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

        3.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olatile flavor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Synurus deltoides (Arr.) Nakai. The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the aerial parts of plants by the hydro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GC-mass spectrometry. Ninety-six (98.76%)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fresh leaves of S. deltoides (Arr.) Nakai. The major compounds were 6,10,14-trimethyl-2-pentadecanone (19.91%) and phytol (12.38%). Ninety-seven (97.81%)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shade-dried leaves of S. deltoides (Arr.) Nakai. The major compounds were phytol (51.71%), di(6-methylhept-2-yl) phthalate (7.66%), and 6,10,14-trimethyl-2- pentadecanone (4.23%). Quantitative variations of 6,10,14-trimethyl-2-pentadecanone, phytol and di(6-methylhept-2-yl) phthalate according to different state of S. deltoides (Arr.) Nakai can serve as a quality index of essential oils used in the food industry.
        4,000원
        4.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는 한국 산림군락의 주요 우점종인 신갈나무와 소나 무 그리고 조림지의 주요 종중 하나인 잣나무 중에 어느 유식물이 그늘에 내성이 강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리는 실험환경을 전일광(100%, 52.87μmol m-2s-1)에서 차광막 1겹(53.3%, 28.21μmol m-2s-1), 2겹(24.7%, 13.05μmol m-2s-1), 3겹(3.6%, 1.88μmol m-2s-1)으로 나누었다. 생육 이 고른 신갈나무, 잣나무, 소나무 3년생을 2016년 10월에 각 환경에 이식하여 2017년 9월에 소지길이와 생존율을 측 정하였다. 그 결과 광량이 같은 경우 종간 생육의 차이는 없었으며, 같은 종에서 광에 따른 소지길이 비교 결과 세 종 모두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 차광 막이 1겹(53.3%)일 경우에는 세 종 모두 생존율이 100%였 다. 2겹(24.7%)일 경우에는 신갈나무와 잣나무의 생존율이 100% 소나무는 0%였다. 3겹(3.6%)일 경우에는 잣나무의 생존율이 100%, 신갈나무가 66.7% 그리고 소나무가 0%였 다. 이러한 결과는 수관으로 투과되는 광량의 높고 낮음이 세 종의 초기 생육에 영향을 끼치진 않으나, 생존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산림군락에서 종자부터 발아 한 소나무 묘목은 피도가 높아서 광량이 낮을 경우 살지 못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잣나무 유식물의 경우 광량 에 상관없이 잘 자랄 것으로 판단된다.
        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growth of Ilex cornuta Lindl. & Paxton, Cotoneaster dammeri, Ardisia pusilla ‘Variegata’, and Ilex aquifolium 'Silver Queen' when sphagnum moss was used for media, and the pottery plants were submitted to different temperatures and shade levels. After transplantation to pottery pots with Sphagnum Moss, the growth of I. aquifolium 'Silver Queen' at 25℃ of soil was the highest with 16.8 cm in plant height, 75.0 in leaf number, 256.5 cm2 in leaf area, 18.9 g in fresh weight. I. cornuta Lindl. & Paxton and A. pusilla ‘Variegata’ were in the same range but soil temperatures of 15℃, 20℃, or 30℃ had no effect and the survival rate remained 100%. On the other hand, when I. aquifolium ‘Silver Queen’ was submitted to night temperatures of 4℃, 8℃, 12℃, or 15℃,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4.1 cm in plant height, 70.0 in number of leaf, 221.1 cm2 in leaf area, and 18.9 g in fresh weight at 15℃; C. dammeri showed similar results. The survival rate at night temperature 4℃ or 8℃ was 100%, but the