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소년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재연이 갖는 의미와 그에 따른 심리변화를 프로이트 이론과 로왈드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쇠 락’(waning)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기 오이디푸 스 콤플렉스의 재연은 유아기 갈등의 반복이 아니라, 새로운 관계 재구 성과 자기 회복의 과정이며, 성인기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한다. 청소년기 의 관계 재구성은 상징적 부모살해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권 위 있는 아버지 존재와 정서적 개입은 필수적이며, 이는 치료자와의 전 이 관계 속에서 재연되고 다루어질 수 있다. 특히, 로왈드의 ‘쇠락’ 개념 은 청소년기 오이디푸스의 재연을 통해 새로운 내면화와 관계가 재구성 되면서 원래의 갈등이 점차 약화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오이디푸 스의 재연과 쇠락 과정은 삶의 발달적 통과의례이자 성숙과 자아발달을 위한 핵심 과업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정신분석적 개입과 아버지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임상적ž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재연과 점진적 쇠락 과정을 정신분석적 으로 조망함으로써 성숙한 성인기로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seismic vulnerability of non-structural components in high-rise buildings by proposing a normalized floor response spectrum (FRS) suitable for practical application. A Bayesian-mode-based method (BMBM) is used to develop the FRS, incorporating both modal amplification effects and the probabilistic variability observed across different building heights and story levels. The resulting spectrum is methodically compared with existing code-based and empirical methods to assess its consistency, conservatism, and relevance to engineering practices.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FRS provides a realistic yet reliable upper-bound estimate of floor accelerations, particularly in the upper stories where modal interactions are significant. This research offers a robust and practical framework for enhancing the seismic design of nonstructural components in vertical structures.
유리상 고분자 멤브레인은 높은 투과도와 선택도를 동시에 달성하면서도 에너지 소비가 낮아, 고성능 기체 분리 용 멤브레인 후보로 주목받아 왔다. 그러나 기존 고분자 멤브레인은 Robeson 상한선으로 표현되는 투과도-선택도 간의 고유 한 상충관계에 의해 성능이 제한되는 한계를 지닌다. 최근 수년간, 고유 자유부피가 큰 유리상 고분자, 특히 고유 미세다공성 고분자(PIMs) 및 6FDA 기반 폴리이미드와 같은 고성능 재료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며 이러한 병목 현상을 극복하고 있 다. 고분자 주 사슬 구조 설계, 후 합성 기능화, 고분자 블렌딩, 다공성 필러를 포함한 혼합 매질 멤브레인(mixed-matrix membrane, MMM) 제조, 열재배열 공정 등 다양한 전략을 통해 기체 분리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본 총설에서는 유리상 고 분자 기반 기체 분리 멤브레인의 최신 연구 동향을 다룬다. 특히, PIM-1 및 유도체, 6FDA 기반 폴리이미드, MMM을 중심으 로 어떻게 투과도-선택도 상충관계, 물리적 노화, 가소화 저항성과 같은 핵심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지를 다룬다. 최신 문헌 분석을 통해, 유리상 고분자 멤브레인이 기체 분리 성능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탄소 포집부터 천연가스 처리에 이르기까지 상업적 적용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멤브레인 기술이 산업적 응용으로 이어지 기 위한 주요 과제와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고찰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using domestic agricultural by-products—pruned branches of apple and pear trees, soybean stems, and spent cocopeat substrate—as alternative substrates for the cultivation of Flammulina velutipes. 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Substrate 1 (apple branches replacing corncob) and Substrate 2 (pear branches replacing corncob) had total carbon (42.6%) and total nitrogen (1.5%) contents most comparable to those of the Control. Mycelial growth in all mixed substrates exceeded that of the control. Fruiting body yield was higher in Substrate 2 (273.4 g/1,100mL) and Substrate 1 (238.0 g) compared with the Control (231.5 g). Fruiting body quality in Substrates 1 and 2 was equivalent to that of the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oody by-products such as apple and pear pruned branches can serve as effective replacements corncob in F. velutipes cultiv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horticultural and herbal crop by-products as alternative substrates for the cultivation of Pleurotus eryngii. 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Substrate 3 contained 42.2% total carbon and 2.6% total nitrogen, comparable to the control substrate (42.9% and 2.7%). After 35 days of incubation, mycelial growth in treatments ranged from 134.3 to 140.7 mm, which was similar to or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rol (135.5 mm). Fruiting body yield in Substrate 3 (173.4 g/1,100 mL) was about 14% higher than Control A (152.6 g) at 15 days after scratching, while Substrate 4 (202.9 g) produced yields comparable to Control B (209.6 g) at 17 day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red ginseng marc can entirely replace corn germ meal without compromising growth or yield, suggesting its strong potential as a sustainable substrate for P. eryngii. In addition,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by-products as substrate resources, it is essential to first establish stable and large-scale supply chains.
