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6.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marketing practitioners with an overview of web analytics to explore the issue of how to define and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media through analyzing the various activities of current/potential consumers as well as provid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content marketing using social media. These analytics answer broad questions about which types of social media metrics are best at referring traffic, about conversations at the organization’s website, and about comparing different social media channel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in this study. The major goal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value of businesses’ efforts and to optimize their digital/social marketing strategy using web analytics. Based on this goal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identified: (1) can the model identify social media performance variables that are related to audience response which can be represented by website traffic?; (2) which social media sties are driving traffic to a firm’s website, specifically in B2B environment?; and (3) can the model provide insight into the importance of those variables? These analytics employ time series analysis to specifically address activities in SNSs that effectively drive traffic to a website and accomplish business goals. This study is one of the first empirical investigations in the marketing communication field related to measuring social media’s effectiveness.
        2.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provide marketing practitioners with an overview of web analytics to explore the issue of how to define and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media through analyzing the various activities of current/potential consumers as well as provid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content marketing using social media. These analytics answer broad questions about which types of social media metrics are best at referring traffic, about conversations at the organization’s website, and about comparing different social media channel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in this study. These analytics employ time series analysis to specifically address activities in SNSs that effectively drive traffic to a website and accomplish business goals. This study is one of the first empirical investigations in the marketing communication field related to measuring social media’s effectiveness. The major goal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value of businesses’ efforts and to optimize their digital/social marketing strategy using web analytics.
        3.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 처음 웹이 도입된 초기만 하더라도 웹사이트는 하이퍼텍스트 링크 방식으로 정보를 전달하는데 그쳤었다, 기업에서의 업무 활동을 비롯해 모든 고객 서비스가 지금은 웹이라는 온라인 공간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웹 사이트가 단순히 온라인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에 그치지 않고 기업이나 브랜드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이 되기도 하며, 서비스 품질을 결정짓는 중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많은 기업과 기관들은 웹 사이트의 디자인 품질 개선을 위한 노력들을 아끼고 않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디자인 품질은 빠른 속도로 발전해 가는 웹 기술력을 반영할 수 있어야 하며 차별화된 디자인을 통해 자신만의 아이덴티티를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하고, 심미성이 높은 디자인을 통해 우수성을 확보해야 하는 것을 말한다. 기업이나 기관이 요구하는 디자인 품질을 이끌어 내기 위해 웹디자이너들은 웹 기술이나 디자인 트렌드를 파악하려 노력하고 있는데, 이러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역할을 바로 웹 디자인 벤치마킹 사이트들이 해왔었다. 웹 디자인 벤치마킹 사이트는 웹 사이트들 중 디자인적으로 우수한 사이트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고, 커뮤니티 공간을 통해 웹 디자이너 간 정보 공유 창구 역할을 해왔으며 국내 웹 디자인 역사의 라이브러리 역할도 병행해 왔다. 그러나 디지털 환경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보다 웹 디자인 트렌드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고, 벤치마킹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서비스 개선이 필요하여 Analytics를 활용, 웹 디자인 벤치마킹 사이트의 사용자 이용 패턴 도출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써 국내 웹 디자인 산업의 발전은 물론 웹디자이너들의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