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8

        121.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논으로부터 밭으로 윤환한 2년차인 답전윤환밭과 연속밭에 풋옥수수 찰옥4호 등 8품종을 사용하여 윤환밭과 연속밭의 병충해 발생, 생육 및 수량특성 차이 구명은 물론 풋옥수수의 체계적인 유기농 답전윤환 재배기술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수행한 결 과는 다음과 같다. 유기농 답전윤환 시 주요 병해는 전반적으로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발병률이 높았으며, 시험품종 중 저항성 품종으로 발병률이 2% 미만인 흑진주찰과 대학찰 로 판단되었다. 유기농 답전윤환 시 주요 충해인 조명나방 유충 피해는 전반적으로 연속밭 에 비해 윤환밭에서 피해주율이 높았으며, 시험품종 중 저항성 품종으로는 피해주율이 낮 은 찰옥4호와 흑점2호로 판단되었다. 유기농 답전윤환 시 수량은 윤환밭에서 연속밭의 85 %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답전윤환밭에서는 찰옥4호가 789.0 kg/10a로 가장 수량이 많았 다. 내병성, 내충성, 수량을 종합 평가하면 유기농 답전윤환 시 적합 품종으로는 찰옥4호, 흑진주찰, 흑점2호로 판단된다.
        122.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of providing public function of organic farming. Define the difficulties of rice farmers to provide public utility of organic farming. We estimated the amount of the farmers would like to receive for the practice of organic agriculture using choice experiment methods. By evaluating individual economic values through WTA estimates, its meaningful to grasp farmers preference for organic farming practice and conversion.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useful data for future organic agriculture policy. For the expansion of organic farming, it is required to evaluate correct and accurate economic value and reflect this in policy.
        123.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유기농 수수의 곡물과 새싹채소의 주요 기능성 성분인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 활성, 일반성분을 알아봄으로써, 수수의 유기농 농산물로써의 다양한 활용방안에 대한 기초 자료로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수수의 유광 새싹채소는 종자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이 2.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기성분에서도 새싹채소에서 1.6~9.87배의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항산화 성분 중 총 polyphenol 함량은 유광 새싹채소에서 평균 4,135 mg GAE g-1으로 높 았으나, flavonoid 함량은 종자에서 평균 3.86 mg GAE g-1으로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 었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종자에서 평균 15.78 mg TE g-1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광 새싹채소와 무광 새싹채소에서는 평균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 서는 종자에서 평균 15.79 mg TE g-1으로 새싹채소에 비해 11배 이상의 높은 활성이 나타났 다. 특히, ‘동안메’는 황금찰, 남풍찰 및 소담찰에 비해 종자와 새싹채소에서 가장 높은 활성 이 나타내었다.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은 품종과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광처리와는 매우 높은 유의성을 보였다. 따라서 유기농 항산화 식품 및 천연 항산화제 공급원의 이용시 종자 (‘동안메’)를 이용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수수 새싹채소의 영양학적인 유 기농 식품으로써의 이용에 대한 추가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124.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방산 함량 및 배합사료와 조사료 비율을 기초로 한 유기농 사료 급여가 홀 스타인 착유우에서 생산된 원유의 CLA 및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연구를 조사하기 위한 목 적으로 실시하였다. 총 290두의 홀스타인 착유우를 산차 및 유량에 따라 3개 group으로 나 누었다. 대조구는 C16:00, C18:2 그리고 SFA를 높게 설계하였고, 처리구 1은 C18:1, C18:2 그리고 UFA 함량을 높게 설계하였으며 처리구 2는 MUFA, C18:3 그리고 PUFA 함량을 높 게 설계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기농 원유 내 C16:0 함량은 처리구 2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 이유는 반추위 내 미생물의 de novo 생합성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처리구 2의 C18:0 함량은 7.92%로 대조구(11.39%)와 처리구 1(10.88%)보 다 높았다(p<0.05). CLA 함량도 처리구 2가 처리구 1이나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p<0.05). 