본 연구는 MTS가 피부개선에 미친 영향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분석하여, 근거 체계를 구축하고, 주요 키워드 간 관계와 역할 및 패턴 등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자 텍스트마이닝과 토픽모델링 및 단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관련 선행연구들은 MTS와 관련된 핵심 키워드와 연관 키워드를 혼합하여 전자도서관에서 검색하였으 며, 결론 부분의 Text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피부', '효과', '실험', '관리', '개선' 등의 어휘가 주요 개념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TF-IDF 분석에서 높은 가중치의 키워드들은 MTS의 피부 개선 효과에 관한 과학적 실험 기반 논의를 시사했다. 셋째, LDA 분석 결과, ‘과학적 검증 중심’과 ‘피부 개선 효과 중심’의 토픽2개로 나뉘었다. 넷째, 단어 네트워크에서 '피부'를 중심으로 '주름', '효과', '실험' 등이 강하게 연결되었고, '여성'과 '모공' 노드는 MTS가 여성 안면 부위 에 주로 적용됨을 나타냈다. 본 텍스트마이닝 기법은 유사 의료 미용 시술 분석에도 적용 가능하며, 향후 시계열 분석과 감성 분석을 통해 MTS 효과의 변화와 대상자 반응을 심층 탐색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ntents of different bioactive compounds, including those with antioxidant activity, in selected mushroom species. Analysis of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revealed that Agaricus bisporus(‘A15’) had the highest antioxidant efficacy at 33.1 μg/mL, followed by Lentinula edodes and Pleurotus ostreatus, for which we also recorded high values. The results of nitrite-scavenging activity analysis revealed L. edodesto have the highest value at 15.8 μg/mL, with A. bisporus, P. ostreatus, and Wolfiporia extensaalso showing relatively good results. Furthermore, our analysis of total polyphenol contents indicated that A. bisporus had the highest content at 13.7 μg/mL, with L. edodesand Flammulina filiformis similarly having high levels, whereas W. extensa was established to contain the highest levels of β-glucan at 32.6 μg/mL, followed by L, edodes and P; ostreatus, which were also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 valu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antioxidant and nitrite-scavenging capacities and polyphenol and β-glucan contents differ according to fungal species. Among the evaluated species, given its high contents of a range of bioactive compounds, A. bisporus was assessed to be a suitable candidate for functional food development, Our findings in this study will provide essential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using edible mushroom species.