plant growth was sluggish. In shading 30% or 60%, the fresh weight of I. aquifolium ‘Silver Queen’, I. cornuta Lindl. & Paxton, and A. pusilla ‘Variegata’ was increased at shading 60% as the plants became taller. Non shading increased the leaf number and leaf area of plants compared with shading. In conclusion, the quality of small woody plants in pottery can be improved when the plant is grown before shipping at a soil temperature of 25°C and a greenhouse night temperature of 15°C, at 30% shading after acclimation
        4,000원
        6.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하절기 고품질 토마토 공정묘 생산을 위한 차광제 종류와 처리 농도에 따른 소형 간이온실 내부의 온도 하강 효과와 작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차광제는 Greenshade(Daesung C & S Co. Ltd., Korea)와 Redusol, Reduheat(Mardenkro Co. Ltd., Netherlands)를 각각 30%(water:shade agent = 7:3, v/v)와 60%(30%×2회)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차광제 처리에 따른 식물체 온도는 Greenshade(GS) 30%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초장은 처리별 유의차가 없었으며, 경경은 대조구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엽장과 엽폭은 GS 30% 처리구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높은 값을 나타냈다. 엽록소 값 역시 GS 30% 처리구에서 가장 높아 Greenshade가 광 선택적 차광제로써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엽록소 형광은 3주차 GS 60%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값으로 측정되어 스트레스 수치가 높았다. 근장과 엽면적,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차광제 처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중 무게 비율인 T/R율은 대조구와 GS 30%에서 가장 낮은 값이 나타났다. 따라서 Greenshade 30%를 처리하는 것이 식물체의 온도 저감과 생육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7.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릉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를 5월 27일부 터 9월 27일까지 매월 삽목에 따른 삽수의 발근율은 5월 은 63.3%, 6월은 53.3%, 9월은 41.8%로 높았으나, 8월은 19.8%로 낮았다. 발근율이 높은 처리는 근장 및 근폭 의 생장도 양호하였다. 발근촉진제 처리에 따른 삽수의 발근율은 무처리 23.3%에 비하여 IBA 250mg • L−1는 46.7%와 NAA 125mg • L−1는 53.3%로 양호하였다. 차광 및 LED 보광처리에 따른 삽수의 발근율은 대조구 23.3% 에 비하여 LED 보광이 66.7%로 가장 높았고, 30% 차광이 43.3%, 60% 차광은 30.0%이었다. 근장과 근폭도 발근율이 양호한 LED 보광 및 30% 차광처리는 양호하 게 생장하였다.
        4,000원
        8.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에서 개발한 고추 9품종, 토마토 5품종을 대상으로 캄보디아의 고온 조건에서 차광재배를 통하여 적응품종을 선발하고 그 품종과 함께 재배기술을 수요자에게 보급함으로서 소득향상에 기여할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한 바 그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고추 품종의 과폭은 최대 1.35cm (60%차광 Internet),최소 0.56cm(10%차광 Chili9) 로 나타났다 2. 고추 품종의 과장은 Asia Dan 4를 제외한 모든 품종에서10%, 60% 차광의 경우 무차광에 비하여 커지는 경향이었다.3. 고추의 과중은 0.9g (무차광 Asia Dan)에서 7.3g (60%Hot Asia)의 범위로 품종별, 차광별로 차이를 보였다.4. Chili 9를 제외한 고추품종에서 차광재배보다 무차광에서주당 과실수가 많았다. 특히 무차광일 경우 Asia Dan 2,Asia Dan 4, Asia Dan 24 등은 각각 55개, 40개, 41개 등으로 차광처리구 보다 많았다. Hot Asia, Hot Pia, Internet품종 등은 차광재배가 더 유리한 것으로 보였다. Asia Dan2, Asia Dan 4, Asia Dan 24 등은 노지재배가 더 유리할것으로 보였다.5. 토마토의 경우 10%와 60%차광의 과실수는 품종에 따라10개~36개의 범위를 보였다. 반면 무차광의 경우는 품종에따라 46~81개로 많았다. 특히 Hero110 과 Hera110의 경우10%차광, 60%차광처리에 비해 무차광일 경우 4배 이상 높은 수확량을 보였다.6. 토마토의 당도는 Asia Rio를 제외한 나머지는 무차광에서 높았다. 특히 Hero80은 다른 품종에 비하여 6.1 brix°를보여 월등하게 높았다.