원유 내에서 검출된 대부분의 CLA는 착유우 유선조직내의 △9-desaturase에 의하여 합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n-3/n-6 비율도 처리구 2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착유우에게 혼합 목건초 등을 급여하면 CLA, n-3 농 도는 증가하며 C18:0 농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유기농 인증된 조사 료 및 농후사료를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유기농 사료를 사용할 경우에만 원 유 내 CLA 및 n-3 농도는 증가한다고 볼 수 없다. 원유 내 고농도의 CLA 및 n-3 지방산 생 산을 위해서는 반추위 미생물 및 유선세포의 지방 대사를 통한 CLA 생산 메커니즘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급여 사료 내 지방산 구성 등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125.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기농경지의 지속가능한 토양양분관리를 위해 유기농가의 자재의존도와 자 재에 의한 토양 특성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6년 3월부터 6월까지 10년 이상 유기농을 실천한 토양의 화학적 특성과 함께 유기농가의 토양 관리를 위해 사용한 자재의 종류를 조 사하였다. 그 결과 유기농가에서는 토양 양분관리를 위해 주로 자가제조퇴․ 액비 및 시판자 재를 사용하고 있어 외부 투입자재의 사용빈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57%는 가축 분뇨가 포함된 자재를 이용하여 토양관리를 하고 있었고 자재 성분분석 결과 가축분의 구 성 비율에 따라 자재의 성분함량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토양분석결과 10년 이상 유기농재 배를 한 지점의 양분함량은 대체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농가에서 주로 사용하는 자재에 따라 토양 화학성이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가축분퇴비를 주로 사용하는 농 가는 교환성 칼슘과 칼륨이 과잉 존재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시판자재 분석결과 부숙유 기질비료는 가축분의 종류와 비율에 따라 성분함량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외부투 입자재에 의존한 토양관리는 토양 내 양분 불균형을 야기할 수 있다. 토양 내 양분 불균형 은 작물 생산성을 악화시키고 환경오염의 우려가 있어 농가 및 연구현장에서 이를 개선하 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농가수준에서 토양 양분관리를 위해 사용하기 용이한 시판 부숙 유기질비료의 성분함량을 고려한 신중한 투입이 필요하며, 또한 이러한 유기농경지에서의 양분 불균형 해소를 위해 집적된 양분의 이용률을 증대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126.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를 통해 논, 시설재배 밭 토양, 쓰레기장, 하천 및 호수의 퇴적 토양 등 22개소에 서 분리한 총 6종의 광합성세균 중 호기 ․암 배양이 가능한 Rhodobacter sphaeroides PS-24 를 분리하였다. 형태학적 특징으로는 그람음성의 막대모양으로, 운동성이 있었다. 분리균주 의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Rhodobacter sphaeroides ATH2.4.1과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으며, 본 연구에서 Rhodobacter spharoides PS-24로 명명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선별균주를 modifed Van niel's yeast 배지에서 배양 후 생성된 carotenoid를 추출한 결과 12.03±0.15 mg/L의 함량이 측정되었으며, 반응표면분석법 중 Plackett burman 분석방법과 Box-Behnken 분석방법을 통해 carotenoid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농도를 최 적화하였다. 분석결과 각각의 독립변수 yeast extract –0.4144 (1.23 g/L), Na2CO3 0.8541 (3.71 g/L)와 MgSO4 1.00 (1.00 g/L)의 농도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배지 조성을 최적화 한 결과 yeast extract 1.23 g, sodium acetate 1 g, NH4Cl 1.75 g, NaCl 2.5 g, K2HPO4 2 g, MgSO4 1.0 g, mono-sodium glutamate 7.5 g, Na2CO3 3.71 g, NH4Cl 3.5 g, CaCl2 0.01 g/ liter로 선정하였다. 최적배지를 대상으로 5 L, 50 L, 500 L scale-up을 진행한 결과 최종 carotenoid 는 각각 17.98 mg/L, 18.03 mg/L, 18.11 mg/L로 조사되었다. 최적배지의 경우 modified Van niel's yeast 배지보다 약 1.5배 많은 carotenoid를 생산하였으며, 대량배양을 통한 scale-up 과 정 시 carotenoid의 생산량은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 탕으로 산업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carotenoid를 생산하는 광합성세균 Rhodobacter spharoides PS-24를 개발하였으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유기농축산에 사용이 가능한 기능성 미생물제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127.
