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위치기반 소셜 네트워크(Location Based Social Network) 데이터의 공간분포 KCI 등재

Spatial Distribution of LBSN (Location Based Social Network) Data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606
  • DOIhttps://doi.org/10.16879/jkca.2016.16.2.0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위치기반소셜 네트워크(LBSN)의 공간분포 특징을 분석하였다. LBSN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특징은 사용자들이 작성한 콘텐츠가 지역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내용이기에 해당 지역이 갖는 특징들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인 포스퀘어를 사례로 베뉴와 팁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의 지역 간의 특징 및 차이를 분석하였다. LBSN자료의 정량적인 특징인 베뉴 및 팁의 수와 함께 정성적인 특징인 베뉴의 범주, 팁의 콘텐츠에 대한 정성적인 분석을 통해 지역별로 나타나는 콘텐츠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시지역을 대표하는 서울특별시와 관광지역인 제주도에 있어, 베뉴의 범주와 팁 텍스트의 질적인 특징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Location Based Social Network data in Korea is analyzed. The key feature of LBSN data is that the contents, which are created by users, are tightly related to the regional features where the venues belong to. The Foursquare data are analyzed as a case study and the information of venues and tips are collected and analyzed to identify the regional features. The quantitative aspects of LBSN data such as number of venues and tips are analyzed with statistical methods. As a result, the urban city, Seoul and tourism place Jeju are the places that have highest number of venues and tips and the quantitative differences are clarified using text analysis method.

목차
I. 서론
 II. 관련연구
 III. 국내 LBSN 데이터의 공간 분포
  1. 분석 자료 및 분석방법
  2. 분석결과
 I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홍일영(남서울대학교 GIS공학과 조교수) | Ilyoung H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