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May 2023, a free-living marine nematode species from the genus Parapinnanema was identified in the subtidal zone of Ulleungdo Island, the East Sea, Korea. Specimens were collected using the Smith-McIntyre Grab. These specimens exhibited close similarities to Parapinnanema imbricatum from the sublittoral of Moneron Island, particularly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buccal cavity, the complex and ringed structure of the cuticle, the copulatory apparatus, spinneret, and the female genital system. However, the Korean specimens of Parapinnanema imbricatum also displayed distinctive features compared to the original description, including a relatively elongated body (3,317-4,339 μm vs. 3,100-4,200 μm) and a narrower body width (66-77 μm vs. 71-85 μm). Additionally, the diameter of the head was relatively shorter (24-29 μm vs. 28-36 μm). This paper offers a comprehensive morphological description, along with illustrations and DIC photomicrographs, of P. imbricatum from Korean waters.
The subgenus Tricoma Cobb, 1894 comprises free-living marine nematodes encompassing a total of 83 validated taxa. Within this diversity, twenty-one taxa thrive in the deep sea, while twenty-three are found in coral reefs, flat areas, or green algae. Additionally, eleven taxa inhabit the sublittoral zone at depths exceeding 10 meters, and the remaining taxa are situated on beaches, coasts, or in habitats lacking detailed information. In the course of a survey focused on the East Sea free-living marine nematodes, we identified four new and two previously unrecorded species belonging to the subgenus Tricoma. Specifically, two new species, Tricoma (Tricoma) breviseta sp. nov. and T. (T.) donghaensis sp. nov., were discovered in mud-sandy sediment in deepsea environments below 2000 meters within the Ulleung Basin and Hupo Bank. Two previously unrecorded species [T. (T.) paralucida Decraemer, 1987 and T. (T.) similis Cobb, 1912] and the two newly found species [T. (T.) longicauda sp. nov. and T. (T.) ulleungensis sp. nov.] were obtained from subtidal coarse sand at a depth of 20 meters during a survey of the waters surrounding Ulleungdo Island. The distribution and information on validated taxa within the subgenus Tricoma were systematically collected, reviewed, and cataloged. Detailed morphological features and illustrations of Tricoma species from Korea were provided through the use of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microscopy.
Henricia specimens were collected using a dual approach of trimix scuba diving and fishing nets. This inclusive collection encompasses the discovery of two species highlighted in this study and introduces and provides comprehensive descriptions for Henricia kinkasana and Henricia longispina aleutica. The descriptions offered in this study were derived from the thorough examinations of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documentation provides detailed insight into key traits related to the abactinal and actinal skeletons and spines of these newly recorded species in Korea. This comprehensive examination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the distinc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defining each species within the genus Henricia.
Two newly recorded sea stars, Henricia densispina (Sladen, 1879) and H. reniossa asiatica Djakonov, 1958, collected from the East Sea of Korea using fishing nets, were described in this study. Morphologically, H. densispina is characterized by the shape (sub-triangular) similarity of the intermarginal plates to the superomarginal plates. Henricia reniossa asiatica Djakonov, 1958, has long and slender arms (R/r=7.2- 9.1); clustered abactinal paxillae with 3-13 abactinal spinelets; a denuded abactinal skeleton made up of crescentic, elongated cross-shaped, the presence of small ossicles that divided the papular areas; and an adambulacral armature comprised of 14-17 spinelets.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occurrence of H. densispina and H. reniossa asiatica in the Korean fauna and a detailed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these species’ key characteristics is provided.