        2016.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fresh chlorella powder on yield, quality and self-life of organic soybean tofu. After added with a fresh chlorella powder, yields, physical properties, color, shelf-life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organic soybean tofu added with chlorella powder was compared to the properties of soybean tofu. The yield of soybean tofu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more than 1% chlorella powder. Hardness of the organic soybean tofu with chlorella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soybean tofu. However, Hunter’s color values of L, a, and b decreased by increases in the chlorella powder concentration. Total microbial population of the soybean tofu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rganic soybean tofu with chlorella. However, pH of chlorella tofu de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at 4℃. After 7 days storage at 4℃, the total microbial popul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addition of 2% chlorella powder. The L and a value of chlorella tofu wa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b value of chlorella tofu was decreased during storage. The results revealed that a fresh chlorella powder was a useful material to improve yield, quality and storage condition of the organic soybean tofu.
        128.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moisture content, pH, acidity, sugar content, salinity, flavor, taste, color, and overall acceptance of apple Jangachi prepared with different apple cultivars were investigated after different times in storage.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of apple Jangachi was 14.19-16.94% according to cultivar. After 5 days of storage,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to 23.26-26.91%. The pH was 3.98-4.55 regardless of cultivar. Total acidity decreased at first and then increased slightly after 10 days in the range of 0.8% to 1.3%. The sugar content of apple Jangachi decreased from 60-68% to 27-34% on the 5th day and was maintained at 23-25% after 5 days regardless of apple cultivar. The salinity of apple Jangachi increased from 0.94-1.64% to 3.5-3.8% after 15 day regardless of cultivar. In the sensory evaluation, apple Jangachi prepared with the Gala cultivar was given the best ratings in overall acceptability.
        129.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otassium (K) is an element essential for plant growth.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ree formulations of potash feldspar, powder, sand, and granule type on the growth of radish and beet in organic farming. 0.1% three formulations of potash feldspar were treated on the soil before transplanting 15 days-old seedlings of radish and beet in greenhouse. The results showed that all kinds of potash feldspar significantly increased shoot and root growth, and soluble solid contents excepted for root hardness in radish and beet. Among them, the powder type of potash feldspar was the most effective on foliage and root growth of radish and beet. Based on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0.1% potash feldspar treated in the rhizosphere of radish and beet can promote the growth of them.
        130.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etary cultured wild ginseng root (CWGR) supplementation on goat milk composition and ginsenoside profiles. Sixteen Saanen dairy goats were allocated to two balanced groups based on lactation period, body weight (38.6 ± 3.2 kg), and dairy milk yield (2.85 ± 1.2 kg), and were kept in separate pens. Goats were fed a total mixed ration (TMR) feed (2.3 kg/d, dry matter basis) and 1.5 g of CWGR powder was supplemented in the experimental diet. The total feeding period was 3 weeks, and milk an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on the last three days of the experimental period. There was no effect of CWGR on daily milk yield and milk composition (fat, protein, lactose, and solid-not-fat). However, the CWGR-treatment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plasma IgG and protein contents than the control group (P < 0.05). Significant amounts of ginsenosides were observed in the milk of the CWGR-treatment group, whereas ginsenosides were not detected in the milk of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dietary CWGR was a useful regimen to produce functional goat milk enriched in ginsenosides.
        131.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Qualitiy characteristics such as moisture content, pH, acidity, sugar content, salinity, appearance, flavor, taste, color and overall acceptance of apple Jangachi cured with different traditional Korean sauces (Kochujang, Doenjang, Kanjang)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time.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of the apple Jangachi was an average of 14.97%. But after curing with the three sauces (Kochujang, Doenjang, and Kanjaing) moisture content increased to 27~28%, 41~ 4% and 56~58%, respectively. The pH was 4.84-5.42 regardless of sauce. Total acidity increased from 0.4%, 0.34%, 0.34% to 1.14%, 0.60%, 0.67%. respectively. But acidity decreased after 10 days. Sugar content of apple jangachi decreased throughout the aging time regardless of sauce type. Salinity of apple Jangachi increased to a certain level during storage time regardless of sauce type. Apple Jangachi softened during storage as they increased in moisture content. All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cuhjang apples showed a higher score than Doenjang and Kanjang. Overall, Kocuhjang seems most appropriate for curing apple Jangachi.