        4,000원
        9.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자작나무, 개벚나무, 함박꽃나무를 대상으로 피음수준을 전광 처리구(상대투광율; 100%), 약피음 처리구(상대투광율; 64~73%), 보통피음 처리구 (상대투광율; 35~42%), 강피음 처리구(상대투광율; 9~16%)로 달리하여 이들의 내음성 및 광 요구도에 관한 광합성 특성과 엽록소 형광 반응, 엽록소 함량을 조사 분석하였다. 세 수종의 생육시기별 광합성 능력은 7월과 9월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자작나무와 개벚나무에 비해 함박꽃나무의 광합성 능력이 매우 낮았다. 순양자수율 또한 광합성 능력과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수목의내음성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광보상점은 함박꽃나무가 자작나무와 개벚나무에 비해 강한 내음성을 나타냈다. 피음 처리별 광합성 능력에서는 자작나무는 전광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개벚나무는 시기별 차이는 있지만 강피음 처리구를 제외한 나머지 세 처리구에서 비슷한 광합성 능력을 보였다. 함박꽃나무는 보 통피음 처리구에서 가장 좋은 광합성 능력을 나타냈다. 피음 처리별 엽록소 형광 반응 특성에서 광화학 반응에 대한 순양자수율의 최대치인 광화학효율(Fv/Fm)은 자 작나무의 경우 전광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피음 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개벚나무는 약피음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한 광화학효율을 보였으며, 함박꽃 나무는 보통피음 처리구에서 가장 양호한 광화학효율을 나타냈다. 특히 함박꽃나무는 다른 두 수종과는 달리 전광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세 수종의 피음 수준별 광합성 능력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실험대상 수종들의 총 엽록소 함량은 세 수종 모두 피음 수준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전광 처리구에 비해서 강피음 처리구에서 총 엽록소 함량이 유의적 차이를 보이면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엽록소 a와 b 각각의 함량 변화도 총 엽록소 함량과 같은 경향이었다. 피음 수준이 높아지면서 엽록소 b의 함량 증가가 엽록소 a의 함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 때문에 피음 강도가 강해지면서 엽록소 a/b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세 수종의 적정 생육 광도는 자작나무는 전광 처리구(상대투광율; 100%), 개 벚나무는 약피음 처리구(상대투광율; 64~73%), 함박꽃 나무는 보통피음 처리구(상대투광율; 35~42%)가 적합 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수목의 생육에 있어서 광도뿐만 아니라 온도, 습도, 토양환경, 경쟁식생 등 여러 가지 다양한 환경인자가 관여하기 때문에 광도 변화와 연계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500원
        10.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색차광망을 통한 광환경 변화가 꽃도라지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광환경에 대한 반응은 품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개화가 빠른 ‘Pink Fresh’는 청색과 적색 차광망에서 무차광과 흑 색 차광망에 비해 초장과 측지수가 증가하였으나, 개화 가 다소 느린 ‘Rose Pink‘은 청색과 적색 차광망에서 는 무차광과 비슷한 초장을 보였고 오히려 무차광에서 분지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꽃수는 광량이 적은 흑색 차광망에서 감소하였고, 개화시기는 광량이 많은 무차 광에 가장 빨라 광질보다는 광량의 영향이 큰 것 나 타났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분홍색인 ‘Pink Fresh’ 품 종에서 무차광과 청색 차광망에서 가장 낮아 광량과 광질 모두 안토시아닌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1.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하절기 온실재배가 늘어나고 적극적인 온실냉방이 필요해짐에 따라 저비용의 냉방법 개발이 매우 중요해졌다. 경제적인 냉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차광율 수준과 물흘림의 상태가 냉각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분석을 위해 온실모형 모듈을 제작하여 차광율수준과 물흘림수준을 조합 변화시켜가며 경시별 측정을 수행하고 변수의 수준별로 비교분석하였다. 1. 외기건구온도가 상승하면 모듈실내온도도 상승하는 경향이며, 차광막이 있고 물흘림이 있으면 대체적으로 외기온보다는 낮고 물온도보다는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물흘림이 없는 경우에는 차광율의 수준간 건구온도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물흘림이 없이 차광막만 있는 경우 차광율의 수준이 35%에서 75V로 높아질수록 평균내부온도는 낮아졌지만 외부보다는 1.7~4℃ 정도의 높은 온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물흘림과 차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전체적으로 외부온도보다 낮은 가운데 그 차이가 -0.2~-1.2℃ 정도로 외기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물흘림 수준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물흘림은 골고루 분포되도록 분무해 