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영국 해사법상 S&P 브로커로 널리 알려진 선박매매 브로커는 선박매매를 원하는 의뢰인인 본인을 대신하여 협상을 행사하는 독립적 계약자이다. 또한 S&P 브로커는 선박매매시 본인을 대리하는 대리인으로 그 법적지위를 갖는다. S&P 브로커들은 로이드 선급, 미국 선급 및 한국 선급 등에서 선박의 중요한 명세 자료와 정보들을 수집하여 선박매매를 원하는 매도인과 매수인에게 상호 이익이 되도록 조력 한다. S&P 브로커의 책임은 선박매매계약서의 합의 내용에 반하지 않고 선량한 관리자로서 주의의무를 다하며, 의뢰인인 본인의 요청에 전 문적으로 업무수행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선박매매계약에 의하여 당사자와의 관계 범위, 주된 조건, 계약 위반 및 면책내용에 있어서 분쟁이 발생할 경우, S&P 브로커에게도 책임문제가 발생한다. 이 S&P 브로커의 책임은 직접계약당사자의 원칙에 의하거나 제3자의 권리에 관한 계 약법에 근거한다. 그러므로 S&P 브로커가 의무를 불이행한 경우 또는 계약 내용에 반하거나 과실에 기인하여 불법행위가 야기된 경우, 분쟁 과 소송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S&P 브로커의 특징 중 대리인으로서의 법적 책임, 수수료 문제, 이익의 충돌과 비밀 수수료, 등에 대하여 영국 해사법과 영국 판례를 중심으로 검토하여 논함을 이 연구의 목적으로 삼고자 한다.
        2.
        200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선박매매사이트가 증가하고 있지만,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아주는 에이전트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사이버공간상에 흩어져 있는 선박정보를 손쉽게 찾을 수 있는 지능형 에이젼트의 설계 구조를 정의하는 연구로서 Wrapper 방식의 설계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가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선박매매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매매대상 선박을 정보추출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선박정보를 선택적으로 추출, 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선박매매용 정보추출 에이전트의 기능을 시험적으로 설계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사이버 해운거래시스템이 실현되는 환경 하에서 이를 활성화하기 방안으로 B2B 선박매매 분야에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에이전트의 프로세스는 URL 읽기, 해당 URL 원시 데이터 가져오기, 태그처리 프로세스, 패턴분석 및 분석내용 저장하기로 구성되어 있음을 파악하였다. 또한 설계전략으로 "URL페이지 읽기" 프로세스와 "소스분석" 프로세스의 연계성 정도에 따라 분리시키거나 연계시킬 수 있음을 파악하였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비교 검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