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가 중국에서 한국으로 전래된 후 한자의 학습과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한자교육 방면의 동몽 독서물이 대량으로 정리되고 편찬되었다. 󰡔한국유학교육자료집해󰡕 제1권 󰡔동몽교 육편󰡕은 조선시대에 간행된 19종의 동몽 독본을 수록하여 조선시대 민중의 한자에 대한 인식과 문자 사용 실태를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19종의 한자 동몽 자료는 많은 이체 속자를 사용하여 중국의 한자 사용과 다른 특징을 보여준다. 총체적으로 볼 때 조선시 대 동몽 문헌에 보이는 속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필획의 증감, 필획의 형태 변화, 간접 부건과 기타 부건의 혼재, 부건 배치의 차이, 초서의 해서화 등의 요인으로 형성된 異寫俗字이고, 다른 하나는 조자 방법의 차이, 조자 방법은 같지만 부건이 다른 경우, 구조적 속성은 같지만 부건 수량이 다르거나 필사의 변이로 인한 구조의 차이 등의 요인으로 형성된 異構俗字이다. 조선시대 동몽 문헌의 속자 사용에서도 주목할 만한 특징이 나타난다. 예컨대 고문과 예서의 정서법을 많이 보존하고 있고, 중국 고대 속자의 변형된 정서법을 전승 및 사용하 고 있으며, 문자의 속자가 체계성을 갖추고 있는 등을 들 수 있다.
        8,400원
        2.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isuse of resources is getting serious every year, and the annual cost of domestic wates disposal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s appraching 15 to 23 trillion won, Concerns are mounting that if the situation persists, the saturation of domestic waste landfill in 2025 will not be prevented. As the movement to prevent and solve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increases, institutions, companies and individual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Upcycle environmenal design’ that considers nature and composes spaces. This study explores solutions to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waste, focusing on upcycle products and describes the uniform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upcycle products shown through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upcycle products are not only treating waste but also protecting the environment at another level. Second, manufacturing upcycle products that take advantage of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packaging material. And third, drawing economic profits from upcycle products as well as the environment. The development of upcycle products according to social consciousness is creating a new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architecture, landscaping, interior, etc) and the movement to think and protect the environment leads to many changes in individual lives beyond institutions and companies. As the movement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is expected to become more activement the outlook for upcycle products is also expected to rise further.
        4,000원
        3.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형태 및 구성 방식의 전시가 담론화되고 있다. 현대 전시의 흐름은 급속도로 발전한 디지털 기술을 빠르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자 한다. 기존의 오프라인 활동이 주를 이뤘던 대부분의 전시들은 COVID-19로 인해 오프라인에서의 활동에 제약이 생기게 되었으며, 포스트 코로나(POST COVID-19) 시대의 대안으로 비대면·온라인 추세가 확산되며 가상공간 속 하나의 사회를 구축하는 메타버스(Metaverse)는 자연스럽게 주목받게 되었다. 예술 분야뿐만 아니라 경제·사회 등 모든 분야에서 메타버스는 빼놓을 수 없는 키워드가 된 것이다. 메타버스 기술이 활용된 전시 공간은 전시 목적에 따라 구성 방식 및 형태를 자유롭게 구축할 수 있으며, 수동적이고 단편적이었던 기존 전시를 사용자 중심의 환경으로 구축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전시의 흐름과 한계를 알아보고, 한계점 극복이 가능한 메타버스 전시에 대한 현황 및 가능성을 탐구하여 전시 공간 활성화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4대 유형을 ‘시뮬레이션과 증강현실 사이’, ‘내재적 요소와 외재적 요소’인 2가지 축을 통해 비교분석을 하여 어떤 유형으로 전시하는 것이 더 적합할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메타버스가 도입되었을 때의 전시가 기존에 진행되던 전시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4,000원
        4.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법적으로도 조경 ․ 녹지 공간의 확보비율이 늘어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공해와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고 서비스 공간의 확보 차원에서 지상의 주차장들이 지하주차장으로 배치되기 시작했으며 점점 지하주차장의 의무비율이대되고 있다. 지하주차장의 면적이 증가하고 주차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도 늘어나면서 지하주차장 환경 정비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실정이다.본 연구는 환경색채를 중심으로 실제 아파트단지의 현장조사를 통해 현재 지하주차장에 나타난 색채 분석을 통하여최근 지하주차장 색채 경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지하주차장 색채의 향방을 예측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지로는수도권에 위치하며 2007년부터 2011년까지 건축된 지하 주차장 10개소를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아파트 지하주차장의개념과 특성 그리고 색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아파트 지하주차장 사진을 픽셀화 시켜 RGB값을 추출하고 IRI이미지스케일을 사용하여 지하주차장의 색채를 분석하였다. 지하주차장의 색채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고명도와 저채도의색채를 바닥면에 사용하여 차분하고 은은한 느낌을 주었고 바닥면보다는 높은 채도의 색채를 벽면에 사용하여 명시성을높였으며 고채도의 순색으로 벽에 포인트를 주어 명확한 구역표기와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도록 계획되었다. 전체적으로주차장의 색채를 보면, 과거의 어둡고 퇴폐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G계열, Y계열, RP계열의 색채로 계획되어져 밝고쾌적한 분위기로 연출해 안전한 아파트의 또 하나의 서비스 공간으로 정비되고 있다.