이 연구는 동해 표기에 관한 학술 논의의 역사와 내용을 정리하여 평가하고, 새로운 지명 사용의 환경 변화에 비추어 향후 연구가 필요한 주제를 제안하는 목적을 갖는다. 지난 30년의 학술 논의가 가져온 가장 큰 성과는 동해 표기 분쟁을 국제사회에 인식시키고 분쟁의 해결이 필요함을 사회정의, 평화, 인권 등 인류 보편가치의 담론으로 발전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현실적 해법으로서 두 이름을 함께 쓰는 방법의 가능성과 혜택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새로운 환경의 변화로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분쟁지명 해결에 기여할 잠재력 증진, 문화적 가치 존중과 사회변화에 대한 요구, 영향력 있는 MZ세대의 등장, 지구적 환경에 대한 관심사 증가 등에 주목하였고, 각 변화의 단면을 고려하는 연구 주제가 제안되었다. 향후 연구의 지향점은 모든 세대가 수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지명 사용의 요소로 정리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극동 퉁구스족 남부 그룹과 고아시아계 닙흐족을 중심으 로 해신의 용어, 형상 및 역할, 해신의 계층 구조를 살펴보는 것이다. 극동 토 착종족의 해신을 가리키는 용어에는 무에, 테무, 타이훌진이 있다. 무에는 해 신보다는 보편적, 총체적 물신에 가깝고 퉁구스족 북부 그룹의 에벤족과 에벤 키족에게서만 발견되는 국부적 관념이다. 테무는 네기달족과 퉁구스족 남부 그룹 사이에 두루 전파되어 있는 퉁구스족 남부 그룹의 기층 어휘이며 타이 훌진은 닙흐족 기원의 관념으로 닙흐족과 일부 네기달족, 오로치족, 오로크족 사이에 전파되어 있다. 극동 토착종족 해신의 형상은 토테미즘이 샤머니즘에 흡수되는 과정에서 동물 → 반인반수, 반인반어 → 여성 → 여성과 남성의 공 존 → 부부 → 남성해신의 단계를 거쳤다. 극동의 여성해신은 노파(할미)이며 사람들의 어로와 바다동물 사냥을 도와준다는 점에서 한반도의 개양할미와 연결이 가능하다. 남성해신은 노인(백발)이며, 외모는 토착종족과 비슷하고, 거구이며, 혼인을 하여 아내와 함께 살고 있고, 하위의 다양한 신들과 수직 위계 구조 속에 놓여있다. 해신이 남성해신이 변형된 뒤 물의 세계는 남성 형 상의 해령 나무 에제니가 다스리는 바다의 세계와 여성 형상의 강령 숙쟈 에 제니가 다스리는 강의 세계로 나누어졌고 해신은 이 두 세계를 경계 짓고 통 합하면서 물 세계의 조화와 질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였다. 극동 토착종족에 게 해신은 가족과 씨족의 보호신, 자연생태계의 보존자, 해신제의 기원과 규 율을 정착시킨 존재이므로 이들에게 해신은 단순한 종교적 숭배 대상이 아니 라 자연철학, 생태윤리를 전해준 존재이다. 주제어: 극동 토착종족, 해신, 테무, 타이훌진, 나무 에제니, 숙쟈 에제니.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22년까지 동해 남서부 해역에서 초미소(0.2-2 ㎛)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표층 수온 상승, 그리고 무기 영양염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다루었다. 동해에서 관측된 표층 수온의 상승 추세는 전 지구규모의 수온 상승과 일치하며, 여름에는 최 대 온도가 나타나지만 봄에는 최소 온도를 보여 일반적인 온대해역의 계절적 수온 변동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표층 무기 영양염의 농 도는 겨울에 증가하며 봄을 거치면서 서서히 감소하는 계절적 변동성을 나타냈다.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을 대표하는 표층 총 chlorophyll-a 농도는 온대 해역의 전형적인 쌍봉분포(bimodal distribution) 양상을 보였다. 연구 기간 동안 초미소 식물플랑크톤의 기여도는 연평균 0.5%씩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총 chlorophyll-a 농도는 약한 감소 추세를 보였다. 초미소 식물플랑크톤의 기여도와 영양염 간에 는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이는 이러한 변동이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영양염의 가용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 러한 분석 결과는 해양 생태계의 변화 조건에서 식물플랑크톤이 어떻게 반응할는지 예측 가능하게 하므로,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This study introduces a newly discovered brittle star, Amphiophiura megapoma, from the mesophotic zone in the East Sea, Korea. It is the second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Amphiophiura (which includes 57 species) to be recorded in Korean waters after A. sculpta. The specimen was discovered during a September 2022 survey, by SCUBA diving in the upper mesophotic zone of the East Sea, Korea. This study present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megapoma, highlighting its differences from the related species within a comprehensive taxonomic description. It provides highresolution images of A. megapoma and a taxonomic key for Amphiophiura species in Korea.
This study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find composition and density of fisheries resource using bottom trawl in April, July, August, and November 2022 in the East China Sea. The average density of fisheries resource was estimated using the swept area method. As a result, 35 species were collected from the East China Sea. These included 21 fishes, six crustaceans, six cephalopods and two echinoderms. Seasonally, the average density of crustacean individuals per unit area were highest in November (692.1 inds./km 2 ), while cephalopod individuals per unit area were highest in August (39.4 inds./km 2 ). The average density of fish individuals per unit area were highest in August at 355.0 (inds./km 2 ).
