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provides step-by-step suggestions for expanding the found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systematic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Korean language in New Northern Policy countries. To this end, a literature review was undertaken to explore the existing knowledge in the field, and surveys and onli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local experts. According to the surveys, the New Northern Policy countries were highly accepting of multilingualism and multiculturalism, currently using the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CEFR) to accommodate the global standard education model and seeking to strengthen English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Russian trend. Also based on CEFR, achievement standards are systematically presen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divided into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with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urther subdivid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extra-curricular stream is mainly conducted in after-school programs. The proposed development phase of the Korean pro-language curriculum should establish a reference system including goals and grades that connects with the CEFR. Moreover,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urthe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analyze the Korean language profiles of Korean learners.
This paper analyzes the Korean conjunctives –ko and –ese, and the Turkish converb –Ip, which have various meanings, and reveals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visually using the semantic map model. –ko and –ese are learned at the beginner level but Turkish learners have shown many errors. Those two Korean conjunctives express different temporal meanings, however, the corresponding Turkish converb expressed them in a single form. Korean textbooks have introduced the meanings of –ko and –ese as [sequential] and [continuous], but it can be made more confusing for learners by presenting the meaning using the same ter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each the meanings of the two connectives in more detail according to their syntactic characteristics. Since most textbooks of Korean do not clearly presen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o and –ese,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Turkish-speaking learners based on the Focus-on-Form approach are proposed. To teach the conjunctives –ko and –ese, distinguishing between features of different meanings and to recognize those differences is encouraged.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analyze and classify errors in translations of Korean Mongolian language learners and to suggest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the error analysis. Korea and Mongolia have had an established relationship since 1990 and held exchanges in various fields for a short period of time, and as a result the demand for professional translation is increasing. To meet this demand, undergraduate schools also require educational programs for professional translators, yet it is difficult to find any research or studies about the issue. In this study, Mongolian texts translated by Korean Mongolian learn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the errors were classified into 1) grammar related errors, 2) translation skill related errors, and 3) meaning related errors. Based on the analysis,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presented. First,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recogni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use