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4.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has carried out a study on “Children head theory” and “Thatched cottage biography”, the two hanmun compositions on Kim Jin Yang published in the late Goryeo period. By studying the texts,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Jin Yang and the two authors, and the creation date, the author of this paper has analyzed the structures, forms, styles, and writing tactics of these two compositions, trying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between. An conclusion is drawn that the difference of these two compositions lies in their genres, one is "theory" and the other is "biography ". Kwon Geun and Lee Sung In eulogized Kim Jin Yang not only ecause of their friendship, but his frugality which is advocated by the scholars. Kwon Geun’s “Children head theory” described the liberal, high-spirited and vigorous young Kim Jin Yang by using a pleasant tone and a lively atmosphere. This composition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ancient Chinese "theory", which is much more like a “miscellany”, this is the Goryeo type of "theory". The Lee Sung In’s “Thatched cottage biography” describe the later years of Kim Jin Yang, so the atmosphere of this article is quite plodding, aiming at sketching out Kim Jin Yang’s aloofness and he can take the rough with the smooth even after his dismissal. This composition is also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ancient Chinese "biography". Both two compositions not only helped to research the Goryeo scholar Kim Jin Yang, but also has a great importance for study the hanmun "theory" and "Biography"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end of the Goryeo to the beginning of the Chosun.
        2.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陽村權近(1352-1409)의 『중용』해석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양촌은 중용의 성격에 대해 주자처럼 道統論의 관점에서 ‘聖學의 心法’우로 파악하지 않고, 鄭玄의 경우처럼 ‘孔子의 聖德’에 초점을 맞추어 파악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중용』을 子思가 天 과 孔子로써 모범을 삼은 것으로 보았다. 둘째,양촌은 중용을 주자의 설처럼 도를 전한 책으로 보면서도 그 도를 어떻게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 하는 敎· 學에 비중을 두어 해석하였다. 셋째, 양촌은 『중용』의 分節(단락나누기)에 있어 大탑는 三節로 나누어 보고 細分해서는 五節로 나누어 요지를 파악하는 새로운 설을 제 시하였는데, 이는 朱子의 四分節說이나 雙峯饒氏의 六分節說과 다른 독창 적인설이다. 넷째,양촌은 단락나누기를 통한 요지파악에 있어서 주자의 설을 근간으로 하되,쌍봉요씨와 番陽李氏(李靖翁)의 설 중에서 장점을 모두 취하여 자신의 새로운 견해를 제시하였다. 다섯째,양촌은 단락나누기를 정밀히 고찰하는 과정에서 단락을 바꾸는 서술체계에 주목하여, 새 단락의 첫머리에는 반드시 子思의 말로 시작한다는 새로운 주장을 하였다. 여섯째,양촌은 중용의 요지를 道와 德 으로 파악하여,제 1장부터 제 20장까지의 제 1 대절은 君子之德을 말한 것으로, 제 21 장부터 제 32장까지의 제2대절은 聖人之德을 말한 것으로, 제 33장 제3 대절은 결어로 파악하였다. 이는 주자가 제 1절은 中庸을 말한 것으로, 제2절은 費隱小大를 말한 것으로, 제3철은 天道人道를 말한 것으로 제4절은 결어로 파악한 것과 상당히 다른 시각이다.