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양하게 변화하는 재난양태와 기후변화로 인한 빈번한 재난발생뿐 아니라 생활수준 향상 등의 이유로 재난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연계하여 재난안전 산업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그 동안 다양한 재난안전산업 육성 및 활성화 정책이 수립되었지만, 국가주도의 정책이 대부분이었고, 민간분야와 국민관심도가 반영된 정책은 부재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관심도를 고려한 재난안전산업 육성방안 수립을 위하여 소셜미디어 분석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재난안전분야의 국민관심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최근 3년간의 소셜미디어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민은 실제 발생했던 재난에 대한 내용, 즉각적으로 실생활에서 필요한 분야에 대해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로 경주 지진발생 당시 재난 관련 소셜데이터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뉴스에서는 피해상황 등에 관한 내용이 많은 반면, 트위터와 블로그에서는 구호물품, 대피요령 등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국민적 관심도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셜미디어 활용방안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재난안전산업의 민간분야 확산 차원에서 국민관심도를 반영한 재난안전산업 정책 수립방안을 제안한다.
        6,600원
        2.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형사고나 자연재난 등 재난으로 인한 피해자들이 겪는 위기를 이해하고, 이들이 지속되는 역경과 상실, 스트레스를 견디고 이전의 삶을 회복하도록 돕는 가족 레질리언스의 접근을 통해 우리나라 재난피해자와 가족들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사회복지개입모형을 탐색해보았다. 가족 레질리언스 접근은 문제해결과 성장을 위한 가족의 잠재력을 확신하게 하고, 고통받는 문제있는 가족으로 보던 것으로부터 도전받고 있는 가족으로 보는 관점의 전환을 가져오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Walsh(1998)의 가족 레질리언스의 주요과정을 설명하는 은유로서 방패연을 활용하여 방패연의 주요 구조와 기능을 레질리언스의 핵심개념(신념체계, 사회적 지지, 의사소통, 연결성, 융통성)과 연결시킨 연(鳶)모델을 제시해 보았다. 방패연의 모든 구성요소가 상호작용해서 연을 더욱 높게 날게 한다는 점은 가족 레질리언스의 접근과 유사한 관점을 제공해준다. 또한 가족 레질리언스 접근은 외상과 상실로부터 살아남는 것에서 더 나아가 다시 희망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도록 가족과 지역사회가 협력을 통해 무엇이 가능한지에 대한 비전을 확장시키도록 돕는다.
        5,400원
        3.
        202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lobal warming affects climate change and has an overall impact on all aspects of life. On the other hand, community behavior and disaster aspects also have an important role in people’s lives. This will also have an impact on regional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find the effect of climate, disaster, and social community on rural development. This study uses data on the potential of rural development from PODES 2014, and 2018 data collection on climate conditions and regional status is sourced from relevant ministries. This research uses Ordinary Least Square (OLS) Regression Analysis method, then continued with CHAID analysis to find the segmentation of the role of climate, disaster, and social factors on rural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all research regressor variables significantly influence the Rural Development Index (IPD2018), with an R-squared value of 32.9 percent. Efforts need to be taken in order to implement policies that are targeted, effective, and 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 reference for the government in determining policies by focusing on rural development that have high duration of sunshine, cultivating natural disaster warnings, especially in areas prone to natural disasters, and need to focus on underdeveloped areas.
        4.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생한 유해화학물질사고 사례조사와 재난상황 발생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사례를 분석하여 소셜 방재 생태계 구축을 위한 방안을 도출 하였다. 전국 산업단지의 화학물질 및 화학 제품 제조업체수는 7,341개 업체이며, 전국 산업단지에서 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93%에 이르고 있어 예상치 못한 곳에서, 예고 없이 화학사고가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다. 2012년 9월27일(목) 구미4공단 내 근로자 수 7명의 소기업인 (주)휴브글로벌에서 발생한 불산 누출사고는 사망 5명, 부상 18명, 건강검진 12,243건, 임시거주 340명 등 인적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유해화학물질 누출 사고는 현장뿐만 아니라 사고 주변으로 화학물질이 확산될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 ICT 무선통신기술이 발달되어 소셜미디어 활용이 증대하고 있으며, 일본 쓰나미, 보스턴 폭탄테러와 같은 재난 발생 시 피해자와 가족과의 안부 확인 수단, 재난상황 파악을 위한 중요한 정보 포탈의 역할과 기부의 창구로써 다양한 역할을 행하였다. 따라서 유출시 인적·물적·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유해화학물질 사고에 대하여 ICT 무선통신기술 기반의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산업단지와 근접지역의 사람, 사물을 비롯한 모든 구성요소들이 소통할 수 있는 소셜 방재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
        5.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증가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은 재난사고 발생 시, 재난정보의 전달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이용자들이 서로간의 관계망을 통해 실시간·쌍방향으로 소통이 가능해 정보 전달이 쉽고 빠르게 공유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재난사고 발생 시 중요한 재난정보 전달매체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방재학회에서 선정한 ‘2014년 재난사고 10선’을 대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 재난정보 내용 및 전달체계 분석을 통해 재난정보의 전달 및 공유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국내 약 600만명의 이용자를 보유한 대표적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트위터를 이용하여, 2014년에 발생한 10건의 재난사고와 관련된 트윗과 리트윗 자료를 분석해 이용자 간의 재난정보 내용 및 연결망을 분석하였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자들의 재난에 대한 인식과 정보 제공 기관과 언론사들에서 생산된 재난정보의 전달과정과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재난에 대한 인식 및 재난정보의 전달체계 분석은 효율적인 재난정보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6.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방재 개념은 재해로부터 발생하게 되는 인명 및 재산피해 등의 1차적 피해 저감을 주요 목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재해위험을 근원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재해의 발생 원인을 제거하는 개념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해위험경감대책 수립 시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기후변화로 인해 가중되고 있는 피해 규모를 근원적으로 경감시키는 개념의 도입이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개발 및 사회 각 분야의 계획 및 관리에 있어 방재개념을 도입함으로써 각종 개발 수립 시 계획단계에서부터 재해예방을 고려함으로써 재해 발생 요인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전략 수립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분야에 방재개념 적용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사회분야별로 재해저감을 위한 정보 및 기술이 공유될 필요가 있으며 사회적으로 지속가능한 개발과 재해위험경감에 대한 의식 향상 등 사회 및 문화적 접근 방법의 패러다임이 필요성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회 및 문화의 주요 분야별로 재해 취약성을 분석하고 취약한 분야에 대한 재해경감 전략 수립 등 체계적인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