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

        2.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이상 기후 및 노동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재배 환경의 정밀 제어가 가능한 식물공장형육묘시스템을 이용한 균일한 묘소질의 접수 및 대목 생산과 접목 로봇의 작업성 향상을 연계시키는 규격묘 생산 자동화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공장형육묘시스템에서 저면 관수 시 오이와 토마토 접수 및 대목의 관수 시기 및 관수량 등 관수 계획 수립을 위해 광량에 따른 증발산량과 묘소질을 조사하였다. 저면 관수 시 연속 중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행잉형 로드셀을 설치하고 육안으로 초기 위조가 시작되는 시점을 확 인하여 관수 개시 시점을 배지수분함량 50% 이상으로 설정하였다. 오이 접수 및 대목의 관수 시기는 파종 후 7일 및 6일이었고, 토마토 접수 및 대목의 관수 시기는 강광(300 μmol·m-2·s-1) 처리구 기준으로, 파종 후 5, 8, 11, 13일이었다. 오이와 토마토 모두 광량 증가에 따라서 증발산 속도가 증가하였으며, 토마토에서 광량에 따른 증발산 속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오이와 토마토 묘의 생육은 광량이 증가할수록 촉진되었는데, 광량 증가는 하배축장의 신장을 억제시키고 경경을 증가시켰 다. 오이 및 토마토 묘개체군의 누적 증발산량은 광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개체당일(24h) 증발산량과 광량은 1차 선형 형태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묘개체군의 연속 중량 측정을 통한 오이와 토마토 접수 및 대목의 증발산량 추정은 식물공장형육묘시스템의 정밀 관수 제어를 위한 관수 시기 및 관수량 결정을 위한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3.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cormycosis is an aggressive opportunistic fungal infection that can be found in the oral cavity. The fungus usually affects the immunocompromised patients and tends to invade and block blood vessels, resulting in significant tissue necrosis and invasive mucormycosis. However, a non-invasive form of mucormycosis is mostly asymptomatic and found accidentally in the immunocompetent normal hosts, manifested by localized overgrowth of the fungus. Here, we report a rare case of asymptomatic non-invasive mucormycosis of the mandible that was incidentally diagnosed in wide resection specimen of liver transplant patient who had previously underwent surgery of excision and simultaneous alloplastic bone graft due to mandibular ameloblastoma.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specimen revealed that there was neither vasculitis nor tissue necrosis, but numerous fungal hyphae were located only within the alloplastic graft materials in decalcified tissue sections. Awareness of the possibility of life-threatening mucormycosis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should be emphasized because it can be inactive or reactivated depending on the immune state of patients.
        4,000원
        5.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healing quality of the allogenic acellular dermal matix (ADM) and xenogenic ADM combined with autologous skin graft. Xenogenic ADM was obtained from two GalT knock-out pigs. Allogenic ADM was obtained from cynomolgus monkeys. ADM was stored with lyophilization. Full-thickness skin wounds were made on the back of two cynomolgus monkeys. In one monkey, wounds were covered by xenogenic ADM combined with autologous skin graft or autologous skin graft only. In another monkey, wounds were covered by allogenic ADM combined with autologous skin graft or autologous skin graft only. Skin healing process was observed during 2 weeks and skin biopsies were performed on 3 months after skin transplantation. We obtained IACUC approval (ORIENT-IACUC-16053) Skin on the xenogenic ADM was necrotized 1 week after skin transplantation. Possibly due to the thickness of ADM, which block the blood supply from the subcutaneous tissue to the autologous skin graft. Skin biopsy revealed that less fibrotic change of the skin on the ADM compared with the skin without ADM. Xenogenic ADM can be used in high degree burn patients who can suffered from contracture after healing since it can reduce fibrotic change.
        6.
