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98

        121.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iagnostic evaluation tool that can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academic performance level i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studying at domestic universities. The diagnostic evaluation diagnoses the academic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foreign undergraduates, and provides the diagnosis results to foreign undergraduates, professors, and university institutions so that teaching activities can be conducted efficiently. In this study, it was considered that the ‘Basic Academic Ability Diagnostic Test for the Korean Language Subject' was suitable as a test tool for diagnosing to diagnose the academic achievment of foreign undergraduates. This diagnostic test is a diagnostic tool designed for Korean students in Korea, and it not only continuously verifies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but also includes background knowledge that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re basically acquiring. To prove that the 'Basic Academic Ability Diagnostic Test' is suitable as a diagnostic evaluation tool for foreign undergraduates, the correlation with the Korean language achievement evaluation was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diagnostic evaluation and other items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hen the diagnostic evaluation score was good,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the TOPIC level was also high. This result proves that the basic academic ability diagnostic test tool is very suitable as a diagnostic evaluation tool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lso, the analysis result of the pre- and post-tests and the TOPIK test showed a very significant and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ost-test, and the higher the TOPIK grade, the higher the score of the pre‐test.
        6,400원
        122.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Korean listen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and suggest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sulted a total of 57 pre-existing studies, including 32 articles in academic journals, 21 masters’ theses, and four doctoral dissertations conducted from 2005 through December 2021.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trends by year and type, comparing the 2010s to the 2000s when the research began.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studies greatly increased in the 2010s, and the frequency of studies in the 2020s tend to increase further. Seco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trends by topic, it was found tha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most studied and that there were also many studies concerned with strategy. However, there were relatively fewer studies on evaluation and curriculum. Thir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rends by research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studies mostly employed the survey method, followed by quantitative mixed method and experimental approaches. Consequently, it was noted that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most widely used in the field of listening to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nd at the same time, since all studies that used mixed research methods employed another research method along with the survey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the survey method was the dominant type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5,500원
        123.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이중주어문에서 문장의 어순, 의미, 통사 그리고 서술 어의 ‘거리도상성(距離象似性)’ 등 몇 가지 방면을 모두 고려해야 주어와 화제를 잘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주어와 화제에 관한 논쟁이 많이 일어나는 문장 유형 중, 성상형용사 구문, 소유-소재형용사 구문, 심리형용사 구문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는데, 화제는 독립된 통사 성분이 아니지만 통사 층위에서 실제적인 문법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성분이 화제 특징 [+TOP]을 가지게 하는 기능 용법인 것이다. 소위 한 국어의 이중주어문이라 하는 구문을 복문이 아니라 단문으로 분석해 내었다.
        6,300원
        124.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geminate consonant errors(안에 [an.ɛ] → *안네[an.nɛ]) produced by Chinese learners during their acquisition of Korean linking sounds within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The study was further intended to find possible constraints and causes applicable to the error. This paper argues that this error results from the interplay of the Align-R constraint, where the boundaries of a morpheme and syllable are aligned in the learner’s mother tongue, and the onset constraint, which is required for CV, a universal linguistic syllable. This study identifies the cause of the geminate consonant errors among Chinese leaners as the consequence of the simultaneous influences of interference from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and of linking sounds, which occur universally in linguistics.
        5,400원
        125.
