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1.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군 리더십코칭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대대장을 대상으로 실시한 리더십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군에서 리더십코칭 프로그램은 지난 2013년도부터 중대장을 대상으로 시작하여 2016년도에는 대대장을 대상으로 확대하여 실시중이다. 대대장 리더십코칭은 사전에 선정된 인원을 대상으로 코칭에 대한 자료를 발송하고 전화로 사전 라포(공감대)형성을 시도하였다. 수일간 진행되는 조직진단 및 MBTI 검사 결과, 육군 리더십/임무형 지휘센터의 코칭 팀의 현장 동행 결과를 바탕으로 대대장에 대한 코칭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코칭 팀의 주관적 견해가 아닌 상급자와 하급자, 본인이 포함된 360도 다면평가를 활용하였다. 코칭의 효과성 평가 결과 부하들이 인식하는 리더십 코칭 전과 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부하들이 인식하기에 간부와 병사 그룹 모두에서 코칭을 통해서 대대장의 리더십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리더십코칭 부대와 실시하지 않은 통제부대와의 리더십 코칭효과 차이에 있어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인터뷰 결과에서도 리더십 코칭이 대대장 자신의 리더십을 성찰하고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대대장의 리더십 역량 중 임무수행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개발역량, 주도적으로 이끌기 역량, 리더다운 모습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현장 적용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6,600원
        2.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Jo, Jinsu & Park, Jae-hyun. 2017. “Educational Direction by User Perception Type for Military Slangs and Unfamiliar Sino-Korean Word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5(1). 213~23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ducational direction about military slangs and unfamiliar Sino-Korean words used in the military considering the need for refinement and acceptability of the language users. To this end, military personnel, the users of the military language, have been surveyed to examine their use and views of the military language, principally military slangs and unfamiliar Sino-Korean words. Focus-group interviews have also been performed to make an in-depth analysis on their language practice.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perceived need for refinement is high but acceptability is remarkably lower than the perceived need for refinement. While respondents agree that the suggested terms need to be refined, they think that the purified words or alternative terms are unlikely to be accepted by the men in the military. Compared to military slangs, unfamiliar Sino-Korean words are, in general, regarded in more need of improvement, which is also more likely to be accepted. The result also implies that the following should be considered in establishing an education method; whether the substitute words have the same meaning as the original words, in what context the words are used, and how the substitute words are forme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education method about military slangs and unfamiliar Sino-Korean words used in the military based on the refinement needs and user acceptability.
        6,400원
        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rk, Yong-han. 2016.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Military Language”.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4(3). 125~155. The military is a societal device established to systematically address the citizens' needs for assured national security. Thus, the military language used internally shares three common characteristics with institutional language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nstitutionality of the military language by marginally introducing the concept of military as an institution, and military language as an institutional language. The military conducts various training to maximize the combat capability of its service members, and such training aims to raise combat abilities as well as to foster steadfast militaristic spirits. As a result, the instructors and their assistants appear to be task-oriented during training. And along with the trainees or recruits, they bear the certain communicational restrictions in accordance with their institutional positions. There are different frames of inference suitable to particular circumstances. The breadth of military rhetoric in such institutional interactions - such as lexical choice, turn design, sequence organization, overall structural organization, and social epistemology and social relations well convey the definitiv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well. As an institutional device with the significant societal portion of weight, the military can have considerable effects on the society as a whole. However,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study regarding the military society and its language has yet to be conducted. In recent times, the closed-nature of the military appears to be gradually weakening; more active research regarding the military language correlated to such contemporary trend can be expected in the near future.
        7,700원
        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rk, Yong-han. 2015. “A Study on the occurrence motives and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Military-humor Text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3(3). 113~ 145. Humor can be the main subject of sociolinguistic research since it indirectly reflects how people, who actually produce and enjoy humor, think about the main issues of their community. The military employs many forms of humor within its organization to relieve tensions in communication. As humor helps people to resolve the anxieties and rigid thoughts and become more flexible, various contents and forms of humor are produced and circulated within the military. With the subject of military-humor text consisting of contents relating to military society,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motivation of humors that were produced and enjoyed as a narrative by current and previous military personnels and also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 reflected in that humor text. Through this research we were able to verify various traits of the military using linguistical approaches. While military-humor texts do indirectly disclose the negative aspects of society, protects one's self-confidence and resolves repressed desires, it is also produced and enjoyed by a number of people simply for entertainment. These military-humor texts also include socio-cultural implications such as double perceptions towards military service, rank-orientedness, authoritarianism, de-individuation, isolationism, formalism, and thinking rigidity. I hop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found useful in analyzing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
        8,000원
        5.
