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21세기를 대표하는 뮤지션인 아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아델의 보컬 표현 기법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보컬의 다양한 표현 기법을 제시하고 향후 보컬리스트들의 하나의 표현기법 연구 자료로 삼고자 하는 데 목적을 가지고 연구하였다. 대중들의 삶 곳곳에 영향을 끼치며 시대적인 흐름과 사회적인 배경에 따라 여러 세부 장르를 탄생시키며, 다양한 음악 장르를 유입하고 끊임없이 대중들과 소통하며 발전을 이뤄온 대중음악은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음악 스타일은 물론이고 가창 기법 또한 계속하여 발전하고 변화해 왔다. 훌륭한 가창력에 대한 기준은 주관적이지만 고음을 안정적으로 소화하거나 음역대가 넓어야 노래를 잘한다는 일반적인 인식에 의해 음성 질환을 유발하는 무리한 고음 대신 본인이 가지고 있는 음역대에 대한 이해를 통해 본인의 음역대에 맞는 가창이 중요하다. 아델(Adele,Adele Laurie Blue Adkins)은 최초로 그래미 어워드 제너럴 필드를 두 번 석권한 뮤지션으로 대표적인 콘트랄토 음역대를 사용하는 보컬이며 폭발적인 고음이 없이도 본인이 가지고 있는 음역대 안에서 다양한 표현기법으로 곡을 표현하였다. 연구 결과 극적인 고음 테크닉 없이도 가지고 있는 음역대 안에서의 좋은 톤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곡의 기승전결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은 매끄러운 연출과 동시에 곡의 흐름을 고조시켜주는 벤딩의 활용과 가성과 본성의 혼용, 프레이즈 끝 음 처리의 비브라토의 활용, 강조를 위해 사용되는 스크래치의 활용, 마르카토의 활용, 단조로운 멜로디를 보완하며 빈 공간을 채워주는 애드리브의 활용이 도출되었다.
        4,000원
        2.
        2020.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 저성취 대학생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 델파이분석, 요구분석을 차례로 실시함으로써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프로그램 개발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헌분석을 통해 학업 저성취 대학생의 특성 및 저성취 관련요인을 살펴보았다. 이후 델파이 조사와 10인의 전문가협의회를 거쳐 학업 저성취 대학생 지원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도출된 구성 요소에 대해 지원 프로그램 구성 시 우선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대학생 2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현재 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차이검증(대응표본 t검증), Borich의 중요도 산출, The Locus for Focus Model 결과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델파이 분석을 통해 총 14개의 프로그램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둘째, 14개의 구성요소는 현재수준과 바람직한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요구분석 결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에서는 7개, Borich 요구도에서는 6개의 구성요소가 높은 요구도를 나타내었다. 넷째, 우선순위 도출 결과 공통적으로 요구도가 가장 높은 구성요소는 5개 (목표관리, 집중력, 시험관리, 체계성, 내용의 적합성)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종합적이고 수요자 중심적인 관점에서 제안한 구성요소들은 추후 학업 저성취 대학생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3.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 및 창업과 같은 전통적인 구직 활동에서 벗어나 창의적인 아 이디어와 활동으로 새로운 직업을 발굴하고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창직’ 성공사례를 탐 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혼플래너, 온라인 평판관리사, 아이디어 컨설턴트, 프레젠 테이션 컨설턴트, 반려견 심리전문가 등 창직 성공 경험자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새로운 직업에 도전하는 계기는 잘 하는 일에 도전하면서 전문성과 경력을 활용하기 위한 것이 가장 컸다. 창직 준비 과정의 어려움은 세상에 없는 일을 해야 하는 두려움, 생소한 일을 사람들에게 알려야 하는 부담, 그리고 주변의 걱정과 부 정적인 시각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직업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는 온라인 홍보 와 지식 공유, 경력 개발을 위한 학습과 열정이 요구되었다. 결정적인 성공 요인은 차별 화된 아이템 발굴, 작은 아이디어도 실천하는 행동, 최신 트렌드 파악과 반영, 시장성에 대한 확신과 자신감 등이었다. 경력 성공과 관련해서는 세상에 없는 일을 개척하는 기 쁨, 경력 개발에 대한 만족 등을 경험하였다. 논의에서는 연구 결과의 함의와 시사점,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