        132.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investigated in leaves of organic apricot, filbert, mulberry, persimmon, and pomegranate trees during growing season.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leaves of organic apricot and filbert trees were gradually increased from May to June, attained peak in July, thereafter decreased to minimum level in October. In leaves of organic mulberry tree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simultaneously increased from May to June and sharply decrease to very low level. The leaves of organic persimmon trees showed very high level of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from May to June, thereafter gradually decrease to October. The leaves of organic pomegranate trees showed extraordinarily highest level of total phenolic compounds among five fruit trees investigated in the study during growing stages, as well as maintained higher than 91 percent of antioxidant activity from May to October.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otal phenolic compound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leaves of five organic trees were the highest in mulberry leaves, and then persimmon, filbert, apricot, and pomegranate, respectively. However,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otal phenolic compound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leaves of organic pomegranate were very low level, and not significant in their relationship.
        133.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organic vegetable cultivation on the soil physical properties in 33 farmlands under plastic greenhouse in Korea. We were investigated 5~8 farms per organic vegetable crops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to November 2014. The main cultivated vegetables were leafy lettuce (Lactuca sativa L.), Perilla leaves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cucumber (Cucumis sativus L.),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L.) and tomato (Lycopersicon spp.). We have analyzed soil physical properties. The measured soil physical parameters were soil plough layer, soil hardness, penetration resistance, three soil phase, bulk density and Porosity. The measurement of the soil plough layer, soil hardness and penetration resistance were carried out direct in the fields, and the samples for other parameters were taken using the soil core method with approximately 20 mm diameter core collected from each organic vegetable field. Soil plough layer was average 36 cm and ranged between 30 and 50 cm, and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orts of vegetable cultivation. The soil hardness was 0.17±0.15~1.34±1.02 in the topsoil, 0.55±0.34~1.15±0.62 in the subsoil. It was not different between topsoil and subsoil, bu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afy and fruit vegetables. Penetrometer resistance is one of the important soil physical properties that can determine both root elongation and yield. The increase in density under leafy vegetables resulted in a higher soil penetrometer resistance. Soil is a three-component system comprised of solid, liquid, and gas phases distributed in a complex geometry that creates large solidliquid, liquid-gas, and gas-solid interfacial areas. The three soil phases were dynamicand typically changed in organic vegetable soils under greenhouse. Porosity was characterized as range of 54.2±2.2~60.3±2.4%. Most measured soils have bulk densities between 1.0 and 1.6 g cm-3. To summarize the above results, Soil plough layer has been deepened in organic vegetable cultivation soils. Solid hardness (the hardness of the soil) and bulk density (suitable for the soil unit mass) have been lowered. Porosity (soil spatial content) was high such as a well known in organic farmlands. Import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phys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vegetable cultivation. We have demonstrated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organic cultivated soils under plastic greenhouse were improv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134.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growth promoting effects and improv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oybean sprouts treated with Chlorella sp. culture solution. The soybean sprout treated with 0.1% and 0.2% Chlorella sp. culture solu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ngth (more than 43.0%), the thickness (more than 0.5~0.7 mm), fresh weight (more than 2.9~3.7 g) compared to non-treated control in vitro. In organic soybean sprouts farm, the 0.2% chlorella culture solution applied to mass culture of soybean sprout and the fresh weight of soybean sprouts increased by more than 25% and the yield was very high as 598.33%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In addition of sensory test, there is no fishy odor and better crunchy texture and nutty flavor for the treatment soybean sprouts compared to untreated soybean sprouts. Particularly,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SOD) of the soybean sprou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more than 26.1% and 40.4%, respectively by treated with 0.1% and 0.2% Chlorella culture solution. Consequently, the treatment of chlorella culture solution to grow soybean sprouts is also promoting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as well as promoting the growth of sprouts. Therefore, chlorella is considered to be worth as functional materials for high-quality sprouts grown.