of punctuation marks in the two languages and to learn how those them appropriately in the target language. Second, there is the issue of transcribing Mongolian into Korean. Although precise common rules for transcribing have not yet been established, teachers should suggest a consistent transcription guide. Third, since many errors related to the source language appear, it is necessary to avoid literal translations and complete the translation suitable for the target language. Finally, students need to be exposed to various types of texts and practice the style of writing that fits to the text.
중국어 연동문은 그 성분 간의 의미의 복잡성으로 한국어 번역과 교수에 많은 어려움을 준다. 이 논문은 연동문이 한국어 번역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오역현상을 지적하고 이런 문제 의식에서 출발하여 선행연구에서의 구조주의 문법이론의 연구방 법에서 탈피하여 기능문법에서 타동성의 정도성 이론에 근거하여 연동문을 타동성의 정도성에 따라 기본구조 연동문과 선행동사가 ‘着’를 가진 연동문, 그리고 이동동사 연동문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기본구조 연동문은 선행동사가 빈어(宾语)를 가지는 연동문과 후행동사가 빈어를 가지는 연동문, 선후행동사 모두 빈어를 가지는 연동문으로 하위분류를 하여 살폈고 이동동사 연동문은 선행동사가 이동동사인 경우와 후행 동사가 이동동사인 경우를 나누어 살폈다. 이 분류를 바탕으로 연동문의 한국어 번역양상 분석에서는 각 연동문의 특성과 연동문에서 구성성분의 의미관계에 대하여 처음으로 개념구조와 의미지도를 그려 보이고 연동문의 한국어 번역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연동문의 한국어 기계번역과 인공번역연구 및 번역교수에 유익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본고는 구문문법이론을 바탕으로, 한‧중 존재문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중국어 존재문의 구문형식, 구문논항, 구문의미는 각각 ‘NL+VP+NP’, <장소 대상>, ‘어떤 장 소에 무엇이 존재함’이다. 그리고 한국어 존재문의 구문형식, 구문논항, 구문의미는 각각 ‘NL에 NP가 V어/아 있다’, <장소 대상>, ‘어떤 장소에 무엇이 존재함’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어는 동태존재문을 존재문으로 인정한다. 반면 한국어에서는 동태존 재문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차이는 한‧중 존재문의 구성요소인 장소어, 술어, 존재대상에서의 차이로 이어진다. 구문들 간의 연결을 설명하는 원리 중 하나인 ‘다의성 연결’은, 중국어 정태존재문과 동태존재문이 동일한 구문이라는 것을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더불어 전통적으로 논쟁이 되어 온 “台上唱着大戏”와 같은 문장도 동일하게 존재구문의 범주로 편입할 수 있게 해준다. 반면 한국어 존재문은 중국어처럼 다양한 방향으로 확장되지 못했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할 때, 중국어 존재문과 한국어 존재문은 확장성의 크기가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중국어 존재문은 확장성이 크고, 한국어 존재문은 상대적으로 작다. 이것은 구문의 실현양상이 개별 언어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고는 우선 의미적 범주에서의 상의 개념을 정리하고 문법상을 정의하였다. 유형론적 시각에서 상은 크게 ‘완전상-비완전상’의 대립을 가진 공간적 경계상과 ‘완료상 -비완료상’의 대립을 가진 시간적 단계상으로 나뉘는데 한국어와 중국어는 ‘상황을 바라보는 시선의 위치’에 초첨을 두는 시간적 단계상에 속한다. 그리고 범언어적인 문법상의 하위 범주들을 검토하고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응되는 상 표지를 살펴보고 문법상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기존의 상 체계와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제시하였다. 또 한 전형적인 몇 가지 한중 문법상 표지의 구체적인 분포와 의미를 고찰하고 상응한 상 범주 유형과 의미영역을 탐구하였다. 마지막으로 한중 상 체계에서 한 형태표지가 여러 상 범주에 걸쳐 나타나는 현상에 관하여 상 표지의 문법화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그 이유와 관련성을 설명하였다.
최근 소프트웨어 유통망(ESD)를 통해 유통되는 게임이 늘어남에 따라 사용자들이 원하는 게임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원하는 게임을 찾기 쉽게 태그를 생성하는 모델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태그를 생성하는 모델을 BERT를 통해 설계하였다. 태그 100개 중 가장 적합한 태그를 4개 추출하기 위해 입력된 문장에 대해 각 태그별로 이진분류를 수행하고 이진분류 당시의 Softmax 값이 가장 컸던 태그 4개를 선택했다. 또한, 모델의 정확도를 위해서 약 33억 개의 다국어 단어로 학습한 pre-trained Multilingual BERT 모델과 약 5천만 개의 한국어 단어로 학습한 KoBERT 모델을 가져와 한국어 데이터로 학습(finetuning) 시켜 사용하였다. 실험에서 BERT 모델은 KoBERT 모델보다 F- 점수에서 9.19 % 더 나은 성능을 보입니다. 이는 언어 학습 데이터 세트의 크기가 특정 언어인 한국어 특성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연구는 다양한 이유로 이주하여 타(他)문화에 적응하며 삶을 사는 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배움 경험을 탐구함으로써 이전과 환경이 다른 삶에서의 적응을 위한 배움의 본성, 배움 경험의 의미와 본 질, 그리고 배움을 통한 각자 삶의 변화와 쓰임새에 대해 탐색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질적 탐구 중 내 러티브 연구방법을 택했으며, 소수의 사람이 양질의 정보를 제시해야 하므로 비슷한 경험을 하고, 자신의 경험을 드러내 이야기할 수 있는 대상들로 의도적 표집을 했다. 