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yellow-legged hornet, Vespa velutina nigrithorax (Hymenoptera: Vespidae), invaded into South Korea in 2003. Currently, V. velutina is distributed throughout South Korean regions,. A genetic trait of invasive species provides important data for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In this study, we analysed the genetic variation of the V. velutina among the populations of South Korea and other foreign countries using partial sequences of mitochondrial COI, CytB and 16S rRNA. We further developed intergenic spacers (IGS2 and IGS3) to detect genetic variation among Korean populations. Each single haplotype was recovered from the domestic V. velutina from each coding gene sequence. Korean individuals shared the haplotype with that of Japan and China. Phylogenetic analysis (excluding 16S rRNA) using available sequences and ours showed the presence of two groups: the Indonesia and Malaysia group and another group (Korea, Japan, China, France, Vietnam and Thailand). The newly developed IGS2 and IGS3 markers resulted in each seven and four haplotypes, providing better resolution than coding gene sequences. Analysis of Molecular Variance using the combined sequences of IGS2 and IGS3 showed that the majority of variance was allocated to each population and only minority of variance is allocated to among-populations. This result may indicate that the V. v. nigrithorax invaded in Korea shows a single panmictic population and this possibly suggest that Korean population may have originated from small founder individuals.
        3.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동남아시아에 발생하던 등검은말벌은 최근 국내 뿐만 아니라 프랑스와 일본,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어 전 세계 양봉 산업에 극심한 피해를 주고 있다. 등검은말벌을 방제하기 위해 다양한 방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그 중 말벌 유인제에 대해 국제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이 역시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판 유인제와 최근 (주)다목에코텍에서 새롭게 개발한 신규 개발 유인제에 대한 효능 검정을 수행하였 고 양봉장에 출현하는 국내 발생 말벌속의 발생양상을 조사하였다. 담양 1개소와 곡성 2개소에 기존 유인제과 신규 유인제를 장착한 포획기를 각 3쌍씩 설치하여 2016년 9월부터 11월말까지 주 1~2회 관찰하였다. 그 결과 국내 발생 말벌속 중 등검은말벌(7,787 개체)이 가장 많이 포획되었고, 다음으로 장수말벌, 말벌, 좀말벌, 꼬마장수말벌, 털보말벌 순으로 포획되었다. 두 유인제의 포획력 검정 결과, 신규 개발 유인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 < 0.01) 등검은말벌 포획력이 높음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