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inach (Spinacia oleracea L.) is a widely consumed leafy green vegetable known for its rich content of vitamins, minerals, and bioactive compounds with nutraceutical potential. This study analyzed the flavonoid content in three regionally cultivated Korean spinach varieties—Seomcho, Pohangcho, and Bomulcho—in both raw and blanched samples using high-resolution mass spectrometry (UPLC-DAD-QTOF/MS). A total of 18 flavonoids were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including flavonol glycosides (spinacetin, patuletin, jaceidin, axillarin) and a flavone glycoside (6:7-methylenedioxyflavone). Notably, acylated compounds such as coumaric acid and ferulic acid were observed among the spinach flavonoids. The total flavonoid content ranged from 1,112.03 to 1,368.39 mg/100 g of dry weight in the raw spinach samples, with no significant changes noted after blanching. In Seomcho, the predominant flavonoids were patuletin 3-O-(2''-O-apiosyl)gentiobioside and spinacetin 3-O-(2''-O-apiosyl)gentiobioside, while Pohangcho featured spinacetin 3-O-gentiobioside and Bomulcho highlighted axillarin 4'O-glucuronide as the major compounds. These findings provide a comprehensive profile of flavonoids in Korean spinach, reveal regional differences, and suggest their potential as functional food ingredients.
본 연구는 청소년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재연이 갖는 의미와 그에 따른 심리변화를 프로이트 이론과 로왈드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쇠 락’(waning)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기 오이디푸 스 콤플렉스의 재연은 유아기 갈등의 반복이 아니라, 새로운 관계 재구 성과 자기 회복의 과정이며, 성인기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한다. 청소년기 의 관계 재구성은 상징적 부모살해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권 위 있는 아버지 존재와 정서적 개입은 필수적이며, 이는 치료자와의 전 이 관계 속에서 재연되고 다루어질 수 있다. 특히, 로왈드의 ‘쇠락’ 개념 은 청소년기 오이디푸스의 재연을 통해 새로운 내면화와 관계가 재구성 되면서 원래의 갈등이 점차 약화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오이디푸 스의 재연과 쇠락 과정은 삶의 발달적 통과의례이자 성숙과 자아발달을 위한 핵심 과업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정신분석적 개입과 아버지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임상적ž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재연과 점진적 쇠락 과정을 정신분석적 으로 조망함으로써 성숙한 성인기로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seismic vulnerability of non-structural components in high-rise buildings by proposing a normalized floor response spectrum (FRS) suitable for practical application. A Bayesian-mode-based method (BMBM) is used to develop the FRS, incorporating both modal amplification effects and the probabilistic variability observed across different building heights and story levels. The resulting spectrum is methodically compared with existing code-based and empirical methods to assess its consistency, conservatism, and relevance to engineering practices.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FRS provides a realistic yet reliable upper-bound estimate of floor accelerations, particularly in the upper stories where modal interactions are significant. This research offers a robust and practical framework for enhancing the seismic design of nonstructural components in vertical structures.
유리상 고분자 멤브레인은 높은 투과도와 선택도를 동시에 달성하면서도 에너지 소비가 낮아, 고성능 기체 분리 용 멤브레인 후보로 주목받아 왔다. 그러나 기존 고분자 멤브레인은 Robeson 상한선으로 표현되는 투과도-선택도 간의 고유 한 상충관계에 의해 성능이 제한되는 한계를 지닌다. 최근 수년간, 고유 자유부피가 큰 유리상 고분자, 특히 고유 미세다공성 고분자(PIMs) 및 6FDA 기반 폴리이미드와 같은 고성능 재료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며 이러한 병목 현상을 극복하고 있 다. 고분자 주 사슬 구조 설계, 후 합성 기능화, 고분자 블렌딩, 다공성 필러를 포함한 혼합 매질 멤브레인(mixed-matrix membrane, MMM) 제조, 열재배열 공정 등 다양한 전략을 통해 기체 분리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본 총설에서는 유리상 고 분자 기반 기체 분리 멤브레인의 최신 연구 동향을 다룬다. 특히, PIM-1 및 유도체, 6FDA 기반 폴리이미드, MMM을 중심으 로 어떻게 투과도-선택도 상충관계, 물리적 노화, 가소화 저항성과 같은 핵심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지를 다룬다. 최신 문헌 분석을 통해, 유리상 고분자 멤브레인이 기체 분리 성능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탄소 포집부터 천연가스 처리에 이르기까지 상업적 적용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멤브레인 기술이 산업적 응용으로 이어지 기 위한 주요 과제와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고찰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using domestic agricultural by-products—pruned branches of apple and pear trees, soybean stems, and spent cocopeat substrate—as alternative substrates for the cultivation of Flammulina velutipes. 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Substrate 1 (apple branches replacing corncob) and Substrate 2 (pear branches replacing corncob) had total carbon (42.6%) and total nitrogen (1.5%) contents most comparable to those of the Control. Mycelial growth in all mixed substrates exceeded that of the control. Fruiting body yield was higher in Substrate 2 (273.4 g/1,100mL) and Substrate 1 (238.0 g) compared with the Control (231.5 g). Fruiting body quality in Substrates 1 and 2 was equivalent to that of the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oody by-products such as apple and pear pruned branches can serve as effective replacements corncob in F. velutipes cultiv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horticultural and herbal crop by-products as alternative substrates for the cultivation of Pleurotus eryngii. 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Substrate 3 contained 42.2% total carbon and 2.6% total nitrogen, comparable to the control substrate (42.9% and 2.7%). After 35 days of incubation, mycelial growth in treatments ranged from 134.3 to 140.7 mm, which was similar to or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rol (135.5 mm). Fruiting body yield in Substrate 3 (173.4 g/1,100 mL) was about 14% higher than Control A (152.6 g) at 15 days after scratching, while Substrate 4 (202.9 g) produced yields comparable to Control B (209.6 g) at 17 day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red ginseng marc can entirely replace corn germ meal without compromising growth or yield, suggesting its strong potential as a sustainable substrate for P. eryngii. In addition,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by-products as substrate resources, it is essential to first establish stable and large-scale supply ch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