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

        1.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의 환경부에서 제작하여 배포한 국가 토지피복도(2000, 2009년)는 수문, 생태, 자연재해 취약성 평가 등 다양한 연구의 기초정보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2000년 국가 토지피복도의 정확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국가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토지피복 변화를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통계연보의 지목 자료와 환경부의 2009년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2000년 토지피복별 면적 추정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본 연구에서 설계한 방법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그 방법을 덕유산 인근에 위치한 6개 읍·면의 2000년 토지피복별 면적을 추정하는데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추정한 2000년 토지피복별 면적은 통계연보와 전반적으로 6.12km2의 차이를 보였다. 이에 비해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산정한 토지피복별 면적은 통계연보와 전반적으로 13.10km2의 차이를 보였다. 토지피복도만을 이용하여 분석한 2000~2009년 토지피복별 면적 변화 경향은 통계연보와 54.2% 일치하였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 추정한 변화 경향은 통계연보와 95.8% 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토지피복도만을 활용했을 때에 비해 2000년 토지피복별 면적을 추정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4,300원
        2.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구 표면의 물리적 형태를 표현한 토지피복도는 다양한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져 왔다. 따라서 토지피복도의 정확도는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환경부에서 배포한 2000년과 2009년의 다중시기 국가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전라북도에 위치한 구량천 유역의 토지피복 변화를 탐지하고, 그 결과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토지피복 변화 지역의 전반적인 정확도는 33.2%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시기별 토지피복도의 전반적인 정확도는 44.2%(2000년)와 84.4%(2009년)이었다. 2000년 토지피 복도의 낮은 정확도는 토지피복 변화의 정확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었다. 2000년 토지피복도의 정확도가 낮은 원인은 기하보정과 정사보정 같은 원시자료의 전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정확도 결여에 있었다. 정확도에 영향을 미친 또 다른 원인으로는 초지와 사력퇴 지역의 오분류가 있었다. 국가토지피복도의 토지피복 변화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원시자료의 전처리 정확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며, 오분류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 대한 검증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4,800원
        3.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로쇠나무, 붉은고로쇠나무, 우산고로쇠나무 실생묘(6년생)의 녹지삽목 대량증식 방법을 밝히기 위해 수종별로 삽목시기, 삽수부위 및 옥신처리를 하여 자동안개관수장치가 설치된 무가온 비닐하우스에 삽목을 실시하였다. 고로쇠나무류의 삽목 후 발근 개시일과 완료일은 고로쇠나무가 20일과 45일, 붉은 고로쇠나무와 우산고로쇠나무는 30일과 60일로 나타났다. 3수종의 삽목 발근율에 대한 삽목시기, 삽수부위, 옥신의 처리 효과는 모두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P <0.0001)가 나타났고, 뿌리수는 옥신처리간에만 고도의 유의성(P <0.0001)이 인정되었다. 삽목시기의 효과는 7월 1일 삽목의 평균 발근율이 73.0%로 6월 1일 삽목(51.6%)보다 21.4% 이상 높았고 뿌리수와 뿌리길이의 발달도 좋았다. 삽수부위의 효과는 하단부의 발근율(72.4%)이 상단부보다 20.2% 높고, 뿌리수와 뿌리길이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각 수종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옥신처리는 IBA 100ppm과 무처리로 높은 발근율을 보였으나 뿌리발달은 좋지 않았다. 각 처리에 대한 상호작용의 발근 효과에서 발근율은 3수종 모두 고도의 유의성(P <0.0001)이 인정되었으며, 뿌리수에 대한 상호작용은 수종마다 달랐다. 발근율이 가장 좋은 각 처리간 조합은 고로쇠나무의 경우 7월 1일 삽목시기+하단부+무처리로 발근율이 100%로 나타났고, 붉은고로쇠나무는 7월 1일 삽목+하단부+IBA 100ppm(96.7%)이었으며, 우산고로쇠나무는 7월 1일삽목+하단부+무처리(88.7%)가 가장 좋은 발근율을 나타냈다.
        4,000원
        4.
