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탄소 저장량을 이용한 국내 주요 생태계 기후 조절 서비스 지표 산정 KCI 등재

Quantitative Assessment of Climate Regulating Ecosystem Services Using Carbon Storage in Major Korean Ecosyste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92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본 연구는 생태계 조절 서비스 중에 하나인 기후 조절 서 비스 산정을 위한 국내 주요 생태계의 탄소 저장 지표를 산 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에서 진행된 선행 연구 를 바탕으로 주요 생태계 (도시녹지, 경작지, 활엽수림, 침엽 수림, 혼효림, 초지, 담수, 연안, 해양)의 탄소 저장량을 이용 하여 탄소 저장 지표를 산정하였다. 또한 다양한 측정 방법 으로 추정된 탄소 저장 지표의 불확실도를 국제기준에 따라 산정하였다. 국내 주요 생태계의 조절 서비스를 생태계 유 형, 측정 방법 그리고 저장고별로 정량화한 결과 탄소 저장 지표는 산림 생태계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Ecosystems have functions of providing, supporting, regulating and cultural services. In particular, there is an increasing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regulating ecosystem services in carbon sequestration function, sinc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issue of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to quantify benefits of climate regulating ecosystem services, the carbon storage was defined as an indicator. Nine major Korean ecosystems were classified and research papers on carbon storage were analyzed. The collected carbon storage data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classified ecosystems, methodologies, and carbon storage components. For each category, the mean, standard error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were calculated. The carbon storage indicator was highest in vegetation biomass of deciduous forest ecosystems. The uncertainty was also estimated by the IPCC 2006 guidelines. The estimations of the uncertainty differed by methodologies and carbon storage components. With exception of forest ecosystems, the limited number of studies were available which might have hindered to conduct accurate estimat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are needs for further clarification in the measurement standards by different ecosystems.

목차
서 론
자료 수집 및 분석
탄소 저장 지표
불확실도
결 론
사 사
적 요  
REFERENCES
저자
  • 김지수(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Jisoo Kim
  • 한승현(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Seung Hyun Han
  • 장한나(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Hanna Chang
  • 김태연(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Teayeon Kim
  • 장인영(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 합연구실) | Inyoung Jang
  • 오우석(국립생태원 생태조사평가본부 생태조사연구실) | Wooseok Oh
  • 서창완(국립생태원 생태연구본부 융 합연구실) | Changwan Seo
  • 이우균(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Woo-Kyun Lee
  • 손요환(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Yowhan S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