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경제적 이익과 환경오염 방지를 위하여, 시비 시 적정량을 살포하는 변량시비가 이루어지고 있 다. 본 연구에서는 변량시비 시 균일한 살포패턴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호퍼 비료적재량, 시비량, 출 구 위치 등에 따른 원심식 비료살포기의 살포패턴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방법은 ASABE Standard S341.3에 따라 정지 및 동적 시험으로 실시하였다. 정지 시험의 결과, 호퍼 충전율이 90%(576kg)에서 50%(320kg)로 변화함에 따라 단위 면적당 시비되는 비료의 양이 2,081.63kg/ha에서 1,753.06kg/ha로 변화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고,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시비량 조절장치의 출구가 열리는 방향으로 비 료의 살포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동적 시험의 결과, 트랙터의 시비량이 50% 일 때, 'Gaussian' 형태의 패턴이 나타나게 설정하고 시비량을 25%까지 감소시켰을 때 트랙 전이살포(race track mode) 방법으로 주행 시 변이계수가 3.78%에서 12.98%으로, 순차 왕복살포 (back and forth mode) 방법으로 주행 시 변이계수가 5.05%에서 28.90%으로 증가하였다. 출구방향에 따른 살포패턴 분 석에서 출구방향을 5°씩 회전시켰을 때 살포패턴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출구방향 제어로 살포패턴 의 제어가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로 보았을 때 변량시비 시 비료적재량과 시 비량의 변화에 따른 살포패턴 변화에 대한 문제점을 출구방향 및 시비량을 제어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 을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2.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attern of flight attendant uniform shirts to provide better comfort for their work postures. Flight attendants’ work posture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 problems of clothing and mobility during their work. The pattern of the flight attendants’ uniform shirt was altered by applying dynamic wearing ease(DWE). DWE was calculated from four standardized dynamic postures and a static posture. An experimental garment was made with the altered postures. The researcher redesigned the pattern of the uniform shirts, which minimizes physical limitations in movements. The fit and mobility of the shirts were evaluat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ve representative work postures were selected by “clothing stress” and “repetitiveness.” These postures included raised arms, twisting midriff and shoulder postures. Five representative postures were selected by using the ergonomic posture assessment device index(OWAS). Second, the experimental garment was developed by applying DWE across the back and at armhole depth, back length, and side length. Third, the fit and mobility of the experimental garments and the original uniform shirts were compared at the flight working environment set and 5 dynamic body postures of raising arms. The experimental garments made with an altered pattern provided better fit and mobility than the original sample shirts.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