Machine learning (ML) techniques have been increasingly applied to the field of structural engineering for the prediction of complex dynamic responses of safety-critical infrastructures such as nuclear power plant (NPP) structures. However, the development of ML-based prediction models requires a large amount of training data, which is computationally expensive to generate using traditional finite element method (FEM) time history analysis, especially for aging NPP structures.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synthetic data generated using Conditional Tabular GAN (CTGAN) in training ML models for seismic response prediction of an NPP auxiliary building. To overcome the high computational cost of data generation, synthetic tabular data was generated using CTGAN and its quality was evaluated in terms of distribution similarity (Shape) and feature relationship consistency (Pair Trends) with the original FEM data. Four training datasets with varying proportions of synthetic data were constructed and used to train neural network models. The predictive accuracy of the models was assessed using a separate test set composed only of original FEM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models trained with up to 50% synthetic data maintained high prediction accuracy, comparable to those trained with only original data.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TGAN-generated data can effectively supplement training datasets and reduce the computational burden in ML model development for seismic response prediction of NPP structures.
본 연구는 스포츠클럽 관련 언론보도 기사를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정책·제도의 주요 현황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 로 정책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텍스톰과 Ucinet 6을 활용하여 2018년 1월부터 2025년 6월까지 ‘공공스포츠클 럽’, ‘등록스포츠클럽’, ‘지정스포츠클럽’ 관련 언론보도 기사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스포츠클럽 정책·제도의 주요 현황과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텍스트마이닝, 의미연결망 분석, TF-IDF, CONCOR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스포츠’, ‘클럽’, ‘공공’, ‘선수’, ‘체육’, ‘등록’, ‘시설’, ‘대회’, ‘지정’ 등이 높은 출현 빈도를 나타냈다. 또한, ‘지 역 공공 협력 기반 스포츠클럽’, ‘전문선수 육성을 위한 지정스포츠클럽’, ‘학생 대상 스포츠클럽대회 활성화’, ‘특정 종목에 편중된 전문선수 등록’ 등 총 4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스포츠클럽의 공공성과 자립성 을 강화하고, 지역 기반의 지속 가능한 운영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역 스포츠 거버넌스 체계 확립, 지역사회 내 스포츠클럽 기능 강화, 등 록스포츠클럽의 제도적 사각지대 해소 등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stalling electrodeless induction lamps on the intact stability of a coastal angling fishing vessel. The objective is to assess whether these alternative lighting systems can improve or maintain vessel stability while offering enhanced energy efficiency compared to conventional metal halide lamps. To achieve this, an 8.55-ton class coastal fishing vessel was selected, and hydrostatic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three kinds of lighting configurations: (1) metal halide lamps, (2) electrodeless induction lamps, and (3) a combined system of both. Inclining tests were performed for each condition, and the results were evaluated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s for Stability and Full Load Waterline of Fishing Vessels and the Safety Standards for Standard Fishing Vessel Types established by the Korean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d the Adoption of the international code on intact stability by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The core variables analyzed include the metacentric height (GM), righting lever curves, maximum righting moment and heel angle at maximum moment. These variables were used to assess the intact stability of the vessel under each lighting configuration. Inclination tests and hydrostatic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K-Ship and confirmed that the fishing vessel met all MOF and IMO stability criteria under various loading conditions and lamp configurations. Even when both metal halide and induction lamps were installed, the vessel satisfied the most stringent stability requirements with only a slight reduction in initial metacentric heigh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placing or supplementing traditional lamps with induction lamps does not compromise vessel stability.
This study aimed to improve safety and reduce labor intensity in offshore crab pot fisheri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six types of automated fishing gear: a bait cutter, bait crusher, mainline arranging device, automatic pot hauler, cold water tank system, and crab pot unloading device. Sea trials demonstrated that both the bait cutter and bait crusher effectively reduced overall operation time. The mainline arranging device lowered the risk of injur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anual handling. The automatic pot hauler enabled the automated separation of crab pots, significantly decreasing the physical workload. The cold water tank system facilitated the efficient sorting of live crabs while enhancing onboard safety. Additionally, the crab pot unloading device reduced physical strain on workers and minimized catch damage. A satisfaction survey revealed high levels of approval among fishers, particularly regarding labor reduction and improved safety. Economic analysis indicated that vessels equipped with the automated gear experienced reduced overall operating cos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eveloped technologies will contribute to the long-term sustainability and modernization of offshore crab pot fisheries.