        2016.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ytokine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acute rejection (AR) of solid organ transplantation.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leukin-10 gene (IL-10) polymorphisms and risk of A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L-10 polymorphism (-1082, G/A) and AR risk after solid organ transplantation in Caucasian population. A comprehensive electronic search of PUBMED, Google Scholar, and Korean databases was performed. Meta-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Biostat, NJ,USA). We assessed the pooled p-value, odds ratio (OR),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to measur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risk of AR and IL-10 polymorphism (-1082, G/A). The OR and 95% CI were used to evaluate the strength of the association. P-values less than 0.05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een case-control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meta-analysis. In overall analysis, we observed that IL-10 polymorphism (-1082, G/A) was associated with the AR in liver transplantation (G allele vs. A allele, OR = 1.436, 95% CI = 1.006-2.050, p = 0.046 in fixed model). However, IL-10 polymorphism (-1082, G/A)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solid organ transplantation and renal transplantation (p>0.05 in each model, respectively). Our meta-analysis suggests that IL-10 polymorphism (-1082, G/A) may be related to susceptibility of AR in liver transplantation recipients.
        4,000원
        7.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heory describing the experiences of psychosocial adjustment (process) among the recipients of pancreas transplantation in Kore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nine recipients of pancreas transplantation during 2010-2011. The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method to identify psychosocial adjustment process. Results: As a result of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Pursuing ordinary life to free fromrestraints of diabetes" emerged as the core category. Five stages emerged: 1) Temporal liberation and satisfaction; 2) Disappointing with regrets and anger; 3) Facing up to the reality to be thankful; 4) Executing self-initiated management; and 5) Peaceful acceptance of reality as it is. "Excessive expectation" and "social support" are other categories that influenced the proces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health professionals need to provide tailored and balanced information to recipients of pancreas transplantation both before and after the transplantation to relieve psychosocial distress after the transplantation.