        1995.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CVD(Metal-Organic Chemical Vapor Dposition) TiN 박막을 다양한 온도와 압력에서 tetrakis-dimethyl-amino-titanium(TDMAT (Ti[N(CH3)2]4))의 자체 열분해와 NH3와의 반응을 사용하여 형성하였다. 비저항은 박막내의 불순물 함량에 의존하였는데 특히 XPS curve fitting 결과 주요 불순물인 탄소와 산소 같은 불순물들이 박막내에서 다양한 침입형화합물을 만들어 박막의 물리적, 전기적 특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았다. Metal-organic source만을 사용하여 TiN을 형성할 경우 지름이 0.5μm이고 aspect ratio가 3:1인 구멍에서 step coverage가 매우 우수하였으나 NH3를 흘림에 따라 step coverage가 감소하는 것이 SEM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각각의 활성화에너지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4,000원
        5.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콜드체인(저온물류)은 일반적으로 온도를 제어하는 공급 사슬로 정의되며, 냉장/냉동 물품의 생산부터 배송, 저장 및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상호 작업을 의미한다. 지구온난화, 소가족 증가와 인구의 고령화, 전자상거래의 성장으로 인하여 콜드체인에 대한 필요성은 높아지고 있으며, 신선식품, 의약품 등은 특히 건강과 직결되어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솔루션이 됐다. 하지만 콜드체인 도입을 위해서는 고가의 인프라 및 장비를 갖춰야 한다는 점이 콜드체인 시스템 도입의 발목을 잡고 있다. 우리나라의 배송서비스 시장도 이제는 노동력에 의존하기 보다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배송서비스로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내가 주문한 신선 식품에 대한 온도 모니터링을 통하여 얼마나 신선하게 상태를 유지하며 배송이 이뤄졌는지를 고객이 확인할 수 있는 패키지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선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의 니즈를 파악하고 접 목 가능한 IoT 기술을 적용한 신선 패키지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관리와 가격을 중심으로 IoT 기술을 활용한 신선 택배 서비스 패키지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기 위하여 IoT 기술이 접목된 다양한 온도관련 기술을 적용한 패키지 사례들을 고찰하고 분석하여 온도관리 신선배송에 적용이 가능한 요소를 도출하였고, 디자인 방법론 활용하여 신선 식품 제조기업과 소비자가 배송 온도관리에 대한 신뢰 문제를 해결하는 NFC기술 활용기반의 신선 패키지 디자인 제품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IoT기술을 활용한 제품과 서비스를 분석한 결과 제품들이 실제 신선 택배에서 사용하기에는 제품 가격이나 서비스 사용성이 시장에서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 이유는 백신과 같은 의약품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물류서비스를 위한 온도관리에 대한 인식 부족과 가격적인 장애물 그리고 사용의 편리성이 배제된 서비스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얼마나 신선하게 상태를 유지하며 배송이 이뤄졌는지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소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배송자와 최종 소비자의 고객 만족도를 만족시키는 서비스 패키지 디자인을 제안 하는데 목표를 두고자 한다. IoT 관련 센서 등에서 접근하는 방식이 아니라 콜드체인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만족하면서 활용 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서비스를 디자인이 해결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또한 디자인을 활용하여 온도를 지켜야 하는 신선식품, 의약품, 화훼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 가능한 온도관리 신선배송 패키지 솔루션을 개발하는데 가이드 자료로 활용되도록 기여하고자 한다.
        6.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화장품은 단순한 아름다움의 표현을 위한 미용제품이 아니다. 인구 노령화와 혼족들이 많아짐에 따라 라이프 스타일 의 변화에 따른 개인의 가치와 미의 아이덴티티 표현을 위해 화장품을 사용하는 시대이다. 뷰티 트렌드 중 하나는 ‘스마트 뷰티’로 스마트 시대가 도래 하면서 핸드폰, 태블릿 PC 등의 IT 기기에 국한되었던 스마트 열풍이 뷰티업계까지 장악하였 다. 이를 반영하듯 최근 다양한 뷰티 브랜드에서는 멀티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한 뷰티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대세이다. 일반적으로 손을 사용하는 것보다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상품이 늘고 효과가 높고, 효능을 높여주는 것으로 그 성능까지 입증되며 뷰티 디바이스 마니아층까지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뷰티시장의 트렌드에 걸맞은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의 개발을 통해 ‘뷰티 하빌리스1)’라는 신조어를 탄생시키며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는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의 진일보한 발전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제품·서비스로 화장품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스마트 코스메틱의 개발 동향을 살펴보고, 디자 인 융합의 중요성을 고려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IoT 기술과 기업의 신규 사업방향을 고려한 개발을 하여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향후 디자인 분야의 중요시장이 될 수 있는 스마트 코스메틱 디자인을 판매자와 수요자를 고려한 프로세스 를 기반으로 화장품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만들어야 하는 필요성과 내용들을 제시하여 향후 이 분야를 연구하는 연구자들 이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7.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analyzing the inundation area attributed to the sea level brought about by climate change, previous researchers derived a different inundation area from the actual one by applying a uniform sea level rise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 regional mean sea level. This study has attempted to analyze the inundation area by devising a sea-level rise scenario that considers the regional mean sea level of the study area. In addition,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area of inundation vulnerabilities between the sea level rise scenario that takes into account the regional mean sea level and one that does not. As a result of study, an error between the actual mean sea level and topographic elevation was corrected by using the height of the tide observation data of the area. Next, a total of nine scenarios on the sea level rise of the Taean region (SLR-T 1.1~SLR-T 3.3) were devised using the IPCC SRES scenario, RCP 8.5 scenario, height of the tide data and storm surge height, among others. Fi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undation area by scenario was at least 4.17km2(SLR-T 1.1) up to 168.41km2(SLR-T 3.3), which was about 45% less than that of the scenario devised without considering the mean sea level that reflects the regional differences. In other words,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inundation area using conventional methods turned out to be wider than that of the actual inundation area.
