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트로보광에 대한 어류의 전기생리학적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갱이에 각각 4단계의 섬광빈도(1.7~25Hz)와 강도(56~415lx·s)로 광자극을 주어, 그에 대한 망막활동전위 (ERG)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ERG 진폭은 스트로보광을 조사한 순간에 최대가 되고, 그 후 가장 작았다가 점차 커져서 안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2. 섬광빈도에 따른 ERG 진폭은 광자극 후 약 12~17분부터 안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3. 전갱이가 받는 자극량은 섬광빈도 10Hz 에서 가장 많았고, 스트로보광 강도가 약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4. ERG 진폭변화는 10Hz가 가장 컸고, 스트로보광의 강도가 감소함에 따라 적었다.
        4,000원
        2.
        200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스트로보광의 자극효과를 검토할 목적으로 스트로보광 강도에 따른 전갱이의 반응을 심박수의 변화로 조사하였다. 실험은 10Hz의 스트로보광강도(75 lx·s)를 1/2, 1/5, 1/15로 빛의 세기를 감소시켜, 4단계의 강도별로 심박수를 자극 전 10분간, 자극 중 30분간, 자극 후 20분간 합계 60분간을 2시간마다 3회 연속해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스트로보광자극 중의 심박수 증가와 자극 종료직후에 일시적으로 현저한 심박수 감소가 있었다. 스트로보광 자극효과는 자극강도의 감광에 따라 감소하였다. 반복실험에 의한 자극효과는 75 lx·s의 강도보다 약한 스크로보광 강도에서는 현저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3.
        199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위협광에 의한 어류의 행동제어개발을 위하여, 스트로보광에 대한 전갱이와 잉어의 명순응과정을 조사하였는데, 스트로브광의 섬광빈도는 전갱이의 경우, 1.7, 5, 10, 25, 430Hz의 5단계, 잉어의 경우는 1.7, 5, 25Hz의 3단계로 하였다. 안구표본의 채취는 조사전과 조사직후부터 1, 5, 10, 30분 경과마다 행하였고, 채취한 각 표본은 종단조직절편을 만들고 현미경 관찰을 행하였다. 망막의 순응율은 원추체지수를 구하여 나타내었다. 조사시간에 따른 평균 순응율은; \circled1 전갱이의 경우, 광조사전의 27%가 1, 5, 10, 30분 경과 시마다 각각 42.6%, 49.8%, 59.8%, 83.1%로 증가하였다. \circled2 잉어의 경우, 광조사전의 28.4%가 1, 5, 30분 경과 시마다 각각 51%, 54.9%, 91.3%로 되었다. 명순응과정은; \circled1 전갱이의 경우 430Hz, 25Hz, 5Hz, 1.7Hz, 10Hz의 순으로, \circled2 잉어의 경우는 25Hz, 5Hz, 1.7Hz의 순으로 대략 빨랐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