먼저 참여자들이 이주민으로 살아가면서 적응하기 위해 어떠한 배움 경험을 했는지를 기술하고, 그 경험을 통해 어떻게 자신을 재구성하며 다시 살았는지 분석하여, 이주여성들에게 배움 경험과 개조의 의미를 해석하고자 했다. 이 탐구는 참여자들이 살아온 길을 연구자와 함께 되짚어 살아내며, 앞으로도 살아갈 날들에 관한 이야기다. 연구에 드러난 참여 자들의 ‘살기’와 ‘다시 살기’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이주여성들이 이주의 과정에서 대면하는 역경은 좌절이 아닌 인생이란 노정(路程)에서 또 다른 길을 가보는 전환이 됐다. 둘째, 이주여성들에게 ‘한국어 배우기’는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욕구를 실현하며, 생존을 위한 과정이다. 셋째, 이주여성들이 배우는 과정에서 얻은 것은 함께한 동행들과 나누는 의식 소통을 통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실현이다. 넷째, 이주여성들은 스스로 배움을 계획하고 실행해 보며 성취감을 느끼고 미래의 쓰임새를 찾게 됐다. 다섯째, 이주여성들의 배움은 개인적 만족감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개인과 사회가 서로 연 결망을 이루어 사회자본이 된다. 이 연구는 한국 사회의 이주여성을 이주민으로 보기보다는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의 일원으로 인식하고, 서로의 약함을 보듬으며 배움의 여정을 같이 걸어가는 동행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고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한문 교과서에 구현된 ‘학습 용어’ 관련 교육 내용과 방법을 검토하고 효과적인 학습 용어 교육을 위한 발전 방안을 제언한 것이다. 중학교 한문 교과서 17종에서 학습 용어의 구성 방식, 과목과 용어의 제시 방법 등을 정리하였다. 17종 가운데 5종에서는 학습 용어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았으며, 소단원의 본문 학습으로 구성한 것은 2종에 불과하였다. 학습 용어의 수록 현황을 정리해 본 결과, 16개 과목의 480여개 학습 용어를 수록하고 있었는데 중학교 교육과정 편제에 없는 과목과 학습 용어를 수록한 경우도 있었다. 본고에서는 과목과 학습 용어의 선정, 단원 구성과 교육 방법 등의 측면에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중학교 교육과정의 편제를 고려하여, 국어‧사회‧역사‧도덕‧수학‧과학 등 6개 과목으로 한정 할 것을 제안하였다. 학습 용어의 선정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6개 교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내용 요소, 학습 요소’에 나오는 용어와 한국어 교육과정의 ‘교과별 학습 어휘 목록’을 토대로 ‘학습 용어 목록’의 작성을 제안하였다. 학습 용어의 실질적인 교육을 위해 적어도 1개 소단원 이상에서 본문 학습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어휘 교육의 기본이 되는 ‘단어의 짜임’을 함께 학습하고 ‘나만의 학습 용어 노트 만들기’와 같은 학생 중심 학습 활동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본고가 차후 교육과정을 새롭게 개정하고 이에 따른 교과서를 집필할 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speech acts in Korean language. This study targets 371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from 1985 to 2020. These paper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year of publication, type of paper, type of speech act, research topic, subject of research, and data collection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search related to speech acts in Korean have been diversified in terms of topics, subjects of research, and data collection methods along with a quantitative increase. However, three directions are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udy of speech acts in Korean language. First, subjects of research need to be diversified in terms of their learning environment and proficiency. Second, in order to analyze the actual use of language, it is required to collect data close to actual conversation. Lastly, longitudinal studies are needed to research Korean language learners' development or acquisition of Korean language.
The Hallyu (Korean Wave) boom that started with TV dramas in the 2000s expanded to various cultural areas, including food and music. As Korean culture gained popularity, Hallyu fans in Japan began to adopt Korean vocabulary like loan words. To study this phenomenon, the author collected vocabulary used by K-pop fans of native Japanese speakers and classified them by type.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se words were currently being borrowed and used in their original Korean form; however, there were also words created by combining Korean words with Japanese words or newly coined by combining Korean words. Once Korean K-pop vocabulary becomes more established in Japan, it is expected that more words will emerge that originate from Korean but are independently created and used exclusively by Japanese speakers.