        135.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native ground cover plants for sod culture in an organic apple orchard by estimating the effect of three native ground cover plants, Glechoma hederacea, Thymus magnus, and Ixeris stolonifera, on the soil coverage, time-periodic weed occurrence, fruit characteristic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The plant height of G. hederace, T. magnus and I. stolonifera were 15.0 ㎝, 13.4 ㎝ and 7.2 ㎝, respectively. The dry weight of G. hederace, T. magnus and I. stolonifera were 463 ㎏/10a, 247 ㎏/10a, and 255 ㎏/10a, respectively. The plant height and dry weight of G. hederacea were higher than in the other species. T. magnus and I. stolonifera having relatively lower soil cover rate during their life cycle produced a lot of weeds in the orchard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contrast, G. hederacea showed 100 percentage of ground cover in the first year, and maintained high percentage of ground cover in the growing season of ‘Tsugaru’ apple for another 2 years. When the soil was covered with G. hederacea in the orchard for 3 years, the amount of weed was only 114 ㎏/10a and number of weeding was also reduced about 33% compared with control as well as the other speci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tree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native ground cover plants and the control; however, positive effects of native ground cover plants on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found. In G. hederacea, available P2O4content in soils remarkably increased and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native species. In addition, cation (Ca, Mg and K) content in soils increased by 39% in Ca, 6% in Mg, and 11% in K at G. hederacea compared with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G. hederacea could be advantageous in terms of reducing the amount of herbicide applied and the labor required for weed control, and controlling soil chemical properties; therefore, it is a good candidate for sod culture in an organic apple orchard.
        136.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rganic ginseng farming has rapidly increased in response to consumer demand for a safe product which improves health. Differences in soil nutrient concentration and ginsenoside content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ginseng farming have, however, not yet been properly studied. Therefor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soil nutrient concentration and ginsenoside content between these two farming systems. NO3-N, P2O5, and K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ginseng farming. The total content of ginsenoside and individual ginsenoside components were higher in organically grown ginseng than in ginseng from conventional farming, although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Particularly, protopanaxadiol saponins were higher than protopanaxatriol saponins in ginseng from organic farming compared to ginseng produced by conventional farming. NO3-N content in soil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content of ginseno-sides Rb2 and Rd. In addition, P2O5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ginseno-sides Rb1, Rc, and PD/PT ratio. Organic matter showed a positive crrelation with ginsenosides Re. To increase the ginsenoside content of ginseng, we recommend increasing organic matter and decreasing NO3-N and P2O5 contents in the soil.
        137.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건강을 생각하는 먹거리의 추세 변화가 양보다 질 위주의 유기농 및 친환경 등을 이용하여 재배하는 작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출처를 알 수 없는 불량식품 뿐만 아니라 국내 대기업 식품사들까 지 먹거리에 대한 불신을 야기 시킨 사례들로 인해 전체적인 불신으로 확대되어 사회적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먹거리에 대한 불신을 조금이나마 해소하려는 일환으로, 재배조건이 까다 롭지 않으며, 성장기간이 짧은 상추재배를 중심으로 가정용 수경식물 재배기기를 연구하였다. 식물과 식물 재배 그리고 수경식물 등을 고찰하여 이론적 배경으로 삼았으며, 식물재배에 관련된 현황과 기기에 대하여 정리 하였고, 실물 제작에 필요한 부품과 스팩에 관하여 시장조사 후 배치도 도면 및 모형을 진행 하였다. 정형화된 기기를 소비자가 직접 원하는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심플하고 가벼운 외형과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원 버튼 시스템화를 통하여 간편성을 부여하여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는 식물재배공장 형태 및 대형화의 모습을 띄고 있는 식물재배 산업을 통하여, 가정용 수경식물 재배기기의 조건을 찾아 프로토타 입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는 향 후 그 다양해 질 수 있는 연구 개발에 디자인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 으며, 나아가 가정용 타 식물재배기기 디자인 개발 시 구조와 배치, 사양 등이 참고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138.