        2022.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케이팝(K-Pop) 현황 분석과 성찰을 통해 지속가능 한 케이팝 발전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1990년대 말 일본에서 드라마의 인기로 시작된 한류는 케이팝의 인기가 확산되면서 전 세계에서 수용하 고 있고 콘텐츠도 다양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류를 주도하는 것은 케이팝이며, 유튜브 등을 통해 무료로 케이팝을 접할 수 있기 때문에 케 이팝 콘텐츠에 대한 소비는 적지만, 케이팝을 통해 가수들의 패션, 뷰티, 한국어, 음식, 한국 유학 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매개 역할을 하고 있었 다. 특히 BTS의 유엔 연설이나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의미있는 메시 지 전달은 우리의 국격을 한층 높이는 역할을 하며 소프트파워로써 그 가치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한류의 지속적 확산과 공고화를 위해서는 한류의 인기가 상대적으로 적은 유럽 지역 및 한류 비호감 요인 등에 대 한 연구를 통해 다양한 대응 방안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6,300원
        126.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중 조리동사는 의미의 범주가 달라 대응관계가 매우 복잡하다. 동일한 조리활동 을 가리키면서도 중국어와 한국어가 ‘일대일’의 대응관계를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삶다(煮)류 의미장의 중국어 13개, 한국어 9개 조리동사를 대상으로 계열 관계와 결합관계를 통해 의미소를 설정하고 이들의 의미특징을 분석하여 한중 조리 동사의 대응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사전과 코퍼스를 활용하여 다의어 에서 다수의 의미소를 설정하고 분석하는 방법과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한중 조리동 사의 의미 범주 차이를 고찰하였다. 구체적인 의미자질 분석을 통해 중국어 조리동 사에서 다의성이 강하게 나타나고 의미의 범주가 크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6,400원
        127.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nalyzes the footing shift by focusing on an interviewer’s questioning from the conversation of a Korean TV news interview. By dividing the interviewer’s questions into adversarial questions and non-adversarial questions,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footing shift functions and what the interviewer wants to achieve through it. The analysis of the news interview reveals that footing shift in adversarial questions performs a function of defense. The interviewer attributes the responsibility of remarks that criticize and refute interviewees to a third party so that they can defend themselves against the criticism of attacking interviewees. On the other hand, the footing shift in non-adversarial questions is used to introduce a new topic to the conversation. The interviewer speaks on behalf of a third party when the new topic indicates one’s position on a contentious topic. It enables the interviewer to entirely conceal his personal opinion and lead the discussion in depth. In conclusion, footing shift in questions allows an interviewer to satisfy institutional demands of the news interview. Furthermore, it is found that interviewees collaborate to preserve the interviewer’s stance of footing shift in their responses.
        6,600원
        128.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중국과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가장 가까운 관계에 있었으며, 중국어는 늘 중요한 외국어로 인정받고 있었다. 한글 창제 이후 간행된 조선 시대 중국어 역학서는 당시 언어 특징과 생활, 문화상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는 寶庫라 할 수 있다. 이들에 대한 연구성과는 상당히 축적되어 있으나 아직도 연구 방법과 연구 환경에 있어서 매우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있어, 스캔한 원본 이미지 혹은 중국어 원문이나 언해문 등의 불완전한 2차 가공물 정도만 웹사이트 상에서 열 람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선 시대 중국어 역학서인 『老乞大諺解』, 『朴通事諺 解』, 『譯語類解』, 『五倫全備諺解』, 『譯語類解補』, 『朴通事新釋諺解』, 『重刊老乞大諺解 』, 『華音啓蒙諺解』, 『華語類抄』와 중국어 원문만으로 이루어진 『老乞大』, 『朴通事新 釋』의 총 11종 역학서 및 동일한 서명의 다른 판본 총 31개의 서적을 대상으로 규장 각한국학연구원 웹사이트에서 아직 제공하지 않는 원문과 번역문에 대한 데이터를 TSV(Tab Separated Values)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으로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조선 시대 중국어 역학서에 대한 원문과 번역문을 총망라한 최초 의 연구성과이다. 이를 통해 대중에게 국학 자료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연구자들 에게 더 나은 연구 환경을 제공하며, 한국어, 중국어학 및 문화사 등의 교육 및 연구 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여러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하여 동아시아 지 역의 교류에 대한 사회사적, 문화사적 연구의 발판이 되어줄 것이다.