This study is undertaken to design a Korean presentation class for academic purposes based on CALLA (Cognitive Academic Language Learning Approach) and to find its effectiveness. In this study, 10 foreign 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lass which teaches presentation strategies for 15 weeks. According to CALLA, some useful presentation strategies were introduced and practiced repeatedly, and the students’ presentations in Korean considering their major were completed gradually. As a result, positive effects from the presentation class on the perspective of language, non-language and data organization could be acquired through repetitive feedback and practice. Thus, the students could use the proper discourse for topics ranging from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presentation to concluding presentation. The learners have shown a lot of improvements in presentation ability through the CALLA course regardless of language proficiency but the class design used in the study should be conducted in other presentation classes for academic purposes.
1990년대부터 국제사회는 군사력 위주의 하드 파워에서 문화와 도덕 등이 중요시되는 소프트 파워로 전환되었다. 소프트 파워는 강제나 보상 보다 사람의 마음을 끄는 힘으로 자국의 이익을 얻는 능력이다. 본 연구 는 소프트 파워적 관점에서 방탄소년단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첫째, 방탄소년단은 한국 전통문화를 안무에 적용하여 한국 문화유산을 인류의 보편적 가치로 승화시켰다. 둘째, 방탄소년단은 한국의 정체성인 한글을 곡에 적용하여 한글의 세계화에 기여하였다. 셋째, 방탄소년단은 유엔의 유니세프활동과 원폭 티셔츠, 나치문양의 모자, 한국전쟁에 대한 소견 등으로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확산시켰다. 결론적으로 방탄소년단의 소프트 파워 효과는 한국 전통춤을 재구성하여 한국의 문화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 한국어로 구성된 가사를 통해 한국어에 대한 친근감을 형성하였 으며, 전쟁보다는 평화가 중요하다는 인식을 저변에 확산시켜 인류에게 미래지향적인 가치관을 확산시켰다.
본고는 한·중 감각어 중 하나인 시각어에 대한 원형 의미와 의미 확장 그리고 특 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그중 한국어의 시각어 중 토박이말을 대상으로 주요 시 각 동사와 시각 형용사를 살펴보고, 이에 상응하는 중국어의 시각 동사와 시각 형용 사를 살펴보고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어의 주요 시각 동사로는 ‘보다’를, 시각 형용사로는 ‘밝다·어둡다, 희다·검다·붉다·푸르다·누르다’를, 이에 대한 중국어의 시각 동사는 ‘看’을, 시각 형용사는 ‘亮, 暗, 白, 黑, 红, 蓝, 黄’을 살펴보고 비교 분석 하고 자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honetically if the spelling errors produced by foreign Korean learners are related to learners’ pronunciation by analyzing the pronunciation of plain, tense, and aspiration sounds of foreign Korean learners using a Praat.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data produced by 18 foreign university students at the beginner level.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eign Korean learner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errors in plain and aspiration sound among initial obstruent words. This can be interpreted as an extremely strong or very weak pronunciation of the word, because learners do not properly recognize the intensity of range in plain sounds. Second, the more accurate the learner’s perception was, the more accurate production can be made. Statistically, it was found that the production rate increased by 0.178 each time the perception rate increased by 1. Therefore,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is establish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nunciation and spelling is a relationship that increases by 0.652 each time the pronunciation increases by 1. It can be expla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earner may often write words as they pronounce them.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한국어교재에 제시되어 있는 여러 문법 항목들을 학습하다 보면 하나의 의미에 여러 문법 항목들이 있어서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특히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단위는 다르지만 문법 의미가 유사한 표현들이 많아서 한국어 문법 학습에 더욱 어려움을 겪는다. 더구나 한국어교재나 한국어문법서에 잘 다루어지지 않는 복합 문법 표현의 경우 교육 현장에서도 교수-학습에 어려움을 겪지 만 교육 현장 밖에서도 학습자들이 접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런 복합 표현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보 의미가 있는 복합 표현 ‘-다손 치더라도’, ‘-(ㄴ)다고 해도’, ‘-만 해도’, ‘-아/어 봤자’ 등을 대상으로 주어 일치 제약, 선행 용언 제약, 문장 종결 제약, 부정문 제약, 시제 제약 등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 특성을 기반으로 양보 의미 복합 표현 문법 교육의 효율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a researcher transcribed Korean negation sentences presented on four episodes of the [Love of 7.7 Billion] and analyzed the discourses of foreign panel members by focusing on Korean negation sentences.