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and suggest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 segmentation strategies by identifying the perceptions and consumption behaviors of vegetarians in each segment of the vegetarian market. According to food consumption value, a total of three market segments were derived, and the markets were named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including ‘environment and animal protection’, ‘multiple consideration’ and ‘low intere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vegetarian-based food, “environment and animal protection” and “multiple consideration” presented positive perceptions of a vegetarian food product. Conversely, the group stating low interest expressed negative perceptions of the vegetarian food product. An analysis of the requirements for development for vegetarian-based foods products (eg. aquafaba), indicated that the development requirements for all products, except cultured and processed meats, were high.?Considerable demand was observed for vegetarian menus and vegetarian restaura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necessity of the elements of the vegetarian restaurant menu, the subjects that stated “multiple consideration” had significantly higher awareness of issues related to vegetarian foods than others.
        4,200원
        2.
        199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겨울보리 재배 시 질소시비 수준를 달리한 0~30cm, 30~60cm, 60~90cm 근권깊이별 NO3-N 함량의 경시적 동적 변화를 추적하고 이를 토대로 시료채취 근권깊이를 달리하는 몇몇 토양진단법에 의한 적정 추비량 결정의 국내 적용의 적절성 여부를 검토한 결과, 1 기비 및 추비로 시용된 질소가 표토층으로부터 서서히 심층 하층토로 용탈, 집적되고 있었는데 이는 근권깊이별 NO3- -N 농도보다 NO3- -N 함량을 계산할 때에 더욱 명확하였다. 2. 추비직전인 2월말 0~90cm 근권층에서의 NO3- -N 함량은 기비로 시용한 질소시용 량에 따른 토양내의 NO3- -N 함량도 비례하여 높아져 기 비 시 용량 차이 가 데 체로 반영 하였으나 0~30cm 근권상층부에서의 NO3- -N 함량은 기비시용량을 전혀 반영시켜 주지 못하였다. 추비시용 이후의 토양깊이별 NO3- -N 함량의 경시적 차이 역시 0~30cm에 비해 0~90cm 근권층에서 질소시비량간 차이가 뚜렷하였다. 3. 0~90cm 근권깊이의 NO3- -N 함량에 따라 질소추비량을 결정하는 Nmin- method에 의해 계산된 질소추비량은 무비구, 보비구, 배비구에서 기비시용량이 많을수록 질소추비량은 80.6, 40.0, 10.1kg/ha로 낮았으며, 보비 구의 경 우 질소추천추비량 60kg/ha보다 20kg/ha 정도 낮았다. 한편 0~30cm 토양진단에 따른 질소추비량은 각 처리구에서 추천시비량의 1차 질소추비량과는 비슷하여 기비처리 수준에 따른 질소추비량 차이가 전혀 없었다. 4. 0~30cm, 0~60cm, 0~90cm 근권 NO3- -N 함량과 수량과의 관계를 비교한 결과 0~90cm근권 NO3- -N 함량만이 수량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 Nmin 토양진단법이 적절하였다. 한편 0~90cm 근권 NO3- -N 함량이 120kg/ha일 때 수량이 최고에 도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