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강원도 정선군에 위치한 조양강 및 유입천 을 대상으로 총 9개 정점을 선정하고 2008년 6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총 6회에 걸쳐 이화학적 환경요인과 생 물량 및 부착규조류의 현존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부착규 조류의 군집구조를 분석하고 생물학적 평가를 통해 수질 을 평가하였다. 1. 조양강 일대는 석회암으로 구성되어 pH가 7.4~10.2 로 중성~알칼리성의 범위를 보였다. 2. 조양강 수계에서 출현한 부착규조류는 2목 6과 23 속 95종 15변종 2품종 5미동정종으로 총 117분류군이 출 현하였고, 산성수역의 지표종은 출현하지 않았으며 중성 ~알칼리성의 pH에서 생육하는 Achnanthes laterostrata, Cymbella delicatula 등 11분류군이 출현하였다. 3. 특히 알칼리성 수역의 지표종인 Cymbella delicatula 는 I3과 I4 정점의 일부 시기를 제외하고 10% 이상의 상 대출현빈도를 나타냈다. 4. 조양강 및 유입천에 DAIpo를 적용한 결과 조양강은 평균 77.03로 A등급을 나타냈으며, 유입천은 평균 65.84 로 B 등급으로 나타났다. TDI를 이용한 생물학적 평가 시 조양강은 A~B 등급을 나타냈으며, 유입천은 A~D 등 급에 걸쳐 나타남으로써, 조양강 본류가 유입천보다 수질 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5. 본 연구에서 유입천의 수질이 조양강에 미치는 영향 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2009년 9월의 경우에는 본 류인 J2와 J3 정점이 유입천 I1 정점의 영향으로 수질이 저하되었다.
A biological assessment of water quality was made at 9 sites of the Joyang-river and inflow streams located in Jeongseon-gun Gangwon-do, from June 2008 to September 2010. The investigation consisted of physico-chemical factors, biomass, and standing crops of epilithic diatoms. In additi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epilithic diatoms was analyzed, and the water quality was assessed using DAIpo and TDI. The pH varied from 7.4~10.2 which is attributed to the Joyang-river area consisting of limestone. A total of 117 taxonomic groups of epilithic diatoms, including: 2 orders, 6 families, 23 genera, 95 species, 15 varieties, 2 forms, and 5 unidentified species, were found in the Joyang-river. 11 taxa, including Achnanthes laterostrata and Cymbella delicatula which live in neutral to alkali pH, were found. An indicator species of alkali waters, Cymbella delicatula, was routinely observed to have a relative frequency of over 10% in I3 and I4. In the result of the biological assessment using DAIpo, the Joyang-river was rated class A, with an average of 77.03 and inflow streams were rated class B with an average of 65.84. As for the results of TDI analysis, the Joyangriver was rated class A~B, and inflow streams were rated class A~D. Accordingly, the water quality of the Joyang-river was determined to be superior to that of inflow streams. Although the main stream showed low water quality at sites J2 and J3, correlating with a reduction in the quality of inflow stream, I1 in September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