        7,700원
        129.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mplement a dialogue system for Korean language tutoring, this paper aimed to describe a method of constructing a large amount of Korean task-oriented dialogue data using the Wizard-of-OZ method and a pedagogical feedback and evaluation method for Korean language errors made by foreign learners. The procedure for constructing a large amount of Korean task-oriented dialogue data consisted of three steps. The first step was the preparation step for the learner’s prior learning. The second step was related to a large Korean dialogue map constructed by Korean native speakers using the Wizard-of-OZ method. The third step was implementation of a Korean dialogue system based on the dialogue map. In educational feedback and evaluation, functions such as paraphrases, recommendation expressions, educational success rate, and error content evaluation by learner level were proposed. By means of the Wizard-of-OZ method, 3,253 Korean task-oriented dialogue data were established in four domains: restaurant, hotel, tourist attraction, and taxi. The dialogue system for Korean language tutoring i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based on Korean taskoriented dialogue data. Ultimately, the task-oriented dialogue system for Korean language tutoring aims at an “augmentation of education” that collaborates with human teachers, not “teacher-less education” that replaces human teachers.
        5,500원
        130.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上古漢語(AC)와 알타이제어 간의 비교음운학적 연구방법론을 이용 하여 한국어 ‘바다(海)’의 어원을 밝혀 보고자 했다. 說文解字의 ‘孛聲’系字 분석을 통해 “餑·孛·悖·馞·㴾·浡·勃·㪍·郣·渤 [*PVT]/{旺盛} 同源語群”을 재구했고, 알타이제 어의 어휘 비교를 통해 공통알타이어祖語 [*büdV](두꺼운, 굵은)에서 파생되는 “[*P VTV-]/{膨脹·厚·肥大} 알타이諸語 同源語群”을 재구해냈다. 최종적으로 ‘孛聲’계 “餑·孛·悖·馞·㴾·浡·勃·㪍·郣·渤 [*PVT]/{旺盛}동원어군”과 “[*PVTV-]/{膨脹·厚·肥 大} 알타이제어 동원어군”을 통합하여 廣義의 “[*PVT-]/{旺盛·肥大} 漢-알타이 동원 어군”을 재구해냈다. 한국어 ‘바( 」바 다)(海)’은 어근이 [pat-](받)이며 중심의미가 “넓고 旺盛하며 큰(大)” “받[厚大·旺盛]+” 의 형태로 분석되며, 이 말은 “[*PVTV-]/ {膨脹·厚·肥大} 알타이제어 동원어군”에 속하며, 궁극적으로 “[*PVT-]/{旺盛·肥大} 漢-알타이동원어군”에 통합된다.
        8,100원
        13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물고기는 인간과의 관계가 매우 밀접하고 한국어에는 물고기 이름에 대한 단어가 예상보다 많이 존재한다. 많은 단어가 존재한다는 것은 해당 범주 구성원이 많이 존 재하여 각 대상을 표현하는 단어가 더욱 상세한 변별적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 석할 수 있다. 그래서 물고기 이름의 연구는 사람의 인지 양상을 밝히는데 충분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어류의 하나인 명태(明太)의 명칭에 주목하 여 고대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명태(明太)를 어떻게 명명하고 있고, 그 명칭의 어원과 유래는 어디에서 왔으며, ‘명태(明太)’라는 물고기 이름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해외로 전파되었는지, 또 명태(明太)의 다양한 명칭의 종류와 유형이 무엇인지 등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중·일 삼국의 명태(明太)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명태(明太)의 기원은 첫째, 명천에 사는 어부의 성씨에서 얻어진 이름으로 산지인 명천(明川)의 ‘명(明)’자와 어획한 어주의 성인 ‘태(太)’자를 따서 명명한 것이고, 둘째, 등 기름으로 명태 간의 기름을 사용하여 밤을 밝게 해주어 ‘밝을 명(明)’, ‘클 태(太)’,‘물고기 어(魚)’자로 ‘밝음이 큰 물고기’란 뜻으로 명명된 것이다. 동아시아 국가에서 명태(明太)의 발음을 살펴보면 중국어로는 ‘míngtàiyú’이고, 일 본어로는 ‘スケトウダラ’, 러시아어로는 ‘минтай(mintai)’로 우리나라 ‘명태’에서 그 이름이 시작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명태(明太) 명칭의 의미 및 인식은 한 국가 내에서 시기에 따라, 지역에 따라, 명태(明太)의 특징에 따라 나타나는 명태(明 太) 명칭은 파악할 수 있었고, 국가 간의 언어문화 교류 양상에 대한 내용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중·일 삼국의 명태(明太) 명칭 체계를 정립하고 추 후 삼국 사이의 언어문화 교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하고자 한다.