        2015.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구약성서와 유대주의, 그리고 시오니즘(Zionism)에나타나 있는 배타성이 기독교 선교의 공격성과 어떤 연관관계가 있는지를 선교 역사적으로 고찰한 연구이다. 기독교 신앙은 유대교에 뿌리를두고 있는 종교이고, 그 유대교는 타민족에 대한 배타적 선민(選民)사상을 뿌리에 두고 있기 때문에, 이 문제는 기독교 신앙의 정체성뿐만 아니라, 기독교 신앙을 믿지 않는 사람들, 즉 선교 현장의 타자(他者)를 대하는 우리들의 선교적 입장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이다.더 협소하게 논의를 전개시켜 나간다면, 이것은 선교학과 구약신학간의 대화를 통해서 해소되어야 할 신학적 쟁점이고, 이 논문 역시이러한 목적으로 연례 구약학회에서 발표되었다. 따라서 이 논문은 구약성서의 ‘전사로서의 하나님’에 대한 개념을먼저 살펴보고, 그 결과 나타난 유대주의의 공격성과 배타성을 역사적 으로 규명한다. 이런 전통에서 배출된 예수 그리스도의 ‘군대귀신들린 자’ 사건(막 5:1-20)은 유대주의의 공격성과 배타성을 극복할수 있는 성서학적이며 선교학적인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거라사(제라시)에서 군대 귀신들린 자를 축사하신 그리스도는 그를 유대의 땅으로 초청한 것이 아니라 고향 데가볼리로 돌려 보내셨다. 이것을 필자는 유대주의의 배타성과 공격성에서 벗어나 그리스-로마 문명과 공존할 수 있는 선교적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라 보았다.이런 개방성으로서의 초대야말로 다원화되고 글로벌화 된 세상을 향한 선교적 복음의 미래라고 해석하였다.
        6,000원
        8.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preferences regarding the mess provisions in the three military bases in Daegu, Korea. A total of 325 military personnel was surveyed for this study. The content of examinations consisted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the mess. Furthermore, I investigated the general menu on a daily basis with the most or the least-preferred food. As a result, I found that fried dishes are most preferred by military personnel, and they second and third in their preferences are boiled, and mixed with dressing. I also found that military personnel like meat, sweets like ice-cream, fried pork chops or chicken, and fatty and processed food like hamburgers. On the other hand, they do not like dishes made with bean sprouts, squid, fish or kimchi.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 balanced diet is needed for military personnel through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recipes using some of the least favorite ingredients such as fish, squid, and vegetables.
        4,800원
        9.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ilitary foodservice operation by conducting survey to foodservice managers. Surveys for managers of military foodservice operations were conducted in November, 2008 by visiting Consolidated Army Logistics School located in Daejeon during the time of training. Surveys for military foodservice officers and dietitian were sent by mail.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e questions asking the general operation of military canteen, the self-concious specialty of military foodservice, and the needs assigning dietitian to each military unit.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me up with the needs to draw up the plan to improve the foodservice specialty of canteen managers. One of the solution would assign dietitian to each military foodservice unit. Also, the facilities need to be equipped for various way of cooking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soldi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data for making policy as well as arose academic interest to military foodservice.
        4,000원
        12.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was preliminary study that was to find out the developing point in military meal service to focus on seafood dishes that recently increased plate wast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menu patterns in military meal service.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using to develop new seafood dishes in military meal service. On the basis of some findings, several developing points how to plan meals include many kinds of seafood dishes and to modify taste and cooking method that was more highly prefered by young military persons were suggested. This preliminary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1. Each meal was served cooked rice and 4 kinds of dishes(soup or stew, main dish, side dish and kimchi) 2. The seafood dishes was served as 28.6% in soup or stew, 35.0% in main dish and 36.4% in side dish of total serving of seafood dishes. 3. All of raw materials of seafood were supplied by frozen, several items were supplied dried material. Supplying seafood items were limited. Numbers of using seafood items were using 2.7 times per day. Laver and squid was most frequently used. 4. Seafood dishes were frequently serving in breakfast, especially seasoned & toasted laver was served 28.8% of seafood menu in breakfast because of convenience. 5. The nutrients contents of each dishes were as follows, the soup was 86.5±3.2kcal and 10.9±8.9g of animal protein, stew was 165.3±70.2kcal and 13.3±7.9g of animal protein. Nutrients content of other main dish and side dishes was different from 108.1kcal (in steaming dish) to 412.4kcal (in deep-fat frying dish) according to different cooking method. The highest animal protein dish that contented 18.9±5.1g of protein was pan-frying dish or grilling dish. Lowest one was 8.4±4.9g in braising dish. 6. Major cooking method of seafood was stew and the next was deep fat frying, stirfrying and braising. Pan-frying or grilling was seldomly used in military menu because of limitation of kitchen facilities and cooking utensils.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newely developing military seafood menus were focused on combination dish(such as seafood cooked rice or seafood fried rice) and many kinds of sauce that was applied to deep-fat frying dishes.
