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30

        8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는 다양한 이유로 이주하여 타(他)문화에 적응하며 삶을 사는 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배움 경험을 탐구함으로써 이전과 환경이 다른 삶에서의 적응을 위한 배움의 본성, 배움 경험의 의미와 본 질, 그리고 배움을 통한 각자 삶의 변화와 쓰임새에 대해 탐색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질적 탐구 중 내 러티브 연구방법을 택했으며, 소수의 사람이 양질의 정보를 제시해야 하므로 비슷한 경험을 하고, 자신의 경험을 드러내 이야기할 수 있는 대상들로 의도적 표집을 했다. 먼저 참여자들이 이주민으로 살아가면서 적응하기 위해 어떠한 배움 경험을 했는지를 기술하고, 그 경험을 통해 어떻게 자신을 재구성하며 다시 살았는지 분석하여, 이주여성들에게 배움 경험과 개조의 의미를 해석하고자 했다. 이 탐구는 참여자들이 살아온 길을 연구자와 함께 되짚어 살아내며, 앞으로도 살아갈 날들에 관한 이야기다. 연구에 드러난 참여 자들의 ‘살기’와 ‘다시 살기’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이주여성들이 이주의 과정에서 대면하는 역경은 좌절이 아닌 인생이란 노정(路程)에서 또 다른 길을 가보는 전환이 됐다. 둘째, 이주여성들에게 ‘한국어 배우기’는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욕구를 실현하며, 생존을 위한 과정이다. 셋째, 이주여성들이 배우는 과정에서 얻은 것은 함께한 동행들과 나누는 의식 소통을 통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실현이다. 넷째, 이주여성들은 스스로 배움을 계획하고 실행해 보며 성취감을 느끼고 미래의 쓰임새를 찾게 됐다. 다섯째, 이주여성들의 배움은 개인적 만족감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개인과 사회가 서로 연 결망을 이루어 사회자본이 된다. 이 연구는 한국 사회의 이주여성을 이주민으로 보기보다는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의 일원으로 인식하고, 서로의 약함을 보듬으며 배움의 여정을 같이 걸어가는 동행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6,700원
        82.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한문 교과서에 구현된 ‘학습 용어’ 관련 교육 내용과 방법을 검토하고 효과적인 학습 용어 교육을 위한 발전 방안을 제언한 것이다. 중학교 한문 교과서 17종에서 학습 용어의 구성 방식, 과목과 용어의 제시 방법 등을 정리하였다. 17종 가운데 5종에서는 학습 용어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았으며, 소단원의 본문 학습으로 구성한 것은 2종에 불과하였다. 학습 용어의 수록 현황을 정리해 본 결과, 16개 과목의 480여개 학습 용어를 수록하고 있었는데 중학교 교육과정 편제에 없는 과목과 학습 용어를 수록한 경우도 있었다. 본고에서는 과목과 학습 용어의 선정, 단원 구성과 교육 방법 등의 측면에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중학교 교육과정의 편제를 고려하여, 국어‧사회‧역사‧도덕‧수학‧과학 등 6개 과목으로 한정 할 것을 제안하였다. 학습 용어의 선정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6개 교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내용 요소, 학습 요소’에 나오는 용어와 한국어 교육과정의 ‘교과별 학습 어휘 목록’을 토대로 ‘학습 용어 목록’의 작성을 제안하였다. 학습 용어의 실질적인 교육을 위해 적어도 1개 소단원 이상에서 본문 학습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어휘 교육의 기본이 되는 ‘단어의 짜임’을 함께 학습하고 ‘나만의 학습 용어 노트 만들기’와 같은 학생 중심 학습 활동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본고가 차후 교육과정을 새롭게 개정하고 이에 따른 교과서를 집필할 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8,700원
        83.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speech acts in Korean language. This study targets 371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from 1985 to 2020. These paper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year of publication, type of paper, type of speech act, research topic, subject of research, and data collection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search related to speech acts in Korean have been diversified in terms of topics, subjects of research, and data collection methods along with a quantitative increase. However, three directions are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udy of speech acts in Korean language. First, subjects of research need to be diversified in terms of their learning environment and proficiency. Second, in order to analyze the actual use of language, it is required to collect data close to actual conversation. Lastly, longitudinal studies are needed to research Korean language learners' development or acquisition of Korean language.
        6,300원
        84.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Hallyu (Korean Wave) boom that started with TV dramas in the 2000s expanded to various cultural areas, including food and music. As Korean culture gained popularity, Hallyu fans in Japan began to adopt Korean vocabulary like loan words. To study this phenomenon, the author collected vocabulary used by K-pop fans of native Japanese speakers and classified them by type.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se words were currently being borrowed and used in their original Korean form; however, there were also words created by combining Korean words with Japanese words or newly coined by combining Korean words. Once Korean K-pop vocabulary becomes more established in Japan, it is expected that more words will emerge that originate from Korean but are independently created and used exclusively by Japanese speakers.