줄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공급되는 물의 온도는 실내온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차광율수준이 높을 수록 모듈내 흑구온도는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차광막만 설치하여서는 외부의 복사광 차단에 의한 냉각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차광막과 함께 물흘림을 병행해야 복사광 차단과 함께 복사 냉각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물흘림이 있는 경우 표면온도는 수온이하이거나 수온보다 높더라도 1.2℃ 이상을 넘지 않았으며, 차광수준이 높을수록 표면온도는 더 낮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물의 증발냉각에 의해 표면이 냉각되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필름표면온도의 평균은 차광막의 수준에 관계없이 비교적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으나 물흘림이 없는 경우 차광율의 수준이 놓을 수록 평균온도는 높게 나타났던 바 이는 차광에 의해 외부 복사광이 차광막에 흡수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4. 상대습도는 건구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교적 직선적으로 하강하였으며, 이는 수분의 공급이 따로 이루어지지 않는 한 절대습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건구온도가 상승하면 자연스럽게 하강하게 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차광막이 있거나 물흘림이 있는 경우에는 외기건구온도의 영향에는 영향을 받지 않고 모듈내 건구온도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12.
        199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공동주택단지내 조경수목의 생장과 피음시간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과천주공아파트 2단지 내의 조경수목 4종을 대상으로 현재의 규격과 식재위치를 조사하여 개체별 그림자시간을 분석하고 피음시간과 수목규격을 단순회귀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R2값이 낮아 두 변수간의 상관성은 설명력이 약하다 하겠으며, 도출된 회귀방정식도 일반화 할 수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즉, 본 연구대상지내에서 조경수목의 생장과 피음시간과의 상관관계가 낮아 대상지내 조겨수목의 생장에 있어서 피음시간은 타 환경여인보다 상대적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만, 전반적으로 스츠로브잣나무는 부(-)의 상관관계를, 단풍나무와 백목련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음양수의 특성이 나타난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수종별로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경우는, 단풍나무의 경우 근원직경 및 수관폭, 백목련의 경우 수관폭과 피음시간과의 관계로서 상관계수 0.4 미만의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4,000원
        14.
        199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itrogen(N) fertilizer levels (0, 120, 240 and 360kg ha-1Y-1 Y-') on seasonal grass growth, dry matter (DM)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pasture under shade condition. Investigation
        4,000원
        16.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I was initiated in six private ‘Campbell Early’ vineyards in parts of Jeollanam-do province to relieve symptom of fruit blight mostly due to a high temperature occurred in Summer. High percentage of fruit blight was observed for medium growth of grape trees non-irrigated. In the study II, grape trees treated with 0%, 30% and 60% shade films were investigated for the tree responses, including fruit blight symptom in the research plots. Harvesting time was advanced approximately two weeks by the 30% shade treatment. High percentage of shades increased total shoot length per tree and decreased shoot diameter, with the greatest number of shoots observed for the 30% shade-treated grapes. Light intensity in the tree canopy was approximately 26% decreased by 30% shade treatment. Marketable harvested fruits per tree were 50.6 of 30% shade treatment, 33.6 of 0% shade, and 42.8 of 60% shade. The 30% shade treatment decreased to 11.8% of cluster blight per tree and to 11.2% of berry blight per cluster. The 30% shade treatment increased cluster weight, berry weight, soluble solid contents, and anthocyanin contents.