        4,300원
        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지금까지 생체 부분 간 이식을 위한 공여자의 간 용적 측정에서 방사선을 이용한 CT 3D 용적측정 검사가 매우 우수한 측정방법으로써 시행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수술 시 공여자의 안정성 판단을 위해 MR 검사가 함께 시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R 검사와 CT 검사를 함께 시행한 공여자를 대상으로 각각 3D 용적측정 후 그 우수성을 비교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상은 간 이식 수술 전 MR 검사와 CT 검사를 함께 시행한 공여자로 남자 23명, 여자 7명이었고, 평균나이 29.1세였다. 검사장비로는 MR Systems Achieva Release 3.2.2.0와 CT Brilliance 64CH를 사용하였으며, 분석장비로는 MR Adw 4.2와 CT Mx View 3.5를 사용하였다. 검사방법은 Primovist 조영제를 사용한 MR 검사 eTHRIVE Portal Phase(Fov 340×340, Thickness 5.0mm) 영상을 MR Adw 4.2 Workstation에서 용적을 측정하였으며, Ultravist 조영제를 사용한 CT 검사는 CT Hepatobiliary Portal Phase(FOV 350×350, Thickness 3.0mm) 영상을 Thickness 5.0mm로 Reconstruction 후 Mx View Workstation에서 용적측정 하였다. 분석방법은 MR 3D 검사와 CT 3D 검사에서 측정된 전체 용적 측정값과 좌엽 용적 측정값이 일치하는지 분석하였다. 공여자의 안정성 판단에서 중요한 사항으로 나타내는 우엽 용적 측정값 비교에서는 실제 수술실에서 적출한 우엽 간 용적값을 MR 3D와 CT 3D의 우엽 용적 측정값과 각 각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방법은 SPSS version 18.0를 사용하여 대응표본 t-test(p < 0.05)와 Pearson 상관계수로 검증하였다(r > 0.001). 결 과 : MR 3D 검사의 전체 용적 측정값은 1238cm³이며, CT 3D 검사는 1402cm³로 전체 평균 용적 측정값이 차이를 보였다(p < 0.05). 좌엽 간의 MR 3D 검사에서 용적 측정값은 450cm³이며, CT 3D 검사에서 용적 측정값은 554cm³으로 좌엽 용적 측정값의 차이를 보였다(p < 0.05). 우엽 간 측정값은 수술 후 적출한 우엽 간 평균 용적 측정값이 678g이었으며, CT 3D 검사의 우엽 용적 측정값은 847cm³(r=0.852)였고, MR 3D 용적 측정값은 787cm³ (r=0.871)로 측정되었다. 결 론 : 지금까지 간 이식 공여자는 이식 될 우엽 간을 미리 예측하기 위하여 주로 CT 3D 용적 측정검사를 하였다. 그러나 MR 3D 용적 측정검사 역시 CT 3D 용적 측정검사와 함께 매우 정확하고 우수한 측정방법으로써 증명되었으며, MR 3D 용적 측정검사가 간 이식 전 공여자의 안정성 판단에 중요한 검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0.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폐쇄형 육묘 시스템에서의 파프리카 묘 생산에 적합한 재배 기간 및 암면 블록의 크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파프리카 종자를 세 가지 크기의 암면 블록(45 × 40 × 35, 70 × 70 × 60, 100 × 100 × 65mm)에 파종하고 형광등을 인공 광원으로 이용하는 폐쇄형 육묘 시스템에서 23, 30, 37일간 재배하였다. 또한, 온실에서 100 × 100 × 65mm의 암면 블록을 이용하여 관행 재배한 파프리카 묘를 온실 처리구로 설정하였다. 육묘 일수와 관계없이 70 × 70 × 60mm의 암면 블록에서 육묘한 파프리카 묘의 지상부, 지하부 생육 및 R/S율이 가장 높았으며, 온실에서 관행 재배한 처리구보다 폐쇄형 육묘 시스템에서 재배한 파프리카 묘의 소질이 우수하였다. 폐쇄형 육묘 시스템과 온실에서 23, 30, 37일간 재배한 파프리카 묘를 암면 슬라브에 정식하고 초기 수량을 조사하였다. 파종 후 125일의 파프리카 평균 과중은 암면 블록 크기와 육묘 일수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으나, 단위 면적당 수량은 70 × 70 × 60와 100 × 100 × 65mm의 암면 블록을 이용하여 23일간 폐쇄형 육묘 시스템에서 재배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따라서, 폐쇄형 육묘 시스템에서 파프리카 육묘 시 관행 재배보다 작은 70 × 70 × 60mm의 암면 블록을 이용하고 육묘 일수를 23일로 단축하여도 우수한 품질의 파프리카 묘를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11.