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Euonymus defoliator moth, Pryeria sinica Moore (Lepidoptera: Zygaenidae), is a pest that causes considerable damage to the Euonymus genus, especially Euonymus alatus and Euonymus japonicus.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 sinica have been studied in China, Japan, Taiwan, and the United States, but there has been no research conducted on this species in Korea. Also, P. sinica has two dormant phases in each generation, one as eggs in winter and the other as pupae in summer. Our purposes are to study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opulations of P. sinica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photoperiod on summer diapause.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laboratory conditions (25 ± 1 ℃, 65 ± 1% R.H., 16L:8D) and the number of eggs in an egg mass, developmental periods and mortality rate in each larvae stage, and adults’ life span were deter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190.7 ± 31.64 eggs were contained in one egg mass and it took 25.57 ± 0.61 days from 1st larval stage to the pre-pupal stage. P. sinica has 4 larval stages and each stage took 4.28 ± 0.21, 6.2 ± 0.55, 6.02 ± 0.68, and 8.93 ± 0.88 days. The mortality rate of larvae peaked at 22.5% in 3rd larval stage. The adults’ life span was 4.67 ± 0.97 days in males and 4.61 ± 1.82 days in females. To study summer diapause, we divided pupae into 4 groups. Both low temperature and short daytime were effective in shortening the pupal stage. The pupal stage was the shortest in group D (122.12 ± 1.24 days), in which the initial condition was 25 ℃-16L:8D and the altered condition was 16 ℃ -12L:12D, and the longest in group A (161.92 ± 3.15 days, 25 ℃-16L:8D). These data could be utilized to propose the optimal timing for controlling the population of P. sinica.
        3.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보길도 격자봉과 큰길재를 잇는 능선부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회양목 생육지역의 체계적인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식물군집구조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조사구는 관목층에 분포하는 회양목의 밀도와 지형, 향 등 입지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대표적인 식생 군락 또는 지형의 변화가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총 26개소를 설정하였다. DCA와 TWINSPAN에 의해 소사나무-낙엽활엽수군락, 소사나무군락, 소사나무-회양목군락, 소사나무-상 록활엽수군락, 붉가시나무군락, 황칠나무-붉가시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소사나무가 우점하는 군락은 당분간 현상태 를 유지할 것이나 장기적으로는 주변에 붉가시나무가 우점하고 있어 이들 종으로의 천이잠재성이 높았다. 붉가시나무군 락, 황칠나무-붉가시나무군락의 경우 난대림의 극상 수종으로 알려진 붉가시나무가 우점하는 현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회양목의 경우에도 소사나무가 우점하는 군락은 지형적인 조건으로 인해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겠으나 붉가시나무 우점 군락의 경우, 피도가 높은 특성으로 인해 생육상 어려움이 예상된다. 환경요인과 식생분포간의 관계에서는 토양산 도(pH)만 식생분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외에 pH는 3.78~5.30, 전기전도도는 0.186~0.543dS/m, 유기물함량은 2.25~2.89%로 전반적으로 낮았다.
        4,600원
        4.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unctional beverage by using Caragana sinica extract and Tremella fuciformis Berk, which have high physiological effects such as anti-diabetic, antioxidant, anticancer, anti-lipidemic and anti-inflammatory. To this end, we used various mixing ratios of Caragana sinica extract, Tremella fuciformis Berk, and isomalto oligosaccharide, and measur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ose beverages. The analyses showed the following: moisture content of those beverages using Caragana sinica extract and Tremella fuciformis Berk was 50.51~67.64%, pH was 5.19~5.38, and crude fat content was 0.28~0.52%, crude protein content was 1.26~1.80%, ash content was 0.47~0.80 and sugar content was 8.55~26.98°Brix. The lightness (L) of the beverages was 37.70~58.11, the redness (a) was 6.88~16.94, the yellowness (b) was 13.72~23.68,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2.07~3.46 mg/g,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0.37~0.42 mg/g. Based on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nutritional components and total polyphenols of functional beverage using Caragana Sinica Extract, Tremella Fuciformis Berk and isomalto oligosaccharide were high at a mixing ratio of 1:1.3:25%. These results will increase the use of Caragana Sinica Extract and Tremella Fuciformis Berk, as functional materials in the future, and provide a framework for the manufacturing of diluted beverages comprising mineral water and carbonated water.