        201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기 및 일반재배에 따른 풋고추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을 비교하고자 무게, 길이, 수분함량, 표면색도, 경도,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 총페놀함량 등을 분석하였다. 무게, 길이의 경우 전반적으로 유기농 풋고추에서 무게가 적고, 길이가 짧았으며 수분함량의 경우 유기 및 일반재배 간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표면색에 있어서 유기농 풋고추의 L과 b값이 높았고, a값은 일반재배 풋고추의 값이 높았으며 재배조건에 따른 L, a, b값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항산화활성의 경우 DPPH radical 소거능은 유기농 풋고추가, ABTS radical 소거능은 일반재배 풋고추가 높은 활성을 보였다. 총 페놀 함량은 유기농 풋고추 값이 높았으나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게, 길이 등의 외적 품질에 대해서 일반재배 풋고추의 값이 높았고, 항산화활성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유기농 풋고추에서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 유기 및 일반재배에 따른 내외적 품질비교를 위해서 더 많은 분석이 추가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139.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박 과실썩음병의 원인균인 A. avenae subsp. citrulli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개발할 목적으로 오배자(S. chinensis)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오배자를 MeOH로 추출하여 용매분획을 하였고, 용매분획 중에서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낸 hexane fraction을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하여 활성이 강한 분획들을 GC-MS로 분석하였다. GC chromatogram 상의 주요 peak에 해당하는 mass spectrum과 Wiley library를 비교하여 profiling한 결과, 지방산인 myristic acid, palmitic acid와 3-n-pentadecylphenol이 주요 물질로 검출되었다. 이들 검출 화합물의 항균활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표준품을 사용하여 bioassay한 결과, myristic acid와 3-n-pentadecylphenol 화합물이 강한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오배자로부터 분리한 myristic acid와 3-n-pentadecylphenol 화합물이 항균 활성물질인 것을 구명하였다.
        140.
        201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온주 감귤의 품질 등급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제공을 위하여 제주 감귤의 묘사적 관능 특성 개발과 재배방법별 품질 지표간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제주산 온주 감귤의 훈련된 패널요원에 의해 묘사분석을 한 결과 5개의 외관 특성(광택 강도, 색 강도, 껍질 두께, 손상 정도, 껍질의 조직감), 3종의 냄새(신내, 단내, 신선한 냄새), 6종의 맛(신맛, 단맛, 쓴맛, 신선한 맛, 싱거운 맛, 이미), 4종의 텍스쳐(경도, 알갱이의 경도, 다즙성, 펄프감) 및 3종의 후미(신맛, 단맛, 쓴맛)가 선발되었다. 유기농 하우스재배 및 무농약 노지 재배 감귤과 관행재배 감귤의 품질 특성 중 고형분 함량의 경우 유기농 하우스 감귤의 고형분 함량이 가장 낮았고, 큰 감귤이 작은 감귤보다 고형분 함량이 적었다. 유기농 하우스 재배 귤이 다른 시료에 비해 낮은 pH와 약간 높은 산 함량을 가지고 있었다. 감귤의 품질 특성간의 상관분석결과 감귤 껍질와 과육을 씹은 후 남는 펄프 함량과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고형분 함량은 당산비, 감귤 과피의 색 강도, 단맛, 신선한 감귤맛, 과육 알갱이의 강도, 단후미와 1% 유의 수준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 쓴맛, 싱거운 맛, 이미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감귤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의 주성분 분석 결과 첫 번째 주성분(F1)과 두 번째 주성분(F2)는 전체 데이터의 48.39%와 26.77%의 설명력을 보여 주었고, 총설명력은 75.16%였다. 주성분 F1은 가용성 고형분함량, 당산비, 과피의 광택강도, 색 강도, 신향, 단향, 단맛, 쓴맛, 신선한 감귤맛, 싱거운 맛, 이미, 과육 알갱이의 강도, 후미의 단맛과 쓴맛이었고, F2는 감귤의 크기, pH, 산도, 과피의 손상도, 과피의 조직감, 신맛, 과육의 강도, 과육을 씹었을 때 남는 펄프함량, 후미의 신맛이었다. 또 주성분 F3는 과피의 두께와 다즙성이었다. 즉 동일 지역의 동일 품종으로 재배된 유기농 하우스 재배 감귤과 관행 재배 시료와 전반적으로 이화학적 품질 특성과 관능적 특성에 차이가 있었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