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명품과 배경음악이 충동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Background Music on Impulsive Decision Making: When People are Exposed to Luxury Ite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995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상품과 배경음악이 사람들의 충동적인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지연 할인의 쌍곡선 함수를 이용하 여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상품과 배경음악에 따라 유의미한 이원 상호 작용이 존재했다. 명품 조건에서는 모차르트의 피아노 콘체르토 5번 장조 음악을 들었을 때, 20번 단조 음악을 들었을 때보다 충동성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하지만 실용 상품에 노출된 참가자들에게선 음악의 종류에 따라 충동성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추가 연구를 통해 음악을 더 세분화하여 빠르기를 조절하여 그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동시에 정서가 위와 같은 결과를 매개 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적으로 정서의 매개효과와 빠르기의 주효과 모두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빠르기와 장단조 조건 간의 유의미한 이원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알레그로(allegro) 빠르기에서는 장조음악일 때가 단조 조건일 때보다 충동성이 높은 경향성이 나타났으며 안단테(andante) 빠르기에서는 장조 음악을 들었을 때가 단조 음악을 들었을 때보다 유의미하게 충동성이 낮게 나타났다. 우울한 정서를 예측 변수로 하고 미래 시간 길이 지각을 매개 변인으로 하여 추가 연구를 진행한 결과, 시간 길이 지각은 우울한 정서가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figured out that music modes and item types could affect people’s urged decision making through a k-value which results from a delay discounting’s hyperbolic function. Generally, high k-value is related to impulsive decision making. Concretely,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items and music. For the luxury item, the k-value was higher while listening to major music than minor. However, for the non-luxury item condition the k-valu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between two pieces of music. Moreover, we expected mood could be manipulated after listening to the music and mediate a difference of tendency. We used first movement as an allegro and second as an andante of Mozart piano concerto No.5 D-major and No.20 D-minor for stimuli. As a result, mode and tempo’s main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Nevertheless, there was a significant two-way interaction. To put it concretely, the k-value of major condition was marginally higher than minor condition on allegro. However, the k-value of major condi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minor condition on andante. Also, depressed degree difference was significant but it was not significant as a mediator. Set depressed degree as a predict variable and future time span as a mediator, further research found future time perception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that depressed degree affects impulsivity.

저자
  • 장성진(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Seongjin Jang
  • 한광희(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Kwanghee Ha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