This study examined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fishing performance of an offshore pot fishery targeting swimming crabs (Portunus trituberculatus) to identify key issues and proposed strategies for improving efficiency and fisher safety. Analysis was based on approximately one year of fishing logbook data recorded by a pot fishing vessel. The total annual catch amounted to 30,084 kg, with the highest catch per unit effort of 0.07 kg per trap observed in autumn at depths of 20–25 m. No crabs were caught below 15℃ while the peak catch occurred at around 25℃. Catches were geographically concentrated in the mid-northern West Sea, especially near Taean and Boryeong. Economically important bycatch species, including sand crabs, octopus, and turban snails, exhibited distinct spatial distributions. An average of 1,996 traps were deployed per operation with a low loss rate of 1.6 traps. Based on field-level observations, this study proposed the development of automated or semi-automated equipment, such as bait cutters, automatic mainline arranging devices, pot-hauling and separation systems, chilled water tanks for sorting, and automated unloading systems. These technologies are expected to reduce labor demands, improve safety, and enhance the overall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pot fishery.
This study assessed the processing suitability and functional potential of sweet potato paste by comparing quality characteristics across different cultivars and heat treatment methods (steaming and baking). Generally, moisture content was higher after steaming, with the ‘Bodami’ and ‘Pungwonmi’ cultivars retaining more moisture, while ‘Jinyulmi’ and ‘Danjami’ had lower moisture levels. Purple-fleshed cultivars displayed negative a* and b* values, indicating bluish hues, whereas yellow-fleshed cultivars maintained stable b* values after heating. Both °Brix and free sugar levels increased after treatment, with baking significantly elevating maltose levels and enhancing sweetness. Apparent viscosity was higher in ‘Danjami’, ‘Jinyulmi’, and ‘Bodami’, while ‘Hogammi’, ‘Hopungmi’, and ‘Sodammi’ exhibited lower viscosity. Additionally, ‘Bodami’ and ‘Danjami’ demonstrated the highest levels of polyphenols,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confirming their potential as valuable functional ingredient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selecting appropriate cultivars and heat treatments to optimize the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qualities of sweet potato paste.
영화 《브루클린》은 문학 텍스트에서 영화 매체로의 서사적 전환 과정 에서 감독 존 크로울리는 원작 소설에 내재된 세 가지 핵심 서사 자원을 정교하게 포착하고 재구성하였다. 즉 주체적 정체성 상실과 재구축, 현대 여성 의식의 각성, 개인 성장의 서사적 동력이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 로 서사를 재편하였다. 이러한 기초 위에서 영화는 원작의 섬세하고 서 정적인 미학적 표현을 수용함과 동시에, 장르적 문법에 입각한 서사적 재맥락화를 수행하였다. 특히 여성서사라는 텍스트적 프레임안에서 영화 는 기존 문학 서사의 감성적 요소를 시각적 내러티브로 효과적으로 전이 시키며 문학에서 영화로의 매체간 전환의 성공적 사례로 자리매김하였 다.