        7,700원
        85.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undertaken to design a Korean presentation class for academic purposes based on CALLA (Cognitive Academic Language Learning Approach) and to find its effectiveness. In this study, 10 foreign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lass which teaches presentation strategies for 15 weeks. According to CALLA, some useful presentation strategies were introduced and practiced repeatedly, and the students’ presentations in Korean considering their major were completed gradually. As a result, positive effects from the presentation class on the perspective of language, non-language and data organization could be acquired through repetitive feedback and practice. Thus, the students could use the proper discourse for topics ranging from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presentation to concluding presentation. The learners have shown a lot of improvements in presentation ability through the CALLA course regardless of language proficiency but the class design used in the study should be conducted in other presentation classes for academic purposes.
        5,800원
        86.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0년대부터 국제사회는 군사력 위주의 하드 파워에서 문화와 도덕 등이 중요시되는 소프트 파워로 전환되었다. 소프트 파워는 강제나 보상 보다 사람의 마음을 끄는 힘으로 자국의 이익을 얻는 능력이다. 본 연구 는 소프트 파워적 관점에서 방탄소년단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첫째, 방탄소년단은 한국 전통문화를 안무에 적용하여 한국 문화유산을 인류의 보편적 가치로 승화시켰다. 둘째, 방탄소년단은 한국의 정체성인 한글을 곡에 적용하여 한글의 세계화에 기여하였다. 셋째, 방탄소년단은 유엔의 유니세프활동과 원폭 티셔츠, 나치문양의 모자, 한국전쟁에 대한 소견 등으로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확산시켰다. 결론적으로 방탄소년단의 소프트 파워 효과는 한국 전통춤을 재구성하여 한국의 문화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 한국어로 구성된 가사를 통해 한국어에 대한 친근감을 형성하였 으며, 전쟁보다는 평화가 중요하다는 인식을 저변에 확산시켜 인류에게 미래지향적인 가치관을 확산시켰다.
        6,400원
        87.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한·중 감각어 중 하나인 시각어에 대한 원형 의미와 의미 확장 그리고 특 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그중 한국어의 시각어 중 토박이말을 대상으로 주요 시 각 동사와 시각 형용사를 살펴보고, 이에 상응하는 중국어의 시각 동사와 시각 형용 사를 살펴보고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어의 주요 시각 동사로는 ‘보다’를, 시각 형용사로는 ‘밝다·어둡다, 희다·검다·붉다·푸르다·누르다’를, 이에 대한 중국어의 시각 동사는 ‘看’을, 시각 형용사는 ‘亮, 暗, 白, 黑, 红, 蓝, 黄’을 살펴보고 비교 분석 하고 자한다.
        5,200원
        88.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honetically if the spelling errors produced by foreign Korean learners are related to learners’ pronunciation by analyzing the pronunciation of plain, tense, and aspiration sounds of foreign Korean learners using a Praat.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data produced by 18 foreign university students at the beginner level.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eign Korean learner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errors in plain and aspiration sound among initial obstruent words. This can be interpreted as an extremely strong or very weak pronunciation of the word, because learners do not properly recognize the intensity of range in plain sounds. Second, the more accurate the learner’s perception was, the more accurate production can be made. Statistically, it was found that the production rate increased by 0.178 each time the perception rate increased by 1. Therefore,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is establish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nunciation and spelling is a relationship that increases by 0.652 each time the pronunciation increases by 1. It can be expla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earner may often write words as they pronounce them.
        5,500원
        89.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9년 초연된 최우정의 오페라 ≪1945≫는 한국 창작오페라 70년사에서 유의미한 발자취를 남긴 작품으로 평가된다. 그 바탕에는 물론 한국어로 된, 한국인의 삶과 사회가 녹아 있는 대본의 힘이 깔려있으며, 이는 관객들의 공감을 사고 보편성을 획득하게 하였다. 그러나 오페라 장르의 특성상,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음악’이다. 본 논문은 작곡가 최우정의 오페라 작곡기법을 라이트 모티브의 활용, 극적 요소를 연출하는 음악, 인용 기법과 작곡 방식의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최우정의 오페라 ≪1945≫는 ‘파편적’으로 존재하는 여러 음악재료들이 서로 유동적인 ‘절합’의 관계를 맺고 있고 수직⋅수평적 측면에서 대위적으로 직조되는 ‘다성부적 방식’으로 작곡되었음을 밝혔다.
