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입경·비중 겸용 밭작물 곡물 선별기 개발을 위한 전 단계로서, 밭작물 곡물의 완전립과 불량립의 기하학적, 공기역학적, 마찰 특성을 측정하고, 선별기 설계에 적용하기 위한 선별 요인을 분석하였다. 측정된 곡물의 기하학적 특성 결과(길이, 폭, 두께)를 이용하여 스크린의 치수와 형상을 결정하여 선별기를 제작하여 선별시험을 한 결과 선별효율은 콩의 경우 94.7%, 커피는 92.0%, 아몬드는 74.5%, 옥수수는 90.0%로 나타났다. 측정된 곡물의 마찰 특성 결과를 이용한 고무벨트 선별 시험 결과 콩의 경우 벨트 속도 0.5 m/s, 벨트 각도 5˚ 일 때 선별효율이 8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측정된 곡물의 공기역학적 특성 결과, 종말속도는 콩의 경우 4.4∼6.0 m/s, 커피는 3.2∼4.4 m/s, 아몬드는 3.5∼5.1 m/s, 옥수수는 4.7∼6.0 m/s의 범위로 나타났다.
        4,000원
        2.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Korean specific particles ‘i/ga’ and ‘eul/leul’ and show how to teach them effectively to foreign learners. In this respect, we first analysed some typical ‘i/ga’ or ‘eul/leul’ constructions: they seem very similar in appearance but their syntactic structures are quite different. We showed that in order to explain effectively ‘i/ga’ and ‘eul/leul’ constructions, the notion of ‘topic’ should be introduced and found that there exist some particular semantic restrictions between two successive noun phrases participating in ‘i/ga’ and ‘eul/leul’ constructions. Secondly, we tried to show how to construct the educational substance and method of these specific particles ‘i/ga’ and ‘eul/leul’. We proposed to introduce types of ‘i/ga’ and ‘eul/leul’ constructions, typical predicates used with these constructions, semantic restrictions of two successive noun phrases participating in these constructions, equivalent constructions corresponding to these constructions and their concrete examples in constructing the educational substance and method of the specific particles ‘i/ga’ and ‘eul/leul’.
        5,800원
        3.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기존의 아날로그 형태의 필름/스크린 방식은 영상 저장 및 전송 등의 문제점이 대두되면서, X선에 반응 하여 전하 캐리어를 생성시키는 광도전체 물질을 사용하는 직접 방식의 디지털 방사선 검출기로의 연구가 활 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광도전체 물질인 Lead Oxide와 기존에 많이 연구가 진행 되었던 Lead (Ⅱ) Oxide를 PIB(Particle In Binder) 방식으로 각각 제작하여 그 전기적 특성을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기 존의 논문 중 물질의 입체각에 관한 논문에 따르면 정방계의 물질이 사방정계의 물질보다 좋은 특성을 보인다 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PbO가 정방계의 α-PbO와 사방정계의 β-PbO를 비교하였다c. 정방계의 α-PbO와 β -PbO를 PVB(Poly Vinyl Butyral)를 이용한 바인더를 사용하여 PIB(Particle In Binder) 방법으로 제조된 각 시편의 민감도(X-ray sensitivity), 누설전류(Leakage current) 및 SNR(Signal to Noise Rate)와 같은 전기적 특성을 실험을 통해 확인 비교한 것이다. 그리고 시편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기 위한 기본적인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을 촬영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완벽한 α-PbO를 제작하지 못하였으므로 차후 물질 을 제작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