        17.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is a multi-year-cultivated plant that causes many insects and disease damage during the growing season. The Ginseng Rain-sheltered Shade House is one of the efficient cultivation techniques as reducing the damages caused by natural disaster such as blight, high temperature & humidity, dry, and heavy rain & snow.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4-years-old ginseng using rain-sheltered shade house suitable shading materials for the Gyeongsangbuk-do. Methods and Results : The rain-sheltered shade house shading materials were PE film with layered polyethylene net 90%, Light diffusion film with layered polyethylene net 75%, blue-white duplicated film. In order to determine proper shading materials of the rain-sheltered shade house, ginseng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plant length, stem diameter, leaf length, root length and root diameter were investigated at 4-years-old ginseng. As a result, the evaluations of aerial part growth by measurements were good in the following order: PE film + polyethylene net 90%, Blue-white duplicated film and light diffusion film + polyethylene net 75%. The evaluations of root weight by measurements were heavy in the following order: Blue-white duplicated film, PE film + polyethylene net 90% and light diffusion film + polyethylene net 75%. The net photosynthetic rate was higher in blue-white duplicated film than other shading materials treatments during growth season including summer high-temperature period. Conclusion : In the 4-years-old ginseng cultivation in Gyeongsangbuk-do using the rain-sheltered shade house, aerial part growth in PE film + polyethylene net 90% was better than other shading materials. In addition, root weight in Blue-white duplicated film was heavier than other shading materials. It will be possible to know which shading material is the most suitable for Gyeongsangbuk-do area after further growth.
        18.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Rural communities were facing labor difficulties due to old age and increasing number of women in the labor force. These factors have caused decrease in effectivity and productivity of ginseng production. Also, due to repetitive ginseng cultivation, salt accumulation in soil becomes more evident. When too much salt is present, ginseng plants appeared to have red colored roots and this caused the fall down of marketability of ginseng. In this study, we tested the use of wide shade facilities to enhance the growth traits of ginseng. Wide shade facilities can also reduce the working expenses of transfer cultivation and replacement by around 1,500,000 won/10a. In addition, this might also reduce the consequences of continuous cropping, thus obtaining a stable and safe field. Methods and Results : We set up 3 kind of facility as wide shade, supply type wide shade and conventional shade in Ginseng & Medicinal Plant Research Institute, Chungnam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Wide shade facility used three different types of shade material, black, red, and blue films. Supply type wide shade facility and conventional shade used polyetylene (PE4 + PE2) film. The planting size were 10 ㎝ × 18 ㎝ (9 × 10 plants), planting number: 90 plants/3.2㎡ in wide shade (include supply type wide shade) and 10 ㎝ × 18 ㎝ (8 × 10 plants), planting number: 80 plants/3.2㎡ in conventional shade. Our results showed that temperature was lower (-0.5℃) in wide shade facility than in supply type and conventional shade. conventional shade was lower (-0.5℃) or similar than in supply type shade. We investigated growth of Korean ginseng 3-years-old root for each facility. Results showed that total growth such as root weight, length was higher in supply type facility than in wide shade and conventional shade facility. Root rot was lower in supply type facility. Conclusion : Wide shade facilities was shown in low temperature than in supply type and conventional shade. Supply type was good for root growth and root rot disease. These finding could be used for place fixed cultivation for ginseng using wide shade facility.
        19.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Rehmannia glutinosa belonging to the family of Scrophulariaceae have been utilized as a traditional medicin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an effect of air curing for seed rhizome of R. glutinosa on storaging ability and yield. Methods and Results : The root of R. glutinosa cultivar (Dagang) was harvested in the end of November. Seed rhizomes were air curing for one to seven days then wrapped with newspaper and further stored in a plastic container box at 1℃. The weight loss and decay rat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eed air curing treatment than in untreated. Especially, the decay rate of control was approximately 50% at 120 days after storage. But, the decay rate of all air curing treatment groups was less than 1%. Also air curing led to an increase in germination rate of seeds and root yield compared with untreatment. Taken together, the best air curing treatment period was 3 days, under the that conditions, germination rate and yield were 88.7% and 2,185 ㎏/10 a, respectively. Conclusion : This study has successfully demonstrated that the air curing of rhizome as a seeds led to considerable increasement of both storaging ability and yield in R. glutinosa.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