        8.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수리나무 실생채종원에서 수형목 풍매차대 35 가계의 생장 및 가지특성 변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채종원 임령 12년생 때의 평균 수고는 9.96 m, 평균 흉고 직경 14.50 cm, 평균 지하고 1.04 m, 평균 수관폭 6.80 m, 평균 가지각도는 18.82^º이었고 평균 통직성 등급은 2.58로 조사되었다. 수고생장에 있어서 075 및 052 가계가 우수하였던 반면에 0511 및 0517 가계는 불량한 것을 나타났다. 또한
        9.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나무 수형목 풍매차대를 대상으로 수고생장에 대하여 일반조합능력을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가계는 총 232가계로 각 수령별 10년생 230가계, 20년생 184가계, 30년생 122가계를 대상으로, 차대검정림에서의 수고 생장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차대검정림은 1975년부터 조성하기 시작하여 1987년까지 모두 7회에 걸쳐 1~4 지역에 조성하였다. 이러한 조성 년도, 지역의 차이를 표준화를 통하여 균일한 수치로 보정하여
        10.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stimates of genetic gain (in volume growth) and diversity (expressed as status number, Ns) were determined in a clonal seed orchard of Pinus koraiensis. The genetic thinning was based on clonal breeding values (represented by general combining ability) obtained from progeny tests, clonal fertility estimated by strobilus production, and clonal size variation determined by the ramet numbers per clone. Parental GCA values for volume growth were calculated, based on height and diameter at breast height measured from field trials. Clonal fertility was estimated from the assessments of strobilus production over twelve years from 1991 to 2003, and used for the calculation of status number. There are 179 clones and 5,268 ramets in 12ha area of P. koraiensis clonal seed orchard. Genetic gain and diversity estimates were determined under assumptions of 30% pollen contamination and inferior genetic value of contaminating pollen. Genetic gain increased as thinning rates were set from 10% to 60%. However, for the higher thinning intensities, the increase of genetic gain was not remarkable. Genetic thinning by means of truncation selection resulted in a greater genetic gain but a large decrease in status number. Status number was represented around 40 clones for 10% through 60% thinning intensities, but for the higher thinning intensities, it was a bit fluctuated. Based on the present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inning rate should not be stronger than 60% to optimize genetic gain while conserving genetic diversity. Consequently 50% or 60% thinning rate might be appropriate for genetic thinning in the clonal seed orchard of P. koraiensis. The effect of pollen contamination on the genetic gain and the consequence of genetic thinning for seed production in the clonal seed orchard, and seed orchard management scheme were also discussed.
        11.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conducted this study to compare physiological response according to growing conditions between superior and inferior family of Pinus densiflora. In 1981, open-pollinated (OP) progenies of P. densiflora were planted in Chuncheon (CC) and Naju (NJ). We selected KW2 as a superior family and KW23 as a inferior family based on volume index among 30 OP progenies. We calculated general combining ability of each 30 OP progenies in each sites, and compared family growth rank. We collected needles of selected families in CC and NJ, and analyzed chlorophyll content, nitrated reductase (NR) activity, nitrogen content,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acitivity. In CC, chlorophyll content and nitrogen content were more in needles of KW2 than those of KW23. In NJ, KW2 showed higher NR activity than KW23, and according to site, families in CC showed higher NR activity than those in NJ. SOD activities of both families were higher in NJ, and KW23 showed higher activity than KW2 in both sites. Consequently, inconsistency of the growth performance of two families was caused by different genetic and physiological responses.
        12.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나무 풍매차대의 유시와 성숙기 이후의 생장 패턴을 비교하고, 유전인자와 환경인자간의 상호작용을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종자는 1978년에 강원도, 경기도, 충청북도에서 선발된 수형목으로부터 채취되었다. 차대검정림은 1981년에 강원 춘천, 충남 공주, 전남 나주 등 3 지역에 조성되었으며, 총 30가계를 식재하였다. 식재 후 일정 시기별로 수고와 흉고직경을 측정하였으며, 이로부터 재적지수를 산출하였다. 수고,흉고직경 및 재
        13.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잣나무의 영양생장과 생식생장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여 잣나무 채종원의 효율적 관리방안, 임목개량을 위한 선발기준 설정 및 우량품종 육성 등 금후 선발육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잣나무의 영양생장 분석을 위하여 차대검정 결과로부터 재적생장에 대한 일반조합능력을 추정하였으며, 재적생장은 수령 8년, 10년, 15년 및 20년 때의 수고 및 흉고직경 생장으로부터 산출하였고 이를 10년 동안의 개화량 성적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재적생장에 대
        16.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tal of 69 open-pollinated family seeds were harvested from the clonal seed orchard of Pinus thunbergii, and planted at Jeju and Anmyon in 1992. When the progenies were 16 years old, height, DBH and volume growth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