        4,300원
        6.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ot water extract of Caragana sinica roots and verified its protective effect on MIA-induced osteoarthritis in rats.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0.40 mg/g and 0.22 mg/g respectively. We found that the weight of all experiment groups which ingested Caragana sinica extract for three weeks evenly increased in rats with MIA-induced osteoarthritis without toxicity in the liver or kidney. In the histopathological test through the Mankin score, the extent of damage of knee joint tissue in the experiment groups to which Caragana sinica extract was administered in 5 mL/kg or 10 mL/k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egative control groups statistically(p<0.05). As for the grade of osteoarthritis, the extent of tissue damage of the experiment groups to which Caragana sinica extract was administered in 5 mL/kg or 10 mL/kg was lower than that of the negative control groups as well.
        4,000원
        7.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niopteryginae is a highly diversified group of Coniopterygidae. In Korea, only two species, Semidalis aleyrodiformis and Conwentzia pineticola, are recorded. Here we report two additional species of Coniopteryginae, Coniopteryx pallescens and Conwentzia sinica, as new records in Korea. Brief descriptions, photos of adults and male genitalia as well as COI barcode sequences are provided.
        8.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Ephedra Sinica has been used to treat obesity in Korean medicine and brown adipocytes also have potential in obesity treatment. Recently, p53 is considered as one of transcriptional regulators regarding thermogenesis of brown adipocytes. Methods and Results : E. Sinica extraction was made with DW and brown preadipocytes were differentiated with adipogenic reagents by incubating for 6 days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E. Sinica extraction 5 ㎍/㎖ and 10 ㎍/㎖, non-cytotoxic concentration determined by MTT assay. Studies were conducted to see whether E. Sinica modulates the expression of thermogenic and adipogenic genes by qPCR and Western blot. Results showed that E. Sinica significantly activated thermogenesis of brown adipocytes by increasing the mRNA expressions of Uncoupling Protein 1 (UCP1), Cell Death-inducing DNA Fragmentation Factor Alpha-like Effector A (CIDEA),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4 (IRF4) and Beta-3 Adrenergic Receptor (ADRB3). However, major adipogenic genes such a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λ) and PR Domain Containing 16 (PRDM16),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the expression level of p53 was decreased by E. Sinica. Conclusion : It is suggest that E. Sinica stimulates the thermogenesis of brown adipocytes via p53 inhibition.
        9.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enopause is characterized by a decrease in estrogen production by the ovaries. Furthermore, the risk of developing chronic diseases including cardiovascular disease, obesity, and diabetes increases in menopausal wome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bility of Caragana sinica (CS) to affect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in an ovariectomized Sprague-Dawley rat model of induced menopause. The animals were divwided randomly into three groups: sham-operated rats (SHAM), ovariectomized rats (OVX), and ovariectomized rats treated with 1% water extract of CS (OVX-CS). The OVX-CS treated mice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adipose tissue,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Improved lipid and glucose profiles were also observed, and were attributed to suppression of hepatic lipogenesis and adipokine production and regulation of glucose-regulating enzyme activity. Therefore, these findings indicate a potential use for CS as a functional food for menopause-induced hyperlipidemia and hyperglycemia.
        10.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ading degree and rooting media on the growth of Caragana sinica and Sedum middendorffianum after cutting. In C. sinica, the highest rooting rate was obtained in cuttings planted in horticultural soil (Sunshine Mix #1) and peat moss mixture (peat moss : perlite = 1 : 1, v/v) under one layer of 35% shading and in cuttings planted in kanumatsuchi soil mixture (kanumatsuchi soil : decomposition of granite = 1 : 1, v/v) under non-shading. Whereas, regardless of shading degree, most cuttings of S. middendorffianum rooted in both horticultural soil and peat moss mixture. Cuttings of C. sinica showed the highest root length, 10.4㎝ in kanumatsuchi soil mixture under one layer of 35% shading but the highest fresh and dry weight of roots in kanumatsuchi soil mixture under non-shading. In S. middendorffianum, the highest root length, fresh and dry weight of root were obtained in cuttings planted in horticultural soil under non-shading. With these results, we recommended that cuttings of C. sinica should be propagated in kanumatsuchi soil mixture under non-shading and cuttings of S. middendorffianum in horticultural soil under non-shading.
        11.