        5,200원
        13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Korean education for learners in the Arab region. This paper also suggests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o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for these learners. To conduct this study, a process of collection and sorting of research papers was held as the first step. Consequently, 64 papers were chosen. Among 64 papers, 31 academic journals and 33 theses were included. The study then reviewed the research trend by years, publishing types, and topics. Although there were very few studies in the 2000s, the number of studies has steadily increased after 2010. This was related to the Korean Wave in Arab countries and the increase in Arab students who study in Korean from 2013. In the topic analysis by the topics, ‘Teaching and Learning’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The second largest proportion was ‘Korean Education Content’. Next was ‘Korean Education in general’, followed by ‘Contrastive Analysis’. Overall,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based on contrast or error analysis between Arabic and Korean languages. In terms of contents, there were many studies on phonetics and culture.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any studies that need to be addressed in each sub-topic. Lastly, based on the analysi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5,400원
        13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impoliteness strategies and impoliteness formulas in Korean learners’ interlanguage complaints, focusing primarily on advanced Chinese learners. Discourse Completion Test(DCT) was utilized to investigate interlanguage complaints, with each scenario provid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with information on publicness, familiarities between the interlocutors, and their social status levels. Impoliteness, as well as politeness, were examined. In the meantime, the effect of those three factors above on the selecting impoliteness strategies or politeness strategies were also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atterns of impoliteness strategies, learners were more inclined to use impoliteness strategies in private scenarios compared to those public scenarios, to hearers with equal or lower social status compared to those with higher social status, and to familiar hearers compared to those unfamiliar.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impoliteness formulas, learners showed a high proportion of bald-on impoliteness strategies in all the 12 scenarios. Secondly, some of the learners failed to use honorifics in certain scenarios, damaging decencies of their hearers and even in being regarded as interlocutors with improper manners. Lastly, most of the learners neglected negative politeness, which is by no means less important that its positive counterpart.
        9,800원
