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판 긍정적 및 부정적 경험 척도(SPANE): 요인구조 및 성별 측정 동일성 KCI 등재

Scale of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 (SPANE): Factor Structure and Measurement Invariance Across Gender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623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SPANE(the Scale of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 척도는 기존 정서 측정도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Diener 등(2010)이 개발한 정서적 안녕감 척도이다. 이 척도는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경험을 측정하는 총 1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포괄적 정서(e.g. positive, negative)와 구체적 정서(e.g. joyful, sad)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각성수준의 측면에서도 고(e.g. joy, angry), 중(e.g. happy, afraid), 저(e.g. contented, sad) 각성 정서들이 모두 반영되어 있다. 본 연구는 한국판 SPANE 척도의 요인구조 및 성별 측정 동일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 대학생 총 551명(남자 276, 여자 275)의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SPANE 척도는 양호한 수준의 신뢰도와 요인 타당도를 보였다. 또한 남녀 집단 간에 요인구조, 요인부하량, 절편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나서, 성별 척도 동일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SPANE 척도가 한국에서도 대학생들의 정서적 안녕감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척도일 뿐 아니라 성별 차이를 비교하는 타당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Scale of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 (SPANE) is a newly developed emotional scale to measure well-being that was design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emotional scales (Diener et al., 2010). It comprises 12 items that measur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including general (e.g., positive, negative) and specific (e.g., joyful, sad) items. It also reflects all levels of arousal.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 structure and gender invarianc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PANE. For this purpose, responses to the scale of a sample of 551 Korean college students (276 males and 275 females) were analyzed. The results exhibited high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for a Korean population. Furthermore, the configural, metric, and scalar invariance of the SPANE held across gend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SPANE is a valid scale for measuring the emotional experiences of Korean students, and it is appropriate to use in future studies of gender difference in emotional well-being.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긍정적 및 부정적 경험 척도(SPANE)
  2.2. 정서적 안녕감의 성차 및 측정 동일성
 3.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3.2. 측정 도구
  3.3. 분석 방법
 4. 연구 결과
  4.1. 기술통계치
  4.2. 요인 타당도
  4.3. 성별 측정 동일성
  4.4. 성별 잠재평균 분석
 5.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저자
  • 구재선(중앙대학교 다빈치교양대학) | Jaisun Koo (Da Vinci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