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3.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NA interference (RNAi) has been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strategy to control agricultural pests whereby double-strandedRNA triggers a potent and specific inhibition of its homologous mRNA. Since small double-stranded RNAs are requiredfor various RNAi applications, there is a need for cost-effective methods for producing large quantities of high-qualitydsRNA. Bacillus thuringiensis produces much insecticidal proteins with expression of their encoding genes being drivenby sporulation-dependent promoters. To develop dsRNA mass-production platform utilizing Bt, the pHT1K-EGFP plasmidvector which has cyt1Aa sporulation-dependent promoter was constructed. The transcriptional level of target gene (EGFP)is higher 113 times than Bt reference gene (ssPE). It was applied to protect honeybee from Sacbrood virus, so targetgene was replaced to SBV-vp1. By ingestion of Bt-derived dsRNA to honeybee shows positive effect on SBV suppression.
        5.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illus cereus is a gram-positive spore-forming bacterium and produces an emetic or diarrheal syndrome induced by an emetic toxin and an enterotoxin,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media, temperature, and time on the sporulation of B. cereus, and thermal resistance of B. cereus spores produced in various temperatures were evaluated. The highest levels of spores were detected when they are produced at 2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vels of spores produced at 25℃ among culture media and times while levels of spores produced at 43℃ were significantly reduced with the increase of time. However, thermal resistance of B. cereus spores could be affected by incubation temperature. In fact, higher D-values (12.0, 10.1, and 5.9 min for 2, 4, and 6 weeks, respectively) of spores produced at 43℃ were observed than did in samples produced at other temperatures (25 and 37℃). D-values of spores were 7.7, 8.2, and 12.0 min when they were produced at 25, 37, and 43℃ for 2 weeks, respectively. The sporulation of B. cereus at 25℃ could result in high amounts of spores however the sporulation at 43℃ for 2 weeks could be effective to produce thermal resistant spores.
        4,000원
        7.
        198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종 곤충기생균의 균사생장 및 포자형성에 미치는 탄소원 (dextrose, starch, sucrose, sorbitol)과 실소원(Yeast extract 농도별) 배지 및 pH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Metarrhizium ftavoviride var. minus와 Hirsutella strigosa는 dextrose, starch, sucrose 원배지에서 균사생장이 많은 반면 한국에서 발견된 Hirsutella sp.(Korea)는 dextrose률 제외한 배지에서 좋은 생장을 보였다. 사용한 실소원은 균사의 생장에 필수적이나 기생균의 종류에 따라 생장의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Nomurea riteyi는 배지원에 관계없이 까다로운 균사생장을 나타냈으며 공시균 모두 pH 부근의 배지에서 균사생산량이 많았다. 한편 2종 기생균을 공시하여 포자형성을 조사한 결과, M. flaνoviride var. minus는 공시실소원과 dextrose원 배지에서 포자생산이 많아 기생균별 배지 선택성의 차이를 나타냈다.
        4,000원
        8.
        198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녹두 돌연변이계통의 갈색무늬병에 대한 저항성검정을 위하여 접종실험에 필요한 다량의 분생포자를 얻을 수 있는 배양조건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갈색무늬병균의 분생포자 형성에 적합한 배지는 기주식물조직배지인 녹두엽즙배지였으며 약 2500Lux의 형광조사는 분생포자 형성을 촉진시켰다. 2. 배양기상의 기중균사 거는 분생포자 형성을 현저히 증가시켜 OA배지에서도 MOA에서와 같은 량의 많은 분생포자 형성이 가능하였다. 3. 포자형성의 최적조건은 색소생성 및 균사장의 최적조건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3,000원
        9.
        198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각종 살균제를 다년간 사용한 사과원과 전연 사용하지 않았는 사과원에서 채취한 반점낙엽병 이병엽 원반에 각살균제를 처리한 후 Alternaria mali의 분생포자 형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살균제 사용여부와는 관계없이 양사과원의 이병엽원반상에서 공히 Rovral은 그 권장농도 및 보다 저농도와 고농도에서 가장 높은 포자형성억제효과를 보였다. Antracol, Dithane M-45, 및 Dikar는 각각 그 권장농도 , 및 그리고 보다 고농도에서 양사과원의 이병엽원반상의 포자형성을 완전히 억제하였으나, 보다 저농도에서는 의 포자를 형성시켰다. 각종 살균제를 사용한 사과원의 이병엽원반상에서 Polyoxin 및 Difolatan은 태자형성억제효과가 낮아서 대조구의 에 비하여 의 포자를 형성시했으나, 살균제를 사용하지 않았는 사과원의 이병엽원반상에서는 비교적 높은 포자형성억제효과를 보였다. Captan, Dakonil, 및 Spat의 포자형성억제효과는 상기한 살균제보다 낮았으며, Bayleton은 사과반점낙엽병균의 포자형성억제효과가 거의 없었고, Benlate는 오히려 그 포자형성을 촉진시켰다.
        4,000원
        10.
