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rDNA의 ITS 부위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잎새버섯(Grifola)속 균주의 유연관계 분석 KCI 등재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genera Grifola on the basis of ITS region sequenc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64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버섯학회지 (Journal of Mushrooms (J. Mushrooms))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보존중인 잎새버섯속 균주를 선발하여 배양 및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여 비슷한 균주별로 그룹화하여 rDNA의 ITS영역을 증폭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보존시 균주의 학명과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균사의 모양 및 색깔에도 많은 차이를 보였다. 보존 당시 동정한 결과와 rDNA의 ITS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결과를 비교한 결과 학명이 다른 균주가 4균주로 전체의 40%를 차지하였다. 국내에서 수집한 잎새버섯속은 모두 G. frondosa로 동정되었고, 일본에서 수집한 3균주 중 1균주는 완전히 다른 속으로 동정되었으며 2균주는 G. frondosa로 동정되었다. 그리고 중국에서 수집한 3균주중 2균주는 완전히 다른 속으로 동정되었고, 1균주만 G. frondosa로 동정되었다. RAPD 분석을 통한 유전적인 다형성 조사에서 같은 종내에서도 분포지역에 따라 서로 상이한 밴드패턴을 보였다. 유전적인 유연관계 분석에서는 G. frondosa 1개의 분류군으로 이루어졌으며, ITS부위 유전자수준의 상동성 분석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기존 목록과 완전히 다른 속으로 동정된 균주들에 대해서는 계통분류학적인 유연관계 분석과 보존중인 자실체 유전자와의 상동성을 비교하여 기존 목록의 학명을 재분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to identify a correct species and asses genetic diversity within the same species of Grifola spp. preserved in Division of applied Microbiology. Contaminated isolates showed different growth rates, morphology and color of hyphae. We have reconstructed the phylogenetic tree of a select group of Grifola spp. using nucleotide sequenc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ITS) region. The phylogenetic tree was constructed by using the neighbor-joining method. PELF primers of 20-mer were used to assess genetic diversity of preserved isolates. Sequence analysis showed that four strains were identified completely different nomenclatur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TS sequences, the genus Grifola clustered into one group, most of which correlated with species-groups identified by RAPD method. Eight isolates included strain GM01 showed high similarity with Grifola frondosa. All isolates were collected in the Japan(GM01, GM02, GM03) was identified as Grifola frondosa and isolates of the China(GM05, GM06, GM08) was identified as Bjerkandera fumosa, Grifola frondosa and Dichomitus squalens, respectively. RAPD analysis of genetic polymorphisms of genus Grifola showed a very different band patterns on the isolat. As the result of RAPD and ITS region sequences analysis for preserved isolates, it seems likely that 4 isolates of Grifola spp. may be need to reclassify or eliminate from preserved catalogue.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시험균주 및 배양조건
  염색체 DNA 추출
  rDNA의 ITS 영역 증폭과 유연관계 분석
  RAPD에 의한 다형성 분석
 결과 및 고찰
 적요
 참고문헌
저자
  • 이찬중(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Chan-Jung Lee
  • 전창성(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전창성
  • 정종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정종천
  • 공원식(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공원식
  • 서장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서장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