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치유농업 분류체계 구축을 통한 치유농장 사업 현황 분석 KCI 등재

Analysis on Current Status of Agro-healing Farm Business through Agro-healing Industry Classifi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33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치유농업 산업의 분류체계 구축을 통해 치유농업 산업의 범위에 근거한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치유농업 정책수립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분류체계는 한국표준산업분류체계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치유농업 산업의 개념과 특징을 반영하여 특수분류체계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분류체계를 통해 치유농장을 대상으로 운영 및 경영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국내 치유농업의 산업적 구성과 비중을 분석하였다. 국내 치유농장의 사업 비중은 전체 매출액 중 치유농업 산업이 47.8%, 투입재 산업 40.4%, 파생 산업은 11.9%를 차지하였다. 소분류기준 매출액이 가장 많은 분야는 공동체 서비스 교육, 정신적 재활치료, 치유농업 농산물 재배업 순이었다. 치유농장의 81.1%가 치유농업 운영을 위해 시설을 건설하였는데 그 종류로는 조경 및 공원, 녹지 조성이 77.9%로 가장 많았다. 한편 매출액이나 종사자 규모로 살펴본 결과, 국내 치유농장은 매우 영세하게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 결과, 현재까지 치유농업 산업이 정부 주도의 사업으로써 도입되고 있는 수준이라는 점에서 산업 현황자료로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향후 치유농업의 효율적인 사업경영을 위한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여겨지며, 한편 치유농업법에 따른 정기적 실태조사 추진의 방법적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Agro-healing and to use it to establish policies by defining the scope of Agro-healing through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Agro-healing industry. The classification system is based on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System(KSIC), and a special classification syste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ro-healing industry is constructed. It was intended to verify the practicability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by investigating a pilot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status of farms operating Agro-healing service. As a result of recording the proportion of farms by this classification system, 70 farms carried out mental rehabilitation and community service education based on sub category, and 80 cultivation and breeding of crop were the most common by middle category. 81.1% of responding farms built facilities to operate healing farms, and landscaping, parks, and green areas were the most common at 77.9%.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considered to have limitations as data on the current status of industrial conditions in that the Agro-healing industry has been introduced and attempted as a government-led so far.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it can be usefully used as basic data for policy preparation for efficient business management in the future, while it is evaluated that it has prepare the foundation for a regular survey under the Agro-healing act.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치유농업의 개념 및 분류
    2.2 산업분류체계 구축
3. 연구방법
    3.1 조사 대상
    3.2 조사 내용 및 분석
4. 결과 및 고찰
    4.1 치유농업 분류체계 개발
    4. 2 치유농장 사업현황 분석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유은하(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Eunha Yoo (Urban Agricultural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김재순(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Jaesoon Kim (Urban Agricultural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정순진(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Sunjin Jeong (Urban Agricultural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강용구(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Yongku Kang (Urban Agricultural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권혜림(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Hyelim Kwon (Urban Agricultural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