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난개발과 환경파괴로 인하여 한 지 역의 역사이자 그 지역의 풍습이 고스란히 배어있는 향토 사료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노거수의 폐기가 빈번하고 생육 환경의 변화로 이식이 불가피한 노거수마저도 비용적 측면 이나 공종 진행에 따른 공기 단축, 이식 후 제대로 된 유지관 리 등이 미흡하여 고사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노거수 이식 표준품셈, 노거수 식재 후 관리 표준품셈, 노거수 연간관리 등을 산정하여 노거수 이식을 위한 조경표준품셈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노거수 이식 표준품셈의 경우 건설표준품셈, LH공사, 도 시기반시설본부, 문화재청의 식물문화재 치료 표준품셈, 견 적처리를 기초자료로 조사 분석하였다. 뿌리돌림, 굴취, 식 재, 전정, 수간의 수피감기에 대하여는 기초자료를 바탕으 로 노거수에 적용 가능한 표준품셈을 마련할 수 있었으나 수분억제, 지주 설치, 멀칭(덮기) 등 수목의 상태나 현장여 건에 따라 적용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었다. 이식의 과정도 중요하지만 이식 이후 적절한 조치를 통해 서만 노거수의 안정적인 생육을 기대할 수 있는 만큼 노거 수 식재 후 관리 표준품셈을 정리 하였다. 노거수 연간 관리에서는 이식 후 노거수의 정상적인 생육 을 위해서는 꾸준한 관심과 월별 발생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환경요인이나 병해충의 피해를 예방 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에 따른 가상 노거수 연간관리표를 작성하여 월별 노거수 관리 방법을 제시하고 자세한 관리 방법에 필요한 표준품셈 은 식물문화재 치료 표준품셈을 기초로 브레싱(쇠조임)설 치, 고사지 및 쇠약지 제거 등을 정리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는 노거수 이식 표준품셈, 노거수 식재 후 관리 표준품셈, 노거수 연간 관리를 위한 근거자료로서 노거수 이식을 위한 조경공사 표준품셈은 건설표준품셈 조 경공사 표준품셈을 기준으로 한 등비례 적용, LH공사 조경 공사적산기준에 따른 선형회귀분석법, 서울시 도시기반시 설본부(이하 도시기반시설본부)의 2013 조경공사 설계대가 기준을 조사 분석하여 노거수 이식을 위한 표준품셈을 적용 하였고, 노거수에 필요한 공종은 위 항목들에 의해서 적용 하는 조경공사 표준품셈을 기준으로 하였고, 세부적으로 미 비한 부분은 문화재청의 식물문화재 치료 표준품셈을 적용 하였다. 노거수 이식 후 관리를 위한 표준품셈은 노거수의 생육상 황에 따라 필요한 적용 공종들이 다양하므로, 현장 여건에 따라 노거수 식재 후 관리에 필요한 세부항목은 관수, 수간 주사, 병충해방제에 대해 조사 분석 하고자 한다. 노거수 연간 관리를 위한 표준품셈의 경우 노거수는 수세 가 쇄약하기 때문에 미미한 병충해나 미기후적인 환경조건 의 변화만으로도 생육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노 거수 이식 후 지속적인 관심과 관리가 필요하다. 기존의 하자보수기간은 2년으로 지정하고 있지만 노거수의 특성상 하자보수기간을 최소한 3년 이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고, 사후관리에 대한 비용도 추가적으로 산정할 필요가 있으며, 연간관리계획에 따라 관리할 필요가 있다. 노거수관리에 필 요한 공종(수세회복, 병충해방제 및 엽면시비, 수형조절)과 연간관리계획은 기존의 문헌(조경생태시공 2012 가을, 노 거수 유지관리 : 이종범 경기나무병원 원장)을 참조하여 설 정하였다. 위 항목들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 규격 R70이상의 노거수 의 이식공사 조경표준품셈을 정리하기 위해 연구의 규격 기준을 R65∼R120으로 정하고 구하고자 하는 규격의 노거 수의 이식공사 조경표준품셈을 정리하기 위해 건설공사표 준품셈, LH공사, 서울시도시기반시설본부, 문화재청의 기 본 자료를 바탕으로 각 자료의 산출근거에 의해 규격 이상 의 품을 산출하고, 연구에서 얻고자 하는 노거수 R65∼ R120에 대한 조경표준품셈은 산출 품의 평균으로 정하였 다. 노거수 이식 후 왕성한 생육을 위해서는 식재 후 관리가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이식 후 필요한 관리의 중요성 인식 부족에 따른 표준품셈의 마련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 다. 기본 자료로 하고 있는 위 항목들의 표준품셈에서는 식 재 후 관리에 대한 자세한 품을 정해놓고 있지 않다. 다만, 문화재청의 식물문화재 치료 표준품셈에서 몇몇 조 치에 대해 다루고 있을 뿐이다. 