        8,300원
        90.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한국어교재에 제시되어 있는 여러 문법 항목들을 학습하다 보면 하나의 의미에 여러 문법 항목들이 있어서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특히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단위는 다르지만 문법 의미가 유사한 표현들이 많아서 한국어 문법 학습에 더욱 어려움을 겪는다. 더구나 한국어교재나 한국어문법서에 잘 다루어지지 않는 복합 문법 표현의 경우 교육 현장에서도 교수-학습에 어려움을 겪지 만 교육 현장 밖에서도 학습자들이 접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런 복합 표현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보 의미가 있는 복합 표현 ‘-다손 치더라도’, ‘-(ㄴ)다고 해도’, ‘-만 해도’, ‘-아/어 봤자’ 등을 대상으로 주어 일치 제약, 선행 용언 제약, 문장 종결 제약, 부정문 제약, 시제 제약 등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 특성을 기반으로 양보 의미 복합 표현 문법 교육의 효율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5,700원
        91.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 researcher transcribed Korean negation sentences presented on four episodes of the [Love of 7.7 Billion] and analyzed the discourses of foreign panel members by focusing on Korean negation sentences.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1) analyze types and accuracy of Korean negation sentences in foreign panel members’ discourse and (2) present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efficient Korean education on negation sentences. This study was launched as an attempt to analyze how correctly and variously foreign panel members in the program use Korean negation sentences in their discourse. Since discourse is closely related to the ordinary life of humans, discourses which appeared on the [Love of 7.7 Billion] would be suitable data to analyze since it is a discussion-based program. Therefore, discourse is useful from a pedagogical standpoint to look into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them. Through discourse analysis, several implications were found. (1) foreign panels tended to use short negation sentences rather than long negation sentences; (2) panels’ use of Korean negation sentences was not various; (3) panels divided Korean negation sentences into often-used negation sentences and rarely-used negation sentences; (4) the use of negative polarity was not found that much.
        5,200원
        92.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d in what directions the 2017 KSL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be properly implemented in the field. To this end, it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factors, direction of action, validity, clarity, and feasibility factors, and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were derived: (1) From the action direction factor, it should be designed as a framework in which teachers can reconstruct the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mutual adaptation. (2) In terms of validity, the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language materials should be organized according to achievement standard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2017 KSL curriculum could be organized so that it can be cross-referenced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is curriculum by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pper or other curriculum. (3) In terms of clarity, the contents of culture and academic language proficiency must be presented in detail.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specify the detail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y each school level and Korean level. (4) In terms of feasibility factors, it is suggested to present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is curriculum operated as a grade-free system, and to provide a curriculum manual.
        5,700원
        93.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bout meta-language used for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in Serbia, where it is not a native language. This study examined meta-language for teaching preferred by Korean language learners of Serbia and explored efficient methods of meta-language use for teaching. First, meta-language and meta-language for teaching were discussed, and meta-language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was defined. After setting up the research question and hypothe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Korean language learners at the University of Niš in Serbia to determine their preferred meta-language for teaching. According to the survey, many learners wanted to take classes in ‘Korean-Serbian languages.’ Beginner and intermediate learners of vocabulary, grammar, and conversation preferred ‘Korean-Serbian’ meta-language for teaching, and advanced learners preferred ‘Korean’ meta-language for teaching. Based on such grounds and existing theories, this paper proposed a usage model of meta-language for teaching in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anguage classes in Serbia and presented the necessity for fostering professional Korean language instructors overseas.
        5,200원
        94.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대화협력원리를 통하여 『史記』 대화문에 출현하는 표경부사(表 敬副詞) ‘幸’의 함축 의미를 분석하고 어떠한 한국어 번역으로의 화행 표현이 효율적 인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幸’의 사전적 의미와 용법에 대해 알아보고, 화자와 청자의 맥락적 관점에서 의사소통 과정을 살펴보았다. 표경부사로 사용되 었을 때 ‘幸’은 단순히 허사의 용법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닌 前後 맥락의 함축 정보에 따라 표현이 각각 달라지기도 한다. 해석과 번역은 문법적으로 같은 구조, 어휘적 으로 같은 형태의 문장일지라도 각각 내포된 의미에 따라 서로 다르게 표현된다.
        5,500원
        95.
        202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hronic Illness Therapy (FACIT) for Dyspnea was developed to assess multidimensional dyspnea using two subscales (experience of dyspnea and functional limitation) and a total score. Object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FACIT-dyspnea 10-item short form questionnaire (FACIT-dyspnea-K). Methods: Subjects were 163 patients with cancer. Dyspnea-related scales (modified Medical Research Council scale [mMRC],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Core 30 [EORTC QLQ-C30],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HAD], and WHO Performance Scale) were used to validate the FACIT-dyspnea-K. Results: Internal consistency was confirmed by Cronbach’s alpha values of 0.90 and 0.95 in factors 1 and 2, respectively. Convergence validity wa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two factors and total score of the FACIT-dyspnea-K with conceptually related assessment tools measuring the physical and emotional effects of dyspnea, with which correlations ranged from 0.364 to 0.567. Criterion validity was established b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ITdyspnea- K score between groups when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by performance status as assessed by the WHO performance scale. Furthermore, the FACIT-dyspnea-K showed notable correlations with other dyspnea scales (mMRC, EORTC QLQ-C30, and HAD) for cancer patients (r = 0.28 to 0.54).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two factors and total score of the FACITdyspnea- K appeared to be excellent (Cronbach’s alpha = 0.96 to 0.97).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s FACIT-dyspnea-K a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to assess the dyspnea experience of cancer patients in clinical settings.