        134.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성 발달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태블릿 기반의 사회성평가를 개발하고 개발된 각 항목의 예비타당도를 연구하고자 함이다. 연구 방법 : 문헌 고찰을 통해 발달장애 아동과 관련이 있는 사회성 요소들을 선별하고 평가의 구성 개념을 정립하였다. 내용 타당도를 정립하기 위하여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여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후 사회성평가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 설계, 개발, 및 사용성 평가 등의 과정을 거쳐 평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인 타당도와 판별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공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한국어판 사회적 의사소통 설문지(Korean version of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K-SCQ) 및 사회성숙도 검사(Social Maturity Scale; SMS)와 개발된 사회성평가 점수 간의 상관관계 를 분석하였다. 판별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발달 아동 32명과 발달장애 아동 16명과의 사회성 평가 결과를 평균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총 3개의 대분류 안에 8개의 세부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세부 평가항목으로는 지시따르기, 모방, 주의공유, 전상징기적 지식, 상징행동, 규칙이해, 감정지각, 조망수용이 있다. 각 항목에 대한 구성 및 과제 적절성을 델파이 조사결과 모든 항목이 CVR .8-1로 나타났다. 사회성평가의 모든 항목에서 정상발달아동과 발달장애아동의 수행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5.1, p = .000). 아울러 K-SCQ 및 SMS 점수와 개발한 사회성 평가 점수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9, .57, p < .01). 결론 : 본 연구에서는 태블릿 기반의 사회성 평가항목을 개발하였고, 각 평가항목과 구성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성평가를 통해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성 발달수준을 평가할 수 있고, 향후 임상과 교육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4,900원
        135.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요즘은 4차산업혁명으로 교과별 AI(인공지능) 교육이 점점 강화되는 추세이다. 이런 관점에서 연구자는 2021학년도 1학기에 S중학교 한문 AI(인공지능)동아리 학생을 대상으로 AI(인공지능) 활용 한문교육으로 지식정보처리역량을 길러주는 사례를 찾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먼저 엠블럭 프로그램의 인공지능 기능 곧, 음성변환, 번역, 인식서비스, 기계학습을 활 용하여 한문 교육을 하였다. 번역에서는 한국어와 한문 사이의 번역에 활용하였고, 인식서비스에서 는 언어소리인식은 한국어 또는 한문을 인식하는데 활용하였고, 언어문자인식은 한자 자형을 인식 하는데 활용하였고, 이미지 인식은 한자 자형을 인식하는데 활용하였고, 이미지 묘사는 한문 관련 이미지 묘사를 설명하는데 활용하였고, 기계학습에서는 한자 자형을 기계학습하는데 활용하였다. 다음으로 머신러닝포키즈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인성을 인공지능으로 만드는 한문교육을 하였다. 다시 말하면 텍스트를 활용하여 선행, 악행, 효도, 불효, 신뢰, 불신이라는 인공지능을 만드는 한문교 육을 하였다. 이와 같은 한문교육으로 학생들은 스스로 AI(인공지능) 활용 한문교육으로 지식정보처리역량을 기르는 사례를 다소나마 익히게 되었다. 한편으로 지식정보처리역량 개발에서 실험집단이 작아서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지만, 어느 정도 변화는 감지할 수 있었다. 앞으로 해당 학년 학생 모두 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면 소기의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10,700원
        136.
        202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기영어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원어민 강사를 대상으로 조기영어교육기관의 특성과 근무환경, 직무 만족 및 직무몰입에 대한 인식과 차이를 조사하고, 원어민 강사의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원어민 강사의 업무성과를 개선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 원어민 강사가 제공하는 교육서비스의 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조기영어교육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기영어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원어민 강사 2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15명에게 인터뷰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기영어교육기관 특성에 대한 원어민 강사의 인식은 아동의 애착과 존경이 가장 높고 협력수업에 대한 인식이 뒤를 이은 반면, 의사결정형태 및 직무연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어민 강사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어민 강사의 근무환경과 개인배경에 따른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은 조기영어교육기관의 근로자 수와 원어민 강사의 한국어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어민 강사의 직무만족에는 조직공정성, 상사의 직무역량, 상사의 의사결정형태, 동료지원, 아동의 애착과 존경이 영향을 미치고, 직무몰입에는 상사의 의사결정형태, 아동의 애착과 존경, 직무만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어민 강사의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 수준을 높이고, 이를 통해 조기영어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수준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조기영어교육기관, 기관 내 상사 및 협력강사, 원어민 강사의 노력이 요구된다.