관수에 필요한 품셈은 건설표준품셈을 기준으로 LH와 도시기반시설본부에서도 품셈을 정리하고 있으나 노거수 에 필요한 만큼의 관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조경표준품셈을 따로 마련해야 했다. 그래서 인력관수(주당)로는 충분하지 않은 관수에 대하여는 식재면적(100㎡당)에 따른 살수차를 이용한 관수를 기준으로 표준품셈을 마련하고, 수간주사 및 병충해 방제에 대한 품은 식물문화재 치료 표준품셈에서만 다루고 있어 그대로 적용하였다. 기타 추가로 필요한 엽면 시비 및 상토처리, 생리증진제 처리등도 정리하여 조치가 필요할 때 적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식 비용절감으로 인한 노거수의 생사가 결정되거나 이 식 후 유지관리의 소홀로 인한 노거수의 생장에 지장이 없 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 있는 바, 그 과정에서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거수 이식공사의 표준품셈 정리에 있어서 각 공 종별로 대소의 차가 큰 것과 작은 것이 나타났으며 LH공사 와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는 노거수와 같은 보존가치가 있는 수목의 자원 재활용의 의미와 예산 절감과 같은 경제 성을 고려하여 이식을 위한 다양한 공종의 품을 정리해 나 가기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노거수 단일목 규격의 대형화에 따른 재료비 별도 계상뿐만 아니라 인건비의 추가부분도 품을 적용해야 하는 것이 이식 공사비 산출에 적정할 것으로 보며, 각 기본자료에서 산출 한 규격이상의 것을 공종별 공통적으로 평균한 산출 품을 노거수의 R65∼R120의 조경표준품셈으로 정하였다. 둘째, 노거수 식재 후 관리 표준품셈을 통해 일반 조경수 목과는 차별화된 노거수의 특수성을 반영한 관리 항목을 통해 이식 후에도 정상적인 생육이 가능하도록 필요한 공종 의 정리 및 표준품셈을 정리할 수 있었다. 셋째, 노거수 연간 관리는 이식 된 노거수에 대한 체계적 인 유지관리를 마련하여 월별 관리 항목을 정하고, 지속적 인 관심으로 노거수의 상태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 서 노거수의 생육이 원활하도록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 련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굴취의 자재 선택 방안이 변화 되어가는 점과 노거수의 특성상 기존 생육 환경에 따른 장비 투입 규격이나, 지장물 및 통행상의 어려운 부분 등 때문에 운반 산출이 이루어질 수 없었다는 점과 노거수 이식목에 대하여 하자관계 부분이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점이다. 또한 다양한 기본 자료를 바탕으로 표준품셈을 정리할 수 없었던 것과 노거수 이식이 이루어졌던 설계서를 다양한 수목과 규격으로 구할 수 없었던 아쉬움이 남는다
        1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육성된 딸기 품종인 ‘설향’을 대상으로 비가 림 포트 육묘 시 양분 공급 중단 시기에 따른 자묘의 생육과 정식 후 수량을 검토하였다. 자묘 받기를 완료한 후 양분을 EC 0.8dS · m−1 수준으로 공급하다가 7월 25 일부터 9월 5일에 걸쳐 약 10일 간격으로 양분 공급을 각각 중단하고 이후 수분만 공급하였다. 그 결과 육묘기 양분 공급 중단 시기가 7월 25일로 빠른 경우에 엽면적 등 지상부 생육은 억제되었으나 근중은 증가하여 T/R율이 크게 감소하였고 엽록소 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화아 분화가 촉진되어 정식 후의 출뢰, 개화 및 수확기가 앞당겨졌으나 8월 중순 이후까지 양분 공급이 지속될 경우에 수확 시기가 2주 이상 지연되었다. 이에 따라 7월 25일에 양분 공급을 중단한 처리구에서 1월 하순 및 2월 하순까지의 1주당 누적 상품과 수량은 각각 169 및 266g으로 나타났으며 9월 5일 처리구와 비교하여 각각 71 및 12% 수준의 유의한 수량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육묘 후기 자묘의 적절한 양분 공급 중단으로 체내 질소 수준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딸기의 화아 분화를 촉진하고 수확 시기를 앞당겨 딸기 가격이 높게 형성되는 동절기 수량 및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지구온난화에 대한 우려가 증가되면서 농업분야에도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친환경 유기 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유기농업을 위하여 녹비작물로 헤어리베치를 재배하여 이앙 1개월 전에, 트랙터 부착형 진압기로 진압하여 녹비작물을 피복하였다. 피복 직후 물을 관수하여 헤어리베치를 부숙시킨 후 경운작업 없이 이앙할 부분만 경운 동시에 이앙하여 녹비작물 피복 논에서 부분경운효과를 분석하였다.