본 연구는 풋고추 수경재배에 ICT 기술을 적용하여 측정된 누적 일사량을 기반으로 급액량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생묘와 접목묘의 생육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자 수행되었다. 실험재료로는 실생묘 ‘순한길상’과 접목묘 ‘순한길상’(접수) + ‘BN901’(대목)을 사용하였으며, 65-70 일 간 육묘한 뒤 코이어배지에 8월 하순에 정식하여 이듬해 4 월까지 재배하였다. 급액량은 ICT 센서를 통해 측정한 누적 일사량을 기준으로 T1-T4의 4수준으로 처리하였다. 풋고 추 실생묘 수경재배 시 급액량 T2(생육초기-중기: 50- 160mL·100J-1·plant-1) 처리 이상에서 생육초기 과실의 품질 차이가 일부 있었으나, 정식 후 54일차 이후로는 품질에 차이 가 없고, 생산량 증가도 미미하기 때문에 양액 사용효율을 고 려하였을 때 적정 급액량은 T2로 판단되며, 이때의 배액률은 사분위수 범위(Q3-Q1)를 기준으로 생육초기 13-31%, 생 육중기 20-34%로 관찰되었다. 접목묘의 경우 T4(70-240) 처리에서 총생산량 6,306g·plant-1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실생묘 T4 처리구 보다 약 34% 증수하였다. 이를 통해 풋고추 수경재배의 접목묘 도입 시 장기간 세력 유지와 생산성 향상 에 유리하며, 실생묘와는 차별화된 급액 전략이 필요할 것으 로 판단된다. 또한, 엽병 즙액 및 엽 조직 내 총질소, 총인, 칼륨 함량 분석 결과, 생육 후기로 갈수록 총질소와 총인은 감소하 고 칼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실생묘에서 엽병 즙액 내 N, P, K 함량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엽병 즙 액 분석값과 엽 조직 내 함량 간 상관성은 질소에서 낮았고, 생 산성과의 관련성도 미미하여, 즙액 분석을 활용한 생육 진단 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시료 채취 위치, 수분 상태, 엽령 등 명확한 기준 설정이 요구된다.
이 연구는 자율운항선박의 도입이 기존 감항능력 개념의 변화를 초래함에 따라 자율운항선박에 요구되는 새로운 감항능력의 요건을 분석하고 그 법적 개 념이 어떻게 재정립되어야 하는지를 탐구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로 인해 발 생할 수 있는 상사법적 분쟁에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상사법적 쟁점을 파악하 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 선행 연구로서 기여하는 데 그 목 적이 있다. 자율운항선박은 자율운항 수준에 따라 Level 1∼4로 구분되며 각 단계별로 요구되는 감항능력이 상이하여 선원과 원격운항자에 대한 인적 측면 과 인공지능 시스템과 사이버 보안에 대한 물적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자율운항선박의 운항에 수반되는 주요 상사법적 쟁점에 관한 주 요 법적 문제를 다루었다. 인적 감항능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율운항 기술의 도입으로 선원의 수와 역할이 축소되는 한편 원격운항자의 역할이 강화됨에 따라 발생 가능한 상사법 적 쟁점을 자율운항 단계별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Level 2 이하에서는 선원, Level 2 이상에서는 원격운항자에 대한 감항능력 확보 방식과 그 평가 기준 마 련이 중요한 과제로 논의되었으며 국내외 규정과 판례 분석을 바탕으로 적절한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특히, 원격운항자의 등장은 기존 법적 체계에 존재하 지 않던 인적요소로서 보다 심도 있는 검토가 요구됨에 따라 연구 사례 분석을 통하여 원격운항자의 정의와 역할을 명확히 규정하고, 원격운항자에 대한 자격 신설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해상운송인의 인적 감항능력주의의무에 따른 법적 책임과 항해과실에 대한 면책 규정의 제외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물적 감항능력에 대해서는 자율운항선박의 안전 운항에 있어 소프트웨어 시 스템과 사이버 보안의 감항능력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상사법적 쟁점을 분석하였다. 특히, Level 4에서는 인공지능 시스템에 대한 감 항능력 확보와 평가 부분에서 법적 미비점이 존재하며 상사법적 분쟁의 소지가 많을 것으로 판단하여 소프트웨어 시스템 중에서도 인공지능 시스템을 중심으 로 고찰하였다. 자율운항선박의 인공지능 시스템에 대한 제조물 책임 문제를 논의하였다. 아울러, 숨은 하자에 대한 면책 규정의 적용 가능성까지 확장하여 살펴보았다. 사이버 보안에 대한 감항능력 확보와 평가에 관해서는 감항능력주 의의무의 이행 시기 및 상당한 주의 정도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기존 해적행 위에 대한 면책 규정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