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상호작용공정성이 혁신행동과 직장내 일 탈행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기업들이 처한 공정성, 혁신, 일탈행동 이슈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 요변수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이후 주효과 가설과 매개효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연구가설 을 검증하였다. 설문대상 기업 북경, 상해, 절강성, 강수성에 위치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 업유형은 국유기업, 사업기관, 민간기업, 외자기업/중외합자기업 등이다. 총 42개 기업에서 응답한 305부의 설문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작용공정성 중 대인관계공정 성은 직장내 일탈행동을 감소시키고 있었지만 혁신행동에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정보적 공정성은 혁신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장내 일탈행동에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 다. 둘째, 정보적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심리적 주인의식이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으며, 직장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공정성이 혁신행동, 직장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 를 통해 중국기업에서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과 직장내 일탈행동에 중요한 선행변 수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호작용공정성을 확보하려는 여러 노력이 필요하다 는 것도 알 수 있다. 이론적으로 상호작용공정성이 혁신행동, 직장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의미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5,400원
        2.
        202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in reducing workplace deviant behavior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its impact on employee performanc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and investigate (1)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workplace deviant behavior; (2)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job satisfaction; (3)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employee performance; (4)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employee performance; (5) the effect of workplace deviant behavior on employee performance; and (6) the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workplace deviant behavior.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43 permanent non-lecturer staff at Universitas Muhammadiyah Yogyakarta, Indonesia. The data analysis technique employed in this study wa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based on Partial Least Square (PL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workplace spirituality affected workplace deviant behavior; workplace spirituality affected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ffected employee performance; and workplace deviant behavior affected employee performance. Meanwhile, the findings further showed that workplace spirituality did not affect employee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did not affect workplace deviant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could not mediate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workplace deviant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