        197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딸기 반엽병균의 균주별 분생포자 형성과 균계생장에 미치는 광선과 온도의 영향을 조사하었다. 1. 분생포자 형서엥 미치는 광선과 온도의 영향은 모든 균주가 다 같이 선광과 온도간의 교호작용에 유의성이 있었다. 즉 저온에서는 광선이 분생포자 형성을 촉진하나 고온에서는 광선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에서는 모든 균주의 분새포자 형성에 광암교호의 효과가 높았고 에서는 균주 을 제외하고는 광암교호처리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2)균계생장량은 광선과 온도간의 교호작용에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균주별로는 가에 비하여 생장량이 가장 많았고 온도별로는 에서 균계생장량이 가장 많았다.
        3,000원
        11.
        196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enylmercuric 8-Oxyquinolinate의 광범위한 식물병원균에 대한 살균작용, 식물의 수분증산억제작용, 식물에 대한 약해작용, Gas작용 및 자외선에 의한 경시변화에 관해 실험을 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포자발아억제작용은 P.M.A.보다 약간 불량한 결과를 보이며, 균사생장억제작용은 P.M.A. 보다도 양호하였다. (2) 식물의 수분증산억제작용은 초기에는 8-Hydroxyquinoline sulfate가 P.M.Q.보다도 강한 억제작용을 나타내었으나, 끝에 가서는 반대로 P.M.Q가 Oxine sulfate보다도 강한 작용을 나타냈다. (3) 수도종자의 발아, 발근에 미치는 영향은 P.M.A. 보다 약해가 적었고 수도 및 대두의 유식물의 경엽(40ppm 처리)에도 약해가 없었다. (4) 식불병원균에 대한 Gas효과에 의한 살균력은 P.M.A.보다 적었다. (5) 자외선에 의한 영향은 생물학적인 변화와 화학적인 변화가 거의 일치하였으며 P.M.Q.는 P.M.A.보다도 훨씬 자외선에 안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약제는 광범위한 식물병원균에 대해 살균작용을 가지고 있고 식물의 수분증산도 억제시키며 이화학적인 안정성을 가진 유망한 살균제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2.
        197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도열병에 대한 포장저항성의 실내검정법의 일환으로 초자실에서의 벼의 유묘기(5-6엽)에 7개의 도열병저항성판별용 균계와 약간의 돌연변이균계를 조사하여 포자형성능의 균계간차 및 병균의 포자형성에 대한 벼품종의 억제효과의 차이등을 밝혔다. 1. 7개의 저항성판별균계 및 소수의 돌연변이균의 식물체상에서의 포자형성력에는 균계간차이가 명백하였다. 2. 숙주상에서의 포자형성력은 병반의 진전속도, 병원력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Oatmeal전 즙사당새천배지상에서의 포자형성량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으나 병반장, 대맥곡립배지상에서의 포자형성량과는 유의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3. 이병성병반발현후 2일째의 병반에서 포자형성의 peak가 있었고 incubation의 일수는 실험에 따라 차이가 많고 식물체의 영양조건에 따라서도 변이가 컸다. 4. 병반수의 증가에 따라 포자형성량이 감소하는 밀도효과(negative density effect)는 실험에 따라서 인정되었다. 5. 병원력은 포자형성력보다 균계간차가 뚜렷하지 않았으며 이것은 병원력의 환경변이가 포자형성력의 그것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동시에 만일병원력과 포자형성력과의 사이에 어떤 상관이 있다면 소규모의 실험에서는 숙주에서의 포자형성량은 병원력보다 전염력 비교를 위하여 보다 유용한 대상형질이라고 보았다. 6. 포자형성에 대한 저항성의 품종간 차이는 몇 개 실험에서 인정되었으나 병반형성에 대한 저항성의 품종간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수도품종의 포장저항성과 각 품종상의 병반형성과는 포자형성보다 더 밀접한 상관을 보였다. 7. 이병성품종 상에서의 mutant균계의 포자형성량이 모균계보다 적었던 현상은 'stabilizing selection이 있었을 가능성을 암시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밀식구일수록 단위면적당 수수는 증가되었으나 수당경화수, 정조천입중 등이 감소되어 수량은 박파묘 소식구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7월 15일 이앙구에서는 후파묘 밀식구가 등열비율과 천입중의 현저한 감소로 수량이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6. 극만앙 대책으로서의 적정 묘대파종량 및 본답 10a에 대한 묘대면적은 3.3m2 당 0.4ι 및 59.4m2 로 판단되었다.저항성인 품종의 선발을 위하여는 도복지수가 대맥 1.67 소맥 1.76 정도 이하인 것은 고도의 저항성이 있었다.X>~circled4붕사는 간장을 억제시켰다. ~circled5 소량의 붕사는 등숙을 향상시켰으며 다량의 경우에는 저해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circled6 정조 및 현미수량은 소석회 및 붕사의 단독효과만이 인정되었으며 다량의 붕사는 감수를 초래하였다. 내생리듬 (Endogneousrhythm)의 변화 혹은 교란을 가져와 발육과정에서 성적결함을 일으켜 불임으로 된다고 추정하였다.)의 4개형질 혹은 분지수(X2 )ㆍ경직경(X3 ), 그리고 일주협수(X4 )의 3개형질로 할 것이 요망되고, 이들 형질의 측정치로 선발지수를 작성하여 그 지수에서 산출된 Selection score가 큰 계통부터 선발해 나가는 것이 선발지수의 이용상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라 하겠다.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는 패션 색채 팔레트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esthetic of ′unity in multiplicity′, aesthetic of tessellation and aesthetic of har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