        4,000원
        14.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갯지렁이류는 연안의 모래와 펄속에서 쉽게 발견되며, 그 종류의 수나 자원량이 풍부한 저서동물군이다. 이들은 저질 에 굴을 뚫어 해수를 순환하게 함으로써 유기 성분을 변화 시켜 저질을 정화시키기도 하는 등 해양 저서 생태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또한 갯지렁이류는 해양 오염 의 지표 생물로 저서 어류의 주된 먹이 및 낚시 미끼로 이용 되고 있다. 최근 연안 갯벌이 국책 사업 등 여러 가지 간척 및 매립 공사로 인하여 갯지렁이와 같은 저서 생물이 생활 할 수 있는 서식지 면적이 감소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천 에서 배출되는 각종 유기물에 의한 오염의 정도가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유기물의 성분을 변화 시 켜 저질을 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고 생각되는 갯지렁이를 이식함으로써 이식에 따른 저질 환경 개선 등에 대한 연구 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자만의 궁 항 갯벌에 갯지렁이를 이식하여, 이식 후의 월별 저질의 입 자 구조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지인 여자만에 대한 문헌 및 사전 현장 조사를 기초로 하여 전라남도 여자만에 위치한 사곡리 궁항마을 앞 갯벌(34°47′02,93″, 127°34′19,35″)을 실험 대상 지로 선정하였다. 조사 정점은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Perinereis aibuhiteusis를 이식하지 않은 대조구와 갯지렁 이를 이식한 실험구로 분리하여, 2012년 매월 1회씩 저질을 채집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구로 정한 정점에는 갯지렁이의 이식 밀도를 100개체/m2 (총 2500마리)로 이식하였으며 채 집은 간조시 상자형 코어(30 cm2)를 사용하여 약 30 cm 깊이까지 정점당 4회로 하였다. 퇴적물의 입도 분석은 과산 화수소와 염산을 넣어 유기물과 탄산염을 제거한 후, 습식 체질에 의해 4φ 이하와 그 이상으로 분리하였다. 이중 4φ 이하 조립질 퇴적물은 건식 체질법, 4φ 이상 세립질 퇴적 물은 피펫팅법으로 분석하였다. 퇴적물의 입도 특성을 나타 내는 평균입도, 분급도, 왜도 및 첨도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Folk and Ward (1957)의 방법에 따라 퇴적물을 분류하였다. 이외에 수질 환경 및 저질의 감열 감 량 및 함수율 등은 상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2011년에 갯지렁이를 이식하고 연구를 계속 진행하여 왔 으며, 2012년 1월 궁항 갯벌의 퇴적물 함량은 10.2%가 모 래(sand)였으며, Mud(니질)이 89.8%였으나 조사 개시 3개 월 후에는 모래가 10.2%, Mud가 89.8%로 비슷하였고, 12 개월 후에는 모래가 9.5%, Mud가 90.5%로 모래질은 감소 하고 Mud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갯지렁이를 이식한 실험구와 이식하지 않은 대조구의 Mud 함량은 대조 구의 경우, 실험 기간 동안 10.0%를 유지하고 있으나, 실험 구는 9.5%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갯지렁이를 퇴적 물에 수용하였을 경우, 잡식성인 갯지렁이의 먹이 활동시 퇴적물의 일부를 섭취하여 배설하는 과정에서 퇴적물의 함 량이 변화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는 갯지렁이와 같은 정착성 저서 생물을 이용하여 연안 갯 벌의 오염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15.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열을 이용한 열펌프 시스템이 온실의 냉방과 과채류의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온실 내 기온은 주간에는 차광구에 비해서 포그+차광구가 3~4℃ 낮았고, 야간에는 지열-펌프+차광구가 차광 및 포그+차광구에 비해 5~7℃ 낮았다. 오이, 고추 및 토마토 묘의 초장은 차광이나 차광+포그구에 비해 지열-열펌프+차광구가 가장 짧았고, 엽면적과 건물중은 지열-열펌프+차광구가 다른 처리에 비해 약간 작았다. 결과적으로 건묘지수는 지열을 이용하여 냉방을 한 지열+차광구는 포그+차광구 및 차광구에 비해 모두 높게 나타났다.
        4,000원
        16.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고랭지에서 사계성딸기의 고설벤치식 양액재배시 묘의 생산 및 저장방법에 따른 생육 및 수량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처리는 주냉장묘, 노지월동묘, 폿트냉장묘와 1년생묘였다. 정식시 묘의 생육량은 폿트냉장이 가장 많았다. C/N율은 1년생이 19.5로 가장 낮았고, 폿트냉장은 39.2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첫 수확기의 생육량은 처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년생의 첫 수확시기는 다른 처리에 비해 5~9일 늦었다. 1년생의 평균과중은 12.6g으로 가장 무거웠다. 상품수량은 폿트냉장이 가장 많았고, 1년생, 주냉장, 노지월동 순으로 많았다. 따라서 고랭지에서 단경기생산을 위한 사계성 딸기의 정식묘는 폿트냉장이 가장 좋았다.
