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498

        14.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troke often results in hemiparesis, which leads to asymmetrical plantar pressure and impaired balance control. The gastrocnemius muscle plays a key role in plantar flexion and postural stability. Dysfuncion of this muscle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posterior foot pressure and increased fall risk in stroke patients.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strocnemius muscle stimulation using microcurrent stimulation therapy on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and functional balance in stroke patients.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wenty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microcurrent stimulation therapy+conventional rehabilitation therapy) and a control group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herapy only). plantar pressure (posterior foot pressure), center of anteroposterior pressure displacement (CAP), and balance ability were measured using the berg balance scale (BBS) and functional reach test (FRT) before and after 8 weeks of intervention.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posterior foot pressure and reductions in CAP after intervention. BBS and FRT scores also significantly improved. Although the control group showed some improvements, the changes were smaller and less consistent. Conclusion: Microcurrent stimulation targeting the gastrocnemius muscle improved plantar pressure symmetry and postural stability in stroke patients, suggesting its effectiveness as an adjunctive balance rehabilitation intervention.
        4,000원
        15.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Functional Movement Screen (FMS) is widely used for movement assessment but suffers from subjective scoring that leads to inconsistent evaluations. Whil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reliability, the validity of AI-supported assessment remains unexplored. Objective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 AI-based motion analysis system using MediaPipe for three FMS movements. Design: Prospective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with repeated measures. Methods: Thirty healthy adults (age 23.4±2.8 years) performed three FMS tests (Deep Squat, Hurdle Step, Inline Lunge) recorded on video. Three evaluators (two experienced physical therapists and one novice) assessed recordings in three phases: Phase 1 involved traditional assessment by experts only to establish criterion reference, Phase 2 had all evaluators using AI support, and Phase 3 consisted of repeated AI-supported assessment. The AI system provided real-time visual feedback of joint angles and alignment through MediaPipe skeletal tracking. Results: Criterion validity showed strong agreement between traditional expert assessment and AI-supported assessment (r=0.94, P<.05). Inter-rater reliability improved from good (ICC=0.89) to excellent (ICC=0.91) with AI support. The novice evaluator achieved immediate expert-level performance with only 0.05 points difference from experts. Intra-rater reliability was excellent for all evaluators (ICC=0.84-0.89). Conclusion: The AI-based system demonstrated strong validity and improved reliability for fundamental movement assessment. While AI support enabled novice evaluators to achieve expert-level performance immediately, it may increase sensitivity to subtle movement variations. This technology shows promise for standardizing movement screening, though current limitations restrict its application to standing movements.
        4,300원
        16.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건성안은 스트레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안과 질환이다. 본 연구는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9–2021)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직업에 의한 스트레스와 건성안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자료 중 건성안 진단 유무와 스트레스 인지 정도에 응답한 3,781명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학력 등의 일반적 특성과 건성안 진단 유무, 스트레스 인지 정도, 직업군별 건성안 유병률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통계적으로 p<0.050을 유의수준으로 설정하였다. 결과 : 여성에서 남성보다 건성안 유병률이 높았으며, 젊은 연령층과 고학력자에게서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 다. 스트레스 인지 수준이 높을수록 건성안 발생률도 증가하였고, 직업군별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직업에 의한 스트레스는 건성안 유병률 증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특히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직업군에서 건성안 발생률이 높았으며, 이에 따라 직업환경 개선 및 예방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4,000원
        17.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RG) is a widely cultivated winter forage crop known for its high yield and nutritional value. This study evaluated the processing characteristics and feeding performance of IRG-based pellets in Hanwoo cattle (Bos taurus coreanae) and Korean native black goats (Capra hircus). IRG was harvested at the optimal growth stage and processed into two pellet formulations: IRG ≥80% (with up to 20% soybean meal) and 100% IRG. Feeding trials were conducted under ad libitum feeding conditions. Hanwoo cattle showed higher intake of 100% IRG pellets (7.9 kg/day/head) than IRG ≥80% pellets (7.5 kg/day/head, p<0.05), with similar average daily gain (0.9 ± 0.4 kg/day/head). Conversely, black goats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intake of IRG ≥80% pellets (54.6 g/day/head) compared to 100% IRG pellets (266 g/day/head), likely due to reduced palatability associated with soybean meal i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RG pellets are suitable for Hanwoo cattle, while further optimization of pellet size and formulation is required to improve acceptance in goats. Future studies should assess long-term impacts on digestion, rumen fermentation, and metabolic responses.
        4,000원
        18.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Greenidea (Trichosiphum) nigra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이 종의 무시성충에 대한 형태학적 정보, 기주식물, 분포지역, 한국에 분포하는 털관진딧물속 종들의 분류키를 제공한다.
        4,000원
        19.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내 미기록종인 Euandrolaelaps yamauchii (Ishikawa, 1982)를 채집하여 해당종의 새로운 분포지로서 기록하였다. 또한, Euandrolaelaps yamauchii (Ishikawa)의 완모식표본과 한국산 표본을 함께 비교검경하여 개정된 분류학적 진단정보를 제시하였으며, 검경에 사용 한 현미경사진 및 도판과 국내에 보고된 Euandrolaelaps속에 대한 분류키도 함께 제공하였다.
        4,200원
        20.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2022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력 수준과 정신건강 지표(우울, 불안)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22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 중 시력검진 및 정신건강 설문(PHQ-9, GAD-7)에 모두 응답한 519명의 성인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포함하였다. 시력 상태는 정상, 경도 시력손상, 저시력으로 구분하였으며, 복 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시력과 정신건강 지표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 경도 시력 손상은 중등도 이상 불안 고위험군에 속할 가능성이 정상 시력군에 비해 약 9.5배 높았으며 (OR=9.54, 95% CI: 2.01–45.25, p=0.005), 저시력군의 경우 우울 위험이 정상군 대비 약 4.3배(OR = 4.27, 95% CI: 0.85–21.56)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81). 결론 : 시력 저하는 단순한 감각 기능의 저하를 넘어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특히 경도 시력 손상군은 제도적 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더 큰 심리적 부담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향후 공중보건 정책에서는 시력 저하 단계별 특성을 고려한 조기 선별 및 정신건강 중재가 필요하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