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3.
        200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rface sediments (0~4 cm) were sampled at 40 stations from Ulsan Bay and its adjacent areas of Korea, to evaluate the contamination by sewage-derived organic matters using fecal sterols. Some sterols were quantified by gas chromatography coupled to mass spectrometry (GC/MS). Total concentrations of eight sterols (coprostanol, cholesterol, cholestanol, epicholestanol, epicoprostanol, β-sitosterol, brassicasterol, and stigmasterol) in the sediments from Ulsan Bay and its vicinity varied from 929 to 23,444 ng/g dry weight. The most predominant sterols were cholesterol and coprostanol, accounting for 33~72% of total sterols. The concentration of coprostanol known as the indicator of human feces ranged from 141 to 8,257 ng/g dry weight. In particular, the coprostanol concentrations in the sediments from Jansaengpo Harbor and Taehwa River exceeded the value of 1,000 ng/g dry weight, suggesting that these areas could be considered as the hot-spot zones by municipal sewage contamination. Some molecular indices and multivariate data analysis were used to assess the origin of these sterols in the sediments.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 routes of sewage contamination in Ulsan Bay and its vicinity were the input through Jansaengpo Harbor and Taehwa River.
        4.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역병균 (Phytophthora infestans)의 균사 신장 및 난포자 형성에 미치는 생리 화학적 영향을 알아보고자 국내에서 분리된 A2형인 KM10, U6, MHB6, CDB6, JD1과 일본에서 분양 받은 A1형인 F8l7, DNC303, A2 형인 IB908, DN107 균주를 이용하여 공시 배지별 및 V-8A 배지에 cholesterol, β-sitosterol및 lecithin을 첨가했을 때의 영향을 조사하고, 식물체상에서의 난포자 형성여부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균사 신장은 V-8A, RMA에서 양호하였고, 난포자 형성은 V-8A에서 가장 많았다. V-8A에 cholesterol, β-sitosterol 및 lecithin을 첨가하였을 때 접종 10일 후 균사 신장은 무처리 대비 각각 16.6, 8.3, 5.2% 더 신장하였으며, 난포자 형성수는 각각 76.0, 58.0, 34.6% 크게 증가하였다. 2. A1형과 A2형이 동시에 존재할 경우 식물체상에서 난포자를 형성하는지 알아보고자 식물체 조직편에 A1, A2형을 대치 배양하여 난포자 형성을 유도한 결과, 난포자의 형성률 및 수는 적었으나, 식물체 상에서도 난포자 형성이 가능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금후 이에 대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