        6,600원
        137.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어 대인관계 단어 도구를 제작하는 것으로, 그 첫 과정으로서 대인관계 단어 목록에 포함시킬 적절한 단어를 수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먼저, 생소하지만 의미를 짐작해볼 수 있고 대인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는 모든 어휘를 3종의 국어사전으로부터 수집하였다. 그 결과, 총 2,725개의 단어로 구성된 대인관계 단어 총집을 제작하였 고, 중복되는 단어를 선별하여 총 910개의 단어를 선정하였다. 그 중에서도 문법적인 형태가 다를 뿐, 의미가 비슷하거 나 동일한 단어가 발견되어 이를 반영한 재분류 작업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절차는 총 7회 반복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총 249개의 단어를 선별하였다. 한편, 대표 단어 도구를 개발하는 본 연구의 특성 상, 단어의 의미가 보다 구체화되고 집약되어 전체적인 대인관계 양상을 하나로 잘 나타낼 수 있는 단어 구성이 필요하므로, 단어의 수를 축약시킬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단어 선별의 마지막 단계로, 앞서 추출한 총 249개의 대인관계 단어에 대한 친숙성과 적절성 평가에 따라 재선별하는 절차를 수행한 후, 친숙성과 적절성의 평정치 결과가 서로 공통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단어들을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6,100원
        138.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ata for effective immigration policy by investigat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Korean citizen’s expectations for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foreigners who seek Korean citizenship.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se expectations are Korean citizen’s sense of national identity, multicultural receptivity, and preference for type of social integration. To summarize the results, first, Korean women showed stronger preferences for foreigners being required to demonstrate their Korean proficiency level when compared to their male counterpart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multicultural receptivity of Korean citizens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with higher education levels trending with higher rate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Third, when the civic factor, a sub-factor of national identity perception, was high, the preference for foreigners to prove highe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was also higher. Fourth, if multicultural receptivity was high, the preference for foreigners to demonstrate high levels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increased. Fifth, among social integration types, those who favored assimilationism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preferences for demonstration of Korean proficiency. Sixth, the level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expected of those who acquired Korean citizenship was 30% for beginner level and 50% for intermediate level.
        6,400원
        139.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참여한 커뮤니티 케어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일상생활활동, 낙상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 2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커뮤니티 케어 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의 회의를 통해 의견 수렴 후 복합적으로 제공하였다. 평가 도구는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 평 가(Assessment of Home-based Activities; AHA), 한국어판 낙상 효능 척도(Korean version of Fall Efficacy Scale; K-FES), 한국형 노인우울척도(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KR)를 사용하였으며, 면담과 초기평가를 실시한 다음 주 1-2회(1회 60분), 총 6회기 동안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재평가와 함께 만족도, 효과성을 묻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결과 : 커뮤니티 케어 프로그램 전과 후의 일상생활활동, 낙상효능감 및 우울 평가 점수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5). 프로그램 전보다 후에 일상생활활동(독립성, 어려움, 안전성)과 낙 상효능감은 향상, 우울은 감소를 보였다. 또한, 프로그램 후 만족도와 효과성은 모든 문항에서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대답하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작업치료사가 참여한 커뮤니티 케어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일상생활활동, 낙상효능감 및 우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는 다른 변수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의 결과가 커뮤니티 케어 관련 정책 수립 시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 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4,200원
        140.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에서는 크리스텐덤(Christendom) 교회와 선교적(Missional) 교회의 차이점 중 현장성(contextuality)에 관해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선교적 교회의 여정에 있는 블루라이트교회를 통해 실제적인 모습을 살펴보고자 한다. 크리스텐덤의 교회는 초대 교회와는 상이하게 교회 안에서 교권주의(clericalism)를 확립하고 지키는데 중점을 두었고, 크리 스텐덤의 이분법적인 세계관은 현장(세상)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했다. 이에 반해, 선교적 교회는 현장(세상)을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사랑 하시고, 그분께서 선교하시는 무대이며, 그분의 영광이 드러나는 장소로 받아들이기에 매우 중요하게 고려한다. 블루라이트교회는 현장의 상이함 과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목회자의 정체성을 교구 담당자보다는 선교사로 이해한다. 그리고 교인은 신앙을 교회 안과 밖의 경계를 넘어 ‘하나님의 일하심을 증언하는 삶’으로 이해한다. 또한 블루라이트교회는 동일한 한국에서 한국어를 사용하는 한국인이라도 상이한 문화 가운데 살고 있음을 인지하고, 각 세대에 적합한 조직과 체제를 마련하여 복음을 증거하고 있다. 이것을 위해 멀티사이트 교회가 아닌 두 개의 다른 지역 교회가 선교적 교회의 여정을 함께 하고 있다.
        6,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