북동중국해 대륙붕 표층 퇴적물에서 산출하는 저서성 유공충의 군집 분포와 형성 기작을 파악 하기 위하여 32개 정점에서 표층 퇴적물을 채취하고, 입도조성, 저서성 유공충 군집분석, 14C 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표층 퇴적물은 사질(평균: 52.04%)의 잔류 퇴적물과 니질(평균: 47.92%) 의 현생 퇴적물과의 혼합 퇴적상이다. 저서성 유공충은 총 48속 104종(사질 유공충, 석회질 유리상 및 석회질 자기상 유공충)이 분류되었다. 사질 유공충은 양쯔강 앞 해역으로 산출빈 도(30%)가 증가하며, 부유성 유공충은 제주 남서해역에서 높은 산출빈도를 보인다. 우점종은 Ammonia ketienziensis, Bolivina robusta, Eggella advena, Eilohedra nipponica, Pseudorotalia gaimardii, Pseudoparrella naraensis 총 6종이다. 이들 중 가장 높은 산출빈도를 보이는 Bolivina robusta와 Pseudorotalia gaimardii의 14C 연대측정 결과 각각 2,360±40 B.P., 2,450±40 B.P.로 나 타났다. 군집분석 결과, P. gaimardii 군집, B. robusta 군집 및 A. ketienziensis-P. naraensis 군집 으로 대별된다. 양쯔강 담수 유입 영향을 받는 양쯔강 앞 해역에는 P. gaimardii 군집, 쿠로시오 해류의 영향을 받는 제주도 남서해역에서 B. robusta 군집 그리고 북서측 황해 중앙부 니질대 해역에 A. ketienziensis-P. naraensis 군집이 분포한다. 이러한 저서성 유공충 군집 조성 및 분 포는 약 2.5 ka BP 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홀로세 후기 해수면 상승에 의한 저서 생태계 서식지 환경 변화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We investigat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heterotrophic bacteria associated with different water masse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ECS) in summer. The surface water masses were divided into the Changjiang Diluted Water (CDW) and high salinity water (HSW). In the CDW region, the concentrations of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and chlorophyll-a (Chl-a), and micro Chl-a contribution were high; and bacterial abundance (BA) and ciliate abundance (CA) were also high. In the HSW region with relatively low DIN concentrations, Chl-a concentration and micro Chl-a contribution were low, but pico Chl-a contribution was in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CDW region. BA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DW region, but CA was decreased. BA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hl-a concentration in the CDW region; however, it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hl-a concentration in the HSW region. The ratio of bacterial carbon biomass/phytoplankton carbon biomass was exponentially increased with a decrease in the Chl-a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past (1990-2000s), the surface phosphate concentrations and the size of dominant phytoplankton have recently decreased in the ECS. Considering this trend of nutrient decrease and miniaturization of the phytoplankton, our results indicate that changes in the strength of the oligotrophic water mass could alter the function of the microbial food web.
해양의 파랑은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의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기후변화와 동아시아 몬순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황해 및 동중국해역에서의 유의파고 및 파향의 시공간 변동성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럽중기예보센터(European Centre for Medium-Range Weather Forecasts; ECMWF)에서 제공하고 있는 5세대 모델 재 분석장 (ECMWF Reanalysis 5, ERA5) 자료를 활용하여 황해 및 동중국해역에서의 유의파고와 파향의 공간분포와 계 절 및 경년변동을 포함하는 시공간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모델 재분석자료를 활용한 유의파고와 파향의 변동성 분석에앞서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평균 유의파고는 0.3-1.6 m의 범위를 보 였으며 북쪽에 비해 남쪽이 높고 연안에 비해 황해 중심부에서 높은 공간분포 특성을 보였다. 유의파고의 표준편차 또 한 평균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황해에서 유의파고와 파향은 뚜렷한 계절변동성을 보였다. 유의파고의 경우 전반 적으로 겨울철에 가장 높았으며 늦봄 또는 초여름에 가장 낮았다. 파향은 계절풍의 영향으로 겨울철에는 주로 남쪽으로 전파되었으며 여름철에는 북쪽으로 전파되는 특성이 나타났다. 유의파고의 계절변동은 여름철 태풍 등의 영향으로 해마 다 연 진폭의 큰 변화를 가진 강한 경년변동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