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1) analyze types and accuracy of Korean negation sentences in foreign panel members’ discourse and (2) present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efficient Korean education on negation sentences. This study was launched as an attempt to analyze how correctly and variously foreign panel members in the program use Korean negation sentences in their discourse. Since discourse is closely related to the ordinary life of humans, discourses which appeared on the [Love of 7.7 Billion] would be suitable data to analyze since it is a discussion-based program. Therefore, discourse is useful from a pedagogical standpoint to look into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them. Through discourse analysis, several implications were found. (1) foreign panels tended to use short negation sentences rather than long negation sentences; (2) panels’ use of Korean negation sentences was not various; (3) panels divided Korean negation sentences into often-used negation sentences and rarely-used negation sentences; (4) the use of negative polarity was not found that much.
This study explored in what directions the 2017 KSL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be properly implemented in the field. To this
end, it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factors, direction
of action, validity, clarity, and feasibility factors, and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were derived: (1) From the action direction
factor, it should be designed as a framework in which teachers can
reconstruct the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mutual adaptation.
(2) In terms of validity, the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language materials should be organized according to achievement
standard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2017 KSL curriculum
could be organized so that it can be cross-referenced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is curriculum by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pper or other curriculum. (3) In terms of clarity,
the contents of culture and academic language proficiency must be
presented in detail.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specify the detail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y each school level and Korean level.
(4) In terms of feasibility factors, it is suggested to present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is curriculum operated as
a grade-free system, and to provide a curriculum manual.
This study is about meta-language used for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in Serbia, where it is not a native language. This study examined meta-language for teaching preferred by Korean language learners of Serbia and explored efficient methods of meta-language use for teaching. First, meta-language and meta-language for teaching were discussed, and meta-language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was defined. After setting up the research question and hypothe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Korean language learners at the University of Niš in Serbia to determine their preferred meta-language for teaching. According to the survey, many learners wanted to take classes in ‘Korean-Serbian languages.’ Beginner and intermediate learners of vocabulary, grammar, and conversation preferred ‘Korean-Serbian’ meta-language for teaching, and advanced learners preferred ‘Korean’ meta-language for teaching. Based on such grounds and existing theories, this paper proposed a usage model of meta-language for teaching in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anguage classes in Serbia and presented the necessity for fostering professional Korean language instructors overseas.
본 논문의 목적은 대화협력원리를 통하여 『史記』 대화문에 출현하는 표경부사(表 敬副詞) ‘幸’의 함축 의미를 분석하고 어떠한 한국어 번역으로의 화행 표현이 효율적 인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幸’의 사전적 의미와 용법에 대해 알아보고, 화자와 청자의 맥락적 관점에서 의사소통 과정을 살펴보았다. 표경부사로 사용되 었을 때 ‘幸’은 단순히 허사의 용법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닌 前後 맥락의 함축 정보에 따라 표현이 각각 달라지기도 한다. 해석과 번역은 문법적으로 같은 구조, 어휘적 으로 같은 형태의 문장일지라도 각각 내포된 의미에 따라 서로 다르게 표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