        3,000원
        17.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출용 토마토 하계육묘시 육묘 용기 와 육묘 일수를 달리 함으로써 나타나는 묘소질의 차이를 구명하고, 묘소질이 다른 묘를 정식하여 재배할 경우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하였다. 육묘시의 묘 생육은 폿트 묘가 플러그 묘보다 좋았으며, 폿트 묘는 육묘 일수가 길수록 좋았으나 플러그 묘는 육묘 일수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정식 60일 후의 생육도 정식 직전과 같은 경향이었다. 1화방 수확 개시기는 폿트 묘가 플러그 묘보다 빨랐으며, 육묘 일수가 길수록 빨랐다. 4개월간 수량은 폿트 묘가 플러그 묘 보다 유의하게 많았는데 수확 2개월까지 초기수량이 현저히 많았다. 폿트 묘는 수확 2개월까지는 45일 묘와 35일 묘는 큰 차이가 없었고 25일 묘가 가장 적었으나 수확 3개월째부터는 육묘일수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플러그 묘에서는 수확 3개월가지는 35일 묘가 가장 많았고 25일 묘, 45일 묘 순이었으나 수확 4개월째에는 육묘 일수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수출용 모모타로 요쿠 재배시, 수출시기와 수출기간에 따라 육묘 용기 용량 및 육묘 일수를 결정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4,000원
        20.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ionomycin and 6-dimethylaminopurine (6-DMAP) and/or elcetrical stimulation on the oocyte activation and production of rabbit nuclear transplant embryos. The oocytes were collected from the oviduct of superovulated rabbits at 14 h post hCG injection and cultured in TCM-199 containing 10% FBS until 19 h post hCG injection. To determine the optimum concentration and exposure time of 6-DMAP, some oocytes were activated with 5 M ionomycin for 5 min and then in 2.0 mM 6-DMAP for 0.5 to 3.0 h, or in 1.0 to 3.0 mM 6-DMAP for 2.0 h. Other control oocytes were stimulated electrically(3X, 1.25 kV/cm, 60 sec) in 0.3 M mannitol solution supplemented with 100 M CaCl and MgCl. The nuclear donor embryos of 8-cell stage were synchronized to G phase of 16-cell stage, and the recipient cytoplasms were obtained from removal of the first polar body and a portion of membrane bound cytoplasm of the oocytes collected at 15 h post hCG injection. A separated blastomere was injected into the perivitelline space of the enucleated oocytes. The oocytes injected with nucleus were cultured until 19 h post hCG and then electrofused and activated by electrical stimulation with or without ionomycin and 6-DMAP. These nuclear transplant embryos were cultured in TCM-199 containing 10% FBS in 39˚C, 5% CO2 incubator for 120 h. For the oncytes activated parthenogenetically with electrical stimulation with or with-out ionomycin and the various concentration of exposure time of 6-DMAP, the highest cleavage(92.3%) and development to blastocyst stage(41.0%) were resulted from the oocytes activated by ionomycin and 2.0 mM 6-DMAP for 2.0 h, which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the cleavage(45.2%) and developement to blastocyst stage(14.3%) from the oocytes activated with electrical stimulation. The significantly(P<0.05) more oocytes(71.4%) developed to 4 cell stage at 24 h post activation by ionomycin and 6-DMAP than those by electrical stimulation(18.9%). For the nuclear transplant embryos, the cleavage rate was similarly high in oocyte activation by electrical stimulation with(79.4%) or without ionomycin and 6-DMAP(70.5%). However, the embryo development to blastocyst stage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in oocyte activation by electrical stimulation with ionomycin and 6-DMAP(44.4%) than by electrical stimulation only(25.0%). The significantly(P<0.05) more nuclear transplant embryos(45.6%) developed to 4 cell stage at 18 h post activation by electrical stimulation with ionomycin and 6-DMAP than those by electrical stimulation only(10.6%).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upplemental oocyte activation by ionomycin and 6-DMAP with electrical stimulation enhanced and accelerated the preimplanted in vitro development of the rabbit nuclear transplant embryos.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