        2014.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ewcastle disease virus(NDV) 감염된 baby hamster kidney(BHK) 세포에서 syncytium(합포체) 형성은 세포막 표면으로의 수송된 바이러스 당단백질 hemagglutinin-neuramidase(HN)에 의해 일어난다. HAU 값은 추출물의 농도가 25과 3.2 ug/mL 사이에서는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NDV 감염된 HAD(%)는 25 ug/mL 농도에서 광범위한 흡착능의 감소를 나타내 바이러스 당단백질의 세포내 생합성은 저해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약용식물인 마황 메탄올 추출물이 바이러스 당단백질의 세포막으로의 수송과 함께 합포체 형성을 저해하여 항바이러스 작용을 하였다. 또한 마황 추출물의 저해활성을 조사한 결과 α-glucosidase에 대한 추출물의 IC50은 18μg/mL이었으며, β-glucosidase, α-mannosidase, β-mannosidase에 대한 마황 추출물의 IC50은 각각 60, 40, 150μg/mL로 나타나 β-type glycosidases 보다 α-type glycosidase에 대한 효소활성 저해능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IC50농도에서는 세포내에서 당단백질 생합성은 저해되지 않으며 당단백질의 수송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향후 항바이러스 관련 작용기작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12.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미생물에 의한 골담초(Caragana sinica Rehder)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미백 효능에 관한 연구로 골담초에 S. cerevisiae KCTC 7913를 첨가하여 발효를 통해 얻어진 발효 추출물을 B16F10 멜라닌 세포에 처리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추출물 내 유효 성분인 resveratrol의 함량이 발효 전의 추출물에 비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멜라닌 생성 과정의 주요 단백질인 tyrosinase의 활성 억제 또한 골담초 추출물에 비해 골담초 발효 추출물의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골담초 발효 추출물의 피부 자극 또한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피부에 안전한 화장품 원료로서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13.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showed the increase of antitumor activities of water soluble E. sinica extract by nano-encapsulation process with lecithin. Five groups of lecithin only group (LO), lecithin nano-encapsulated E. sinica group (LE), E. sinica only group (EO), one negative control group (NCO) and positive control group (PCO) were set for several anticancer experiment and fed into Sarcoma-180 injected mice. The cytotoxicity of LE on the human normal kidney cell (HEK293) showed 14.8% lower than 19.2% of EO and 18.4% of LO. Growth of human liver carcinoma cell and human stomach carcinoma cell as representative of digestive system in vitro was inhibited up to about 85.1% and 87.3%, in adding 1.0 mg/ml of LE, which values 15% higher than that from conventional EO. The survival rates of each mice group were 40%, 63%, 48%, 33% and 100%, respectively after 40 days of injecting Sarcoma-180. The increment of their body weights of the extract feeding groups was suppressed down to 10~15%,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The nano-particles also reduced the hypertrophy of the internal organs such as spleen and liver down to 15~20%, compared to those as the other groups. Among them, LE effectively reduced the size of tumor form to 20%. From these results, in vitro and in vivo antitumor activities of E. sinica could be enhanced by using nano-encapsulation process with lecithin because of better permeation into the cancer cells by confocal observations.
        14.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여러 가지 한약재의 추출물의 항알러지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장수상황버섯의 고체발효 중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여 보았다. 그 결과 마황이 좋은 활성을 나타내어 DNFB (dinitrochlorobenzene)에 의해 유발된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 질환 동물모델에서 피부상피조직의 비후정도를 약 50%정도의 수준으로 완화시키며, 이는 면역조직화학적인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이 결과로, 마황 추출액의 장수상황버섯 고체발효의 최적 조건을 확립한다면 향장소재
        15.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nhance anticancer activities of E. sinica, and A. gigas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The cytotoxicity of E. sinica and A. gigas on human kidney cell (HEK293) was as low as 24.94% and 25.3% in adding 1.0 mg/ml of the sample extracted at 500 Mpa for 15 minute. Generally, the inhibition of cancer cell growth on A549 and MCF-7 was increased over 20% in the ultra high pressure sampl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xtraction process. Under the extracts from ultra high pressure process showed not only the strongest anticancer activities, but also had better stability than normal extracts. It was also found that the extracts of A. gigas reduced the hypertrophy of the internal organs, such as adrenal and spleen caused stresses in several mouse models.
        16.