        4,000원
        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훼디자인 분야에 있어서 색채의 중요성이 부각된 것은 오래 되었지만 전문적인 교육과 표준화 작업은 미흡한 실정이며, 화훼디자인 분야에서 큰 비중을 차지 하고 있는 웨딩부케도 이러한 문제점을 직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터플로라 세계월드컵대회의 출품작 중 웨딩부케의 색채이미지 분석을 통해 화훼디자인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명도와 채도가 높은 색채를 선호하였고, 난색과 한색의 고른 분 포가 나타났다. 반면 파란색(Blue)의 사용은 없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어, 화색(花色) 중 파란색(Blue)을 띠는 식물의 희소성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판단되었다. 색채 배색의 분석 결과 대륙별로 차이점을 보이고 있었다. 유럽의 웨딩부케는 한가지 색에 치중하지 않고 다양한 색채 배색이 나타난 반면, 아시아의 웨딩부케는 빨간색 (Red)계열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결과 웨딩 부케의 색채이미지스케일은 12개의 대표이미지 중 8개의 이미지에 분포하였고, ‘맑은, 우아한, 점잖은, 모던한’의 4개의 이미지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6.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방사능 누출사고가 방사능 오염으로 인한 유아안전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유아안전 대책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2013년 2월 C도의 공 사립유치원 교사 19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13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 일본 원전사고는 방사능 오염으로 인한 유아안전에 대한 교사의 불안감에 영향을 미쳤으나, 방사능오염으로 인한 유아안전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안전지식과 대처방안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방사능 오염으로부터 유아안전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유아교사교육이 요구되며, 유아안전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7.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방사선 누출사고가 방사능 오염식품과 방사선 조사식품에 관한 유치원 부모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국민건강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2012년 8월 J시의 K와 M유치원의 학부모 20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17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 일본 원전사고는 방사능 오염식품에 대한 학부모의 불안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방사선조사 식품에대한 부모들의 인식은 낮았다. 결론적으로 방사선조사 식품에 대한 유치원 부모들의 인식을 높이고, 방사능 오염식품과의 명확한 구분 및 올바른 인식을 돕는 적극적인 홍보와 부모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8.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이중 에너지 디지털 래디오그래피를 위한 이중 모드 검출기 개발을 제안한다. 이중 에너지 래디오그 래피 모듈의 설계를 위하여 상용 BIS(Baggage Inspection System)에서 사용되고 있는 X-선 발생장치의 스펙트럼과 이중 모드 검출기에 대한 특징 및 방사선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안하는 영상 검출기 모듈은 BIS에서 활용되고 있는 X-선관을 대상으로 X-선 스펙트럼을 모사하고, 모사한 스펙 트럼을 통하여 새롭게 제안하는 검출기 모듈의 방사선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X-ray를 이용한 실험에서 구리 필터의 두께 증가에 따라 저에너지 검출기(LED)와 고에너지 검출기(HED)의 출력 신호의 차이는 같이 증가하였다. 특히 HED에서의 출력신호의 크기는 구리 필터 두께가 증가 할수록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9.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day’ culture movement puts great importance on well-being which consists in nature-fulfillment and focuses on healthy, psychological secure living. In addition, floral art design, as an element to stimulate a human emotion, is widely applied as a decoration in the center of an eating and drinking table with regard to consumers’ emotional expectations, today’s trends. Color which helps people recognize visually was considered as the most critical factor for the best design preferable to the public, and orange color was the best among the colors because it stimulate appetite. As the preferable image with regard to colors is considered as a romantic image, it represented that people prefer emotional atmosphere and image based on emotional consumption elements. Cut flower is the most popular among cut paper, cut leaves, cut flower, plants in flower-ports for plant materials in decorating eating and drinking tables, and among them, ros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followed by lisianthus, carnation, hydrangea , and gerbera. Hydrangea and peony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among imported plants, and imported plants corresponded to low frequency preference. Differences followed by various colors, high quality, luxurious and exotic images are the important factors why people prefer imported plants, and in add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plant materials in Korea and plant materials imported were colors, followed by rareness, price differences, uniqueness, quality, fitness for creating atmosphere, purchasing difficulties, unique shape, flower shadow, various breeds. European style, Western style, Oriental style are classified in floral art design, and finally, blank beauty, the wonderful, rich designs which consider natural basic principle rather than gloomy space, and the style which expresses the feel of materials and colors differently are preferable in the style and hard, experimental, abstract styles different from curved and stable styles are not preferable. Grouping technique, which makes it easy to create formation and represents a powerful movement of colors, forms, and a feeling of materials visually, was preferable.
