 46.3g에서 71.5g으로 증가되었으며, 전서 및 2절 절단서 재식구의 56.5g과 58.0g보다 3, 4절에서 재식구에서 63.6g과 64.9g으로 무거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