        4,000원
        13.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100원
        14.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우리들의 다양한 삶과 환경에는 기능적인 제품들이 위치 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물에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 됨으로써 사용자들의 사고와 상상력은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21세기 기능주의 디자인이 정교한 기술을 기반으로 생산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동일성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게 되었으며, 더불어 대량생산과 획일화된 소비문화에 의한 심각 한 부작용들이 나타나고 있다. 기능주의에 내재되어 있는 이러한 문제들은 이미 1970년 후반부터 논의되어 왔음에도 불구 하고 기능주의의 병폐는 여전히 수정 또는 보완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기능주의 디자인에 내재된 문제를 확인 하기 위해서는 그 출발점으로 회귀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주의 디자인의 문제점을 발견하기 위해 루이스 멈퍼드의 기술철학적 사유의 세계를 기반으로 하였다. 제 2.1 단원에서는 멈퍼드 관점에서의 기계 즉, 기능주의의 모체이자 기계의 근원으로 지목된 중세시대의 수도원과 시계 그리고 군대의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제 2.2. 단원에서는 기계와 기능주의 그리고 디자인과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기계의 3가지 기원과 해당 요소들에 대한 속성을 규명하게 된다면, 21세기 산업디자인 환경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에 대 한 근원적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향후 21세기 산업디자인이 지향해야 할 목표 와 70년대 이후 지금까지 문제로 거론되었던 기능주의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나아갈 길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해 본다.
        15.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7년은 개신교 종교개혁 500주년이 된다. 근래에 일부 역사가들은 신 학에 비중을 두는 데서 벗어나 종교개혁이 대중에게 끼친 영향과 그들의 역할을 연구하면서 종교개혁의 사회사를 기술하고 있다. 그런 경향을 따라 서 여성사학자들도 종교개혁에 대한 여성들의 반응을 탐구하기 시작했다. 종교개혁은 유럽 여성들의 지위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여성들은 종교개혁 의 전파와 확립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여성들은 단지 종교개혁의 메시지 를 받는 수동적 수혜자가 아니라 종교개혁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종교개혁 여성들은 실로 개혁된 것이 아니라 개혁을 했다. 종교개혁에 수반된 가장 극적인 변화들 중의 하나는 수녀원의 폐쇄였다. 어떤 역사가들은 수녀원의 해체에 대해서 긍정적인 평가를 한다. 종교개혁은 타락하고 성차별적인 수도원 제도로부터 수녀들을 해방시켰으며, 여성과 가 정을 정절과 수녀원보다 높은 단계로 상승시켰다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역사 가들은 부정적인 견해를 가진다. 수녀원의 폐쇄는 수녀들의 선택권을 제한했 으며, 그들이 가질 수 있었던 제한적인 경력들 중 하나를 부인했고, 여성이 지도력을 행사하고 능력을 발휘하는 기회를 박탈했다는 것이다. 수녀들은 그녀들이 겪은 가장 강력한 도전에 대해서 다양한 방식으로반응했다. 독일의 많은 수녀들은 수녀원을 탈출해서 종교개혁의 물결에 참 여했다. 그러나 다른 수녀들은 강력한 개혁의 폭풍에 맞서 수녀원 생활을 존속시키려고 애썼다. 그리고 또 다른 수녀들은 개혁 세력과 절충해서 개 신교로 개종하거나 수녀원 시설을 학교나 병원으로 전환했다. 종교개혁 시 대의 여성종교단체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아직도 수녀원의 저항이나 존속 보다 해체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지만 사실 많은 수녀들이 수녀원에 남았으며 말과 행동으로 저항했다. 독일의 수녀원들은 종교개혁의 격류에 도 휩쓸리지 않은 난공불락의 요새였고, 수녀들은 막강하고 정복되지 않는 베일 쓴 군대였다. 접
        16.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사회는 비교적 짧은 기간에 급속도로 다문화사회로 변화하여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다문화가족의 증가와 병역법의 개정에 따라 다문화장병의 군입대는 점진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군의 다문화군대로의 변화에 대비한 병영정책의 추진실태를 진단하여 대안을 마련하고 다문화시대 환경 변화와 연계한 병영환경을 구축하여 다문화군대에 부합된 병영정책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작성하였다. 우리 군의 다문화군대에 대비한 병영정책은 다문화장병의 증가에 따라 수용성이 확장되는 조건과 시기를 고려하여 3단계로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병영정책의 추진방안은 법과 제도의 보완, 다문화군대 수용기반 구축, 다문화장병 역량향상, 군내 다문화가족 지원 등에 초점을 맞추어 계획성 있게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