        10.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중성 및 공공성이 확보된 작품 제작을 위하여 사람들이 어느 정도 화훼장식물을 좋아하고 느끼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최근에 환경 관련 디자인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환경 심리학적 접근 방법에 의한 시각적 선호성 및 이미지 특성 파악을 위해 시도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미지 특성 분석 에서는 화훼장식물의 전체에 대한 이미지 통계 결과 ‘자연적’, ‘질서 있는’, ‘통일감’, 이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깨끗한’, ‘아름다운’ 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인공적인 도시에서의 화훼장식물이 도시 미관에 자연미와 통일감을 부여하는 경관요소로 조화롭게 연출 되어져 이미지가 높게 평가 되었고, ‘깨끗한’, ‘아름다운’의 이미지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기존의 화훼장식물이 지속적인 관리체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도시 미관을 떨어뜨리는 이미지로 인식된 결과로 보인다. 2. 화훼장식물이 지닌 이미지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된 인자분석 결과, 화훼장식물의 이미지 인자는 총 4개의 인자로 추출되었으며, 인자 1은 ‘미관성’으로, 인자 2는 ‘정연감’으로, 인자 3은 ‘중량감’ 으로 설정하였으며, 인자 4는 화훼장식물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이미지, 안정성, 친밀감 등과 관계되는 ‘친숙감’으로 설정하였다. 3, 4개의 인자들의 인자점수(Factor Score)를 이용한 유형별 산술평균 결과, 미관성 인자와 정연감 인자에서는 모두 유형 Ⅲ이 가장 높게 나타나 입체조형물이 시각적인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입체조형물에 연출된 화훼장식물의 질서와 통일감으로 인한 시각적인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중량감 인자와 친숙감 인자에서는 공히 유형 I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화단에 식재된 화훼장식물로서 장방형의 형태에서 오는 안정감에 기인한 것이며, 한편으로는 예전부터 우리 주변에 있어온 형태의 친숙감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4. 외부공간에 연출된 화훼장식물의 시각적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친환경성, 「스토리텔링 기법」등의 공감대를 형성이 중요한 것으로 보이며 화훼장식물이 외부공간에서의 역할을 주변경관과의 어울림의 고려가 필수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5. 시각적 선호도와 화훼장식물의 이미지와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형 I과 유형 Ⅱ에서도 미관성 인자가 높게 나온 반면 유형 Ⅲ에서는 정연감 인자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전반적으로 화훼장식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의, 미관성 인자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화훼장식물의 선호도를 높이기 위하여 화훼장식물의 조형미를 높일 수 있는 디자인적 연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6. 외부공간과의 시각적 조화성을 분석한 결과, 시각적 조화도를 보인 작품들 대부분이 유형 Ⅲ의 입체 조형물에 연출된 화훼장식물로서, 선정된 작품들 또한 색채, 재료, 크기, 형태, 위치에서 고르게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을 볼 때, 화훼장식물을 연출시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려면 고른 조화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7. 화훼장식물 전체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형 I에서는 색채의 조화가 , 유형 Ⅱ와 유형 Ⅲ는 각각 위치의 조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컨테이너에 식재된 화훼장식물은, 이동이 가능한 가변성이 있는 작품으로 주변 환경과 컨테이너에 식재된 화훼장식물과의 조화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주변 환경과의 조화가 가장 잘 이루어져 완성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옥외 화훼장식물의 유형을 3가지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한 바 감상자들이 원하는 화훼장식물의 형태는 목적 공간에 맞는 적극적인 연출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듯이, 이제 화훼 장식물의 역할은 단순히 지표의 역할을 하는 기능적인 역할 뿐만 아니라 도시 미관을 아름답게 하는 공공예술로 정착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결과에 부합하기 위하여 향후 개선해야 할점도 적지 않음을 알수 있다. 시대적 트랜드에 맞는 형태의 디자인 개발과 화훼류의 선택및 이용방안 연구 또한 필연적 과제임을 인식하게 된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아름다운 도시 경관에서의 녹(綠)과 화(花)의 제2의 창출과 화훼예술의 대중적 기여를 목표로 한 외부 화훼장식을 위한 디자인 기획과 연출시, 이용자 선호도 반영및 주변 경관과의조화성 기준을 제시하는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더 나아가서 아름다운 도시를 창조하는데 기여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11.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andscape is an environment factor for improving life, a social resource for establishing image and identity of the area and also a tourist resource for earning profit. Rural landscape is essential resources to activity rural tourism and local economy. But like this rural village by the development which economic high growth and scientific technique is quick searched the features or customs of the farming village of city brazier past and to be strenuous it became. The classification in like this objective against the rural village resources in this time research it led and against the culture application plan which will reach to grope it tried. Though this results, The opportunity where rural sightseeing is activated expects beco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