        4,000원
        96.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n-Chinese Learner’s Dictionary, which was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is a web dictionary translating Korean Basic Dictionary into Chinese. As more and more Chinese wanted to learn Korean,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planned for the translation. A research team in Korea University carried out the project for 3 years from 2016 to 2018. The main focus of the project was to present Chinese counterparts with Korean headwords by translating them into Chinese.  This paper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compiling project, Korean-Chinese Learning Dictionary, the principles applied to the actual translation process, an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Sino-Korean headwords and the detailed translation method. In Chapter 2, the review of the purpose, steps, and progress of Korean-Chinese Learner’s Dictionary is provided. Chapter 3 presents the statistical results of the Sino-Korean headwords in Korean-Chinese Learner’s Dictionary. In addition, the detailed principles applied to the process of Chinese translation are reviewed along with the main cases by the headword type. More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vocabulary and the band system according to them are discussed.
        6,000원
        97.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한국어 기사문에서 인용부호의 사용과 중국어 번역, 그리고 한-중 대응 양상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인용부호에 관한 최신 규정을 대조한 결과, 한국어는 작은따옴표, 중국어는 큰따옴표의 용법이 상대적으로 더 다양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병렬말뭉치를 구축해 검정한 결과, 중국어 번역문의 큰따옴표 출현율이 한국어 기사문보다 높고 한국어 기사문의 작은따옴표 출현율이 중국어 번역문보다 높아 규정 차이에 따른 용법의 다양성 분포에 부합하였다. 그러나 용법별로 살펴본 결과 한국어 기사문에서 인용부호의 사용은 규정과 여러모로 다른 반면 중국어 번역문에서 인용부호의 사용은 대체로 규정과 일치하였으며, 기사문과 번역문의 인용부호간 대응 관계 역시 규정의 대조 결과에 부합하였다. 다만 큰따옴표 와 작은따옴표의 삭제 및 추가라는 변이도 다수 발견되므로 한국어 기사문에서 인용부호의 중국어 번역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향후 한-중 인용 체계에 대한 광범위한 고찰이 요구된다.
        6,100원
        98.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Q정전』은 노신의 대표적 작품이다. 본고에서는 그 중 35종의 번역본을 연구대상으로 『 아Q정전』 번역본의 시대별 특징을 개관해 보았다. 전체적으로 볼 때 1970년대에는 한국어 표현과 독자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번안 풍이 남아 있던 시대였고, 1980년대는 명사와 문인들이 번역에 많이 참여하였으며 일본어 번역본을 중역하던 경향이 있는 시대였다. 1990년 대는 대부분 상업적 목적으로 번역에 종사하던 사람들에 의해 번역이 이루어졌으므로 번역자 보다는 출판사가 주도권을 행사하던 시기였다. 2000년대는 노신문학회를 포함하여 전문적으로 현대문학을 연구하는 학자, 교수들이 번역에 직접 임한 시대라는 것이 특징적이다. 2010년 대의 주된 특징은 현대문학 혹은 노신연구전문가들이 번역에 적극 임하였는데 특히 루쉰전집 번역위원회에서 『루쉰전집』(전권20권)을 번역 출판했다.
        8,000원
        99.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기계번역, 음성인식, 언어자료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등 언어처리 시스템의 실현에 있어서 자연언어처리(NLP)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중 문법구조 대응 방법에 대한 자연언어처리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있다’에 대응하는 중국어 단어인 ‘有,在,着’를 중심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응 구조를 분석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들이 자주 범하는 오류 유형에 대해 Google 번역을 시도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오류를 수정·보완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가 한국어와 중국어를 위한 전산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4,800원
        100.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North Korean refugees. In pursuance of this goal, the study collected bibliographic information from 1,924 academic papers related to North Korean defectors and analyzed their research trends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The frequency and centrality of the academic papers were analyzed by year, using an analysis tool, NetMiner 4.0, which focuses on analyzing social network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of North Korean defectors began to explode in 2010. Second, the most central words were ‘education,’ ‘unification,’ ‘policy,’ ‘support,’ ‘experience’ and ‘relationship.’ Third, for North Korean defectors,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was more actively done than general Korean language education. Fourth, the analysis of 15 topics showed that topics on social issues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at 25%. Finally, the areas of greatest interes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vocabulary,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education. It is hoped that mor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will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6,4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