        200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당귀, 복분자, 마황의 추출공정 요인별 [추출온도 (40℃, 60℃, 100℃), 초음파 병행 (처리조건 : 초음파별) 추출]에 따른 추출물들의 분획물들의 추출수율 증진 및 생산성 향상이 가능한 공정 개발을 위하적 공정 요인에 따라 추출과 분획을 실시하였다. 그 중 모든 분획 추출물 들 중에서 60℃ 온도에서 40kHz의 초음파 병행 추출한 복분자 water 분획층 수율이 59.63%로 다른 추출 공정에 비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당귀 water 분획층의 수율은 50.17%로 나타나 water 분획층의 수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butanol, ethyl acetate, chloroform 분획층의 순서로 수율이 나타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것으로 60℃의 40 kHz 초음파 병행 추출 공정이 생산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면역활성 증진 효과에서 인간의 면역세포인 B, T 세포에 대한 생육 활성도를 각 공정별 추출물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60℃의 40 kHz의 초음파 병행 추출물의 water 분획물에서 180% 이상의 높은 생육 활성도를 나타내었고, butanol 분획물에서는 160% 이상의 높은 생육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Cytokines 분비량은 면역 세포에 대한 활성 실험에서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던 추출공정인 60℃의 40 kHz 초음파 병행 추출물의 water 분획층과 butanol 분획층을 이용하여 분획물 실험을 행하였다. B세포에서의 IL-6 분비량에 복분자 water 분획충이 1.0 g/l에서 5일째 17×10-4 ph/cell로 가장 높은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butanol 분획층이 16.8×10-4 pg/cell의 증진효과를 보였고, 마황과 당귀 water 분획층이 각각 16.5×10-4 pg/cell, 16.5×10-4 pg/cell의 증진효과를 보였다 B 세포에서의 TNF-α분비량은 복분자 water 분획층이 1.0 g/l에서 5일째 18×10-4 pg/cell로 가장 증진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이것은 세포의 생육이 시간에 따라 증가됨으로서 그에 따른 cytokines의 분비량도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추출공정 요인인 온도와, 초음파를 달리하여 그것의 분획물인 water 분획층과 butanol 분획층에 대한 T 세포에서의 cytokine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 온도의 변화를 준 추출공정에서의 IL-6분비량은 60℃에서 가장 좋은 분비량을 나타낸 것으로 복분자가 18.5×10-4 pg/cell로 가장 높은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마황과 당귀 또한 60℃로 추출하였을 때, 1.08배, 1.04배 높은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초음파의 주파수의 변화를 주어 추출한 것으로 T세포의 TNF-α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 40 kHz의 초음파 병행 추출한 복분자 water 분획층이 1.0 g/l 농도에서 20.4×10-4 pg/cell로 60 kHz로 병행 추출한 복분자 water 분획층의 19.5×10-4 pg/cell보다 높은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당귀와 마황에서도 40 kHz의 초음파로 병행 추출한 것이 더 높은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NK-cell의 활성도를 공정 요인별로 측정한 결과 가장 좋은 활성도를 나타낸 것으로는 60℃에서 40 kHz의 초음파로 병행 추출한 복분자 water 분획층 이 배양 6일째 날 1.0 g/l의 농도에서 97%, butanol 분획층은 93%의 활성증진을 보여 초음파 병행 추출하지 많은 것과 다른 온도 조건에 비해 높은 생육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당귀 분획물 또한 60℃, 40 kHz의 초음파 추출물의 water 분획층과 butanol 분획층에서 각 92%와 80%의 활성 증진을 나타내 다른 추출 공정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것으로 알 수 있듯이 생체 방어 기능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최적의 추출공정으로는 60℃에서 40 kHz의 초음파를 병행하여 추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세포 분화활성도의 측정 결과는 복분자 water분획층이 가장 높은 세포 분화 활성도를 나타내었고, 또한 복분자와 마황의 분획물이 crude 상태의 초음파 병행 추출물에 비해 최고 20% 이상의 분화 활성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18.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산 생약재인 가시오갈피 , 마황, 복분자, 인진쑥을 이용하여 추출과정 중 40℃, 60℃, 100℃로 온도를 달리 하여 기존의 열수 추출방법과 초음파를 범행한 추출로 인해 면역 활성 증진이 다르게 나타나는 효과를 비교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여러 조건 중 복분자 60℃, 40 kHz의 초음파 병행 추출물이 가장 좋은 항암활성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추출시 모든 열수 추출물들에 비해 초음파 병행 추출물의 추출 수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추출시 열수 추출에서 미쳐 빠져나오지 않았던 여러 활성 물질이 초음파 처리에 의해 공동화현상과 더불어 액체간의 상호 탈기 작용에 의해 추출 수율의 상승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사료된다. Apoptosis 실험에서는 5일 동안 인간 폐암 세포인 A549의 세포를 이용하여 활성이 좋았던 마황과 복분자의 60℃ 열수 추출물과 초음파 추출을 병행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apoptotic이 열수 추출물보다는 초음파 병행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더 많이 관찰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HL-60 세포분화능 실험에서도 열수 추출물보다는 초음파를 병행한 추출물들이 높은 세포 분화 활성도를 나타냈다. 또한 모든 조건 중에서 생약재들이 60℃, 40 kHz 초음파 병행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세포 분화 활성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앞으로 한국산 생약재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더 많은 실험을 통하여 초음파의 병행 처리에 따른 효과와 이를 통한 기능성 